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4.11.22 금요일
맑음
서울 12˚C
맑음
부산 14˚C
맑음
대구 11˚C
맑음
인천 10˚C
맑음
광주 11˚C
맑음
대전 9˚C
맑음
울산 12˚C
흐림
강릉 9˚C
흐림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메모리반도체'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삼성·SK·마이크론, DDR7 '대격돌'…주도권은 누가?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빅3'가 그래픽용 D램인 GDDR 시장에서 맞붙는다. 3사 모두 연내 7세대 GDDR인 'GDDR7' 양산을 공식화한 가운데 누가 먼저 시장 주도권을 잡을지 이목이 쏠린다. SK하이닉스는 지난달 30일 세계 최고 사양을 갖춘 GDDR7을 공개했다. 이번 제품은 이전 세대보다 60% 이상 빠른 초당 32기가비트(Gbps)의 동작 속도를 구현한다. 사용 환경에 따라 최대 40Gbps 성능을 낸다. GDDR D램에서는 1초당 전송되는 기가비트 단위의 데이터를 의미하는 Gbps가 중요한데, 수치상으로 SK하이닉스가 경쟁사들의 같은 제품 스펙 대비 가장 빠른 속도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이목을 끈다. GDDR D램은 그래픽 카드를 위해 만들어진 고속 메모리다.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지원한다. 고대역폭메모리(HBM)에 비해 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노트북이나 모바일 기기에서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을 원활하게 구동하기 위해선 전력 효율이 좋은 GDDR이 더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SK하이닉스보다 앞서 업계 최초로 GDDR7을 개발한 건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최대 속도 32Gbps를 구현하는 제품을 처음 공개한 데 이어 올해 최대 속도 37Gbps 제품 개발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마이크론도 지난해 GDDR7 신제품 개발을 완료하고 올해 6월부터 GDDR7 샘플링을 시작했다. 구현할 수 있는 최고 속도는 32Gbps로, 국내 기업들보다는 한참 못 미친다. 전력 효율성을 놓고 보면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이 앞서있다.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이 내놓은 GDDR7의 전력 효율은 전작(GDDR6) 대비 50% 이상 개선됐다. 삼성전자 GDDR7의 전력 효율은 전작 대비 20% 향상된 수준에 그쳤다. 3사 모두 하반기에 GDDR7 양산에 돌입하며 정면 승부를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의 맹추격이 기대된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본래 GDDR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이 양강 구도로 맞붙었으나, 지난해 말 시장 점유율에선 SK하이닉스(42.4%)가 삼성전자(39.4%)를 역전하기도 했다. SK하이닉스가 GDDR7 양산 목표 시기를 4분기에서 3분기로 앞당긴 점에서도 이 같은 자신감이 엿보인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가 개발은 가장 늦었지만 지금 시점에서 보면 성능은 최고 수준"이라며 "HBM 시장에서 초격차를 확보한 만큼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2024-08-02 07:00:00
"우린 파운드리 있잖아"…삼성의 이유있는 HBM4 자신감
[이코노믹데일리] 엔비디아나 AMD 같은 주요 고대역폭메모리(HBM) 고객사들이 HBM4(6세대)부터 자사 맞춤제작을 요구하면서, 파운드리와 메모리 기업 간 협업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삼성전자는 자체 파운드리 공정을 활용해 HBM4를 생산할 수 있다는 강점을 내세우며 경쟁사들과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HBM은 실리콘관통전극(TSV)을 통해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 올린 메모리다. SK하이닉스는 현재 HBM3E(5세대)까지 상용화하는 데 성공하며 시장 선점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아직 HBM3E 양산은 개시하지 못했고 HBM3(4세대) 제품을 엔비디아 등 고객사에 납품하기 위해 품질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두 회사가 목표로 정한 HBM4 양산 시점은 내년이다. 다만 HBM4부터는 제조 공정에 변화가 있다. 앞선 HBM3E까지는 일종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베이스다이(로직다이)를 포함한 HBM의 모든 부분을 메모리 반도체 기업이 직접 제조했다. HBM4부터는 초미세공정을 활용한 파운드리 공정이 적용된다. 고객사가 원하는 만큼 전력 효율을 높인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다. HBM의 베이스다이는 총 전력의 약 40%를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베이스다이를 파운드리 공정에서 생산하면 전작(HBM3E) 대비 전력 효율성이 높아지고 베이직다이에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는 데 용이하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의 경쟁력은 바로 자체 파운드리를 통해 HBM4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같은 강점을 앞세워 삼성전자는 HBM4 양산 시점을 당초 예정했던 일정보다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에선 삼성전자 파운드리 기술력과 메모리 제조 능력의 결합은 HBM4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전망도 나온다. 삼성전자와 달리 SK하이닉스는 대만 TSMC의 파운드리를 사용하기로 했다. TSMC 패키징 기술 역량을 더해 메모리 성능 한계를 돌파하겠다는 복안이다. HBM4 베이스다이 설계는 SK하이닉스가 진행하고, 제작은 TSMC의 로직 선단 공정에 맡기는 형식이다. 삼성전자 내부에서는 이미 HBM4부터 HBM 시장 점유율 역전이 가능하다는 자신감이 엿보인다. 또 다른 삼성전자 관계자는 "공급부터 패키징까지 자체 기술로 할 수 있는 건 삼성전자가 유일하다"며 "경쟁사들보다 유연하고 빠르게 고객사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2024-07-11 07: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T1, '제우스'와 계약 종료…'제오페구케' 3년 역사에 마침표
2
'전기 먹는 하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SMR이 '해결사' 될 수 있을까?
3
1세대 화장품 기지개 켜는데…네이처리퍼블릭 '뒷걸음질'
4
'기후깡패' 트럼프 당선 이후 기후변화 둘러싸고 흔들리는 국제사회
5
[종합] 현대차 울산 공장 연구원 3명 사망…"원인 규명 조속히"
6
지스타 2024, 4일간의 대장정 성료…새로운 방향성 제시하며 성황리에 막 내려
7
'4만전자' 반도체 경쟁력 하락… 외국인 투자자 "'지배구조 리스크'가 키웠다"
8
['차이나 테크로드'의 역습‧⑤]태양광·배터리·드론까지···미래 '알짜 먹거리' 독식하는 중국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AI 시대, 개발자의 미래와 생존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