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24 금요일
맑음
서울 12˚C
구름
부산 14˚C
안개
대구 12˚C
맑음
인천 12˚C
흐림
광주 16˚C
흐림
대전 22˚C
비
울산 16˚C
흐림
강릉 13˚C
흐림
제주 2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동영상 플랫폼'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나만 안돼?"…출근길 덮친 유튜브 먹통 대란, 전 세계가 '아우성'
[이코노믹데일리] 전 세계 최대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에서 16일 오전 대규모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 국내를 비롯해 미국, 유럽, 뉴질랜드 등 전 세계적으로 동영상 재생이 멈추는 오류가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면서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16일 ICT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40분경부터 일부 유튜브 이용자들 사이에서 모바일 앱과 PC 웹을 통해 동영상 재생이 되지 않는다는 신고가 잇따랐다. 광고 영상이 나온 뒤 본 영상이 재생되지 않고 검은 화면만 뜨거나 동영상을 클릭하면 에러 메시지가 나타나는 현상이 주로 보고됐다. 유튜브 뮤직 역시 일부 이용자에게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장애는 특정 국가에 국한되지 않은 전 세계적인 문제로 파악됐다. 뉴질랜드 헤럴드 등 외신들은 “미국, 터키, 유럽 등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고 보도하며 글로벌 차원의 문제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갑작스러운 서비스 장애에 국내 이용자들의 불만도 폭주했다. 엑스(X·옛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에는 "유튜브 저만 안 되나요", "출근길 지하철에서 아무것도 못 하고 있다", "수업시간에 유튜브로 해설 강의 들어야 하는데 오류 때문에 미칠 것 같다" 등의 반응이 실시간으로 쏟아졌다. 네이버 등 국내 포털에서도 ‘유튜브 오류’ 관련 검색량이 급증하며 서비스 장애에 따른 이용자들의 혼란을 방증했다. 한편 구글 측은 장애 발생 직후 “현재 장애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2025-10-16 09:49:28
트럼프 "韓 대미투자금 3500억 달러…그것은 선불"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한미 무역 합의에 따라 한국이 미국에 투자할 금액이 3500억 달러(약 490조원)라는 점을 재확인하며 "그것은 선불(up front)"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 합의와 관련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우리는 다른 나라들로부터 결코 제대로 대우받지 못했지만 이제는 잘하고 있다. 우리가 이토록 잘한 적은 없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아시다시피 일본에서는 5500억 달러, 한국에서는 3500억 달러를 받는다. 이것은 선불"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관세와 무역 합의 덕분에 한 사례에서 9500억 달러를 확보하게 됐는데, 이전에는 전혀 지불하지 않던 금액"이라며 9500억 달러 투자협정을 체결한 유럽연합(EU) 사례를 거론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한미 간에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를 놓고 양국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3500억 달러를 '선불'로 거론한 것은 그것이 한국에 대한 관세 인하의 전제조건임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미는 지난 7월 30일 타결한 무역 협상에서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등을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과 이행 방법을 두고 이견이 좁히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 지분 투자를 최소화하고 대부분을 보증으로 하려고 하지만, 미국은 달러 현금을 한국에서 받아 투자처를 미국이 결정하고 투자 이익도 미국이 90%를 가져가는 등의 '일본식' 합의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미국의 요구대로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금을 제공할 경우 한국이 상당한 외환 리스크를 지게 된다는 점에서 한미간 통화스와프 체결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2025-09-26 08:23:42
유튜브, AI로 '영상 제작·수익화' 혁신…텍스트만으로 '숏츠' 생성
[이코노믹데일리] 세계 최대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전면에 내세워 콘텐츠 제작부터 유통, 수익화에 이르는 전 과정을 혁신한다. 텍스트 입력만으로 짧은 ‘숏츠(Shorts)’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AI가 최적의 썸네일과 제목까지 추천해주는 등, 누구나 손쉽게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는 시대를 열겠다는 야심 찬 계획이다. 유튜브는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메이드 온 유튜브(Made on YouTube)’ 행사에서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다양한 AI 신기능을 대거 공개했다. 이는 월간 활성 사용자 수 27억명을 보유한 압도적 1위 플랫폼으로서 AI 기술을 통해 틱톡, 인스타그램 등 경쟁 서비스와의 격차를 더욱 벌리고 창작자 생태계를 공고히 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 텍스트만 넣으면 ‘숏츠’가 뚝딱…AI 영상 제작 기능 가장 주목받는 기능은 AI 영상 자동 생성이다. 구글의 최신 동영상 생성 AI ‘비오3(Veo3)’를 유튜브용으로 맞춤 개발한 이 기능은 이용자가 텍스트로 원하는 내용을 입력하면 그에 맞는 숏츠 영상을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예를 들어 사진 속 인물을 다른 영상의 춤 동작과 결합해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만들거나 영상 전체 스타일을 팝아트나 종이접기 풍으로 바꾸는 작업도 AI가 대신 수행한다. 심지어 영상 속 대화를 뮤지컬처럼 노래로 바꿔주는 ‘스피치 투 송(Speech-to-Song)’ 기능까지 탑재됐다. 유튜브 측은 “이를 통해 콘텐츠 제작 진입 장벽을 낮추고 창작자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 AI가 편집하고 ‘떡상’ 썸네일까지 추천 AI는 편집 과정에도 깊숙이 개입한다. ‘AI 에디트(AI Edit)’ 기능은 크리에이터가 촬영한 원본 영상에서 가장 흥미로운 장면들을 AI가 자동으로 골라내 음악과 전환 효과를 더한 숏츠 초안을 만들어준다. 외국어 더빙 시 유튜버의 입술 모양을 해당 언어에 맞춰 자연스럽게 동기화하는 ‘더빙 AI’ 기능도 선보였다. 콘텐츠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썸네일과 제목 선정의 고민도 AI가 덜어준다. ‘썸네일 및 제목 A/B 테스트’ 기능은 여러 개의 후보를 시청자에게 노출해 본 뒤 가장 반응이 좋은 것을 자동으로 선택해준다. ◆ 데이터 분석부터 수익화까지 AI가 지원 콘텐츠 성과 분석과 수익 개선을 위한 기능도 강화됐다. AI 챗봇 ‘애스크 스튜디오(Ask Studio)’는 크리에이터가 댓글을 요약해달라거나 시청자의 감정을 종합해달라고 요청하면 즉시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수익화 측면에서는 과거 영상에서도 새로운 광고를 유치할 수 있는 ‘동적 광고 삽입’ 기능이 눈에 띈다. 유튜버가 영상의 특정 구간을 지정해두면 시간이 지난 후에도 해당 광고를 최신 브랜드 광고로 교체하거나 삭제할 수 있어 오래된 영상도 지속적인 수익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유튜브는 지난 4년간 크리에이터와 파트너에게 지급한 광고 수익이 1000억 달러(약 138조원)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에는 TV 시청이 늘면서 TV 화면을 통해 연간 10만 달러(약 1억4000만원) 이상 수익을 올리는 채널 수도 전년 대비 45%나 증가했다. 이번 AI 기능 대거 도입은 이러한 성장세를 더욱 가속화하고 유튜브 중심의 창작자 경제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 전망이다.
2025-09-17 17:54:4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한화생명 vs 한화투증, 펀드 투명성 온도차
2
SDV가 이끄는 車 혁신, 현대차 등 글로벌 기업 R&D 가속
3
'부정거래 의혹' 하이브 방시혁, 檢·警 수사에 출국금지까지…국감은 피했지만…싸늘한 여론
4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 석유화학산업 재부흥 동력 될까
5
[단독]LG 오너 일가, 상속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 취하...5억 절세 관측
6
카카오 '운명의 날' D-1…김범수 창업자 SM 시세조종 혐의 21일 1심 선고
7
빨라지는 유통업계 인사 시즌…롯데·현대 CEO 거취 촉각
8
[알립니다] 2025 아시아 경제인 골프대회 개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신약 개발, 멈출 수 없는 실패의 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