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2 수요일
안개
서울 2˚C
구름
부산 3˚C
맑음
대구 3˚C
안개
인천 4˚C
맑음
광주 4˚C
맑음
대전 5˚C
맑음
울산 5˚C
맑음
강릉 7˚C
맑음
제주 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모라토리엄'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위기설 지라시 누가 작성·유포했나"…롯데, 경찰에 '수사 의뢰'
[이코노믹데일리] 롯데가 모라토리엄설(지급유예) 등 허위 지라시(정보지)를 작성·유포자를 찾기 위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해당 지라시가 계열사 주가를 흔들고 금융·증권시장에 불안감을 조성하는 등 그룹 신용에 대한 막대한 손해를 끼친 만큼 법적 조치도 검토 중이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롯데지주는 최근 지라시 작성·유포자를 찾아내 신용훼손 혐의로 처벌해 달라고 서울 강남경찰서에 수사를 요청했다. 지난달 16일 유튜브 채널 두 곳이 ‘롯데그룹 공중분해 위기’란 제목의 동영상을 게시했고 이튿날 관련 내용을 요약한 지라시가 유포됐다. 다만 유튜브 콘텐츠는 그간 롯데 계열사 관련 각종 보도 내용을 짜깁기하면서도 기사 수십 개를 나열해둬 논란의 여지를 뒀지만, 지라시에는 단정적인 표현으로 허위 사실이 담겼다. 특히 지라시에 담긴 12월 초 모라토리엄(지급유예) 선언설, 롯데건설 미분양으로 계열사 간 연대보증 치명타, 그룹 소유 부동산 매각해도 빚 정리 어려움, 전체 직원 50% 이상 감원 예상 등 자극적인 내용으로, 모두 거짓임이 드러났다. 롯데는 지라시가 유포된 이튿날인 지난달 18일 “유동성 위기 루머는 사실무근”이라고 공시하는 한편 루머 생성·유포자에 대한 법적 조치 검토에 착수했다. 롯데는 법률 자문을 거쳐 유동성 위기설 지라시가 계열사 주가를 흔들고 금융·증권시장에 불안감을 조성하는 등 그룹 신용에 막대한 손해를 끼쳤다고 보고 수사를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형법상 허위 사실을 유포하거나 기타 위계로 신용을 훼손한 자는 5년 이하 징역형 또는 1500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한다. 명예훼손죄는 인격적 가치를 침해했을 때, 신용훼손죄는 경제적인 평가, 지급 능력 또는 지급 의사에 관한 신뢰 등을 침해했을 때 각각 성립된다. 롯데 관계자는 “롯데지주를 중심으로 주채권은행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원만히 해결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갈 것”이라며 “그룹은 앞으로도 계열사들과 원활한 협의를 통해 안정적 경영을 유지하고 필요시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해 재무 안정성 관리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4-12-02 13:42:35
신동빈 특단 조치 나설까…28일 롯데 이사회에 쏠리는 눈
[이코노믹데일리] 롯데그룹이 최근 ‘유동설 위기설’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신동빈 회장이 특단의 조치를 내릴지 주목된다. 현재 롯데케미칼 등 화학군과 면세점 등 실적 부진 계열사들이 ‘비상경영’ 체제로 운영되고 있어 쇄신 인사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재계에 따르면 롯데 계열사들은 오는 28일 서울 잠실 롯데타워 등에서 이사회를 열고 2025 정기 임원인사 명단을 확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는 신동빈 회장이 올해 인사에서도 일부 세대교체와 외부 전문가 영입, 여성 지도자 발탁 등 인사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롯데는 지난해 12월 인사에서 60대 계열사 대표 8명 퇴진을 비롯해 대표 14명을 교체했다. 외부 전문가 영입으로 순혈주의 타파 기조와 젊은 피 수혈 등 혁신을 단행했던 만큼 이번 인사 역시 새로운 인물 등장에도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올해 지라시(정보지) 사태로 ‘롯데 유동설 위기설’이 불거진 데다 롯데케미칼의 회사채 이슈 등 실적 부진 계열사들의 상황이 부각돼 쇄신 폭이 예년보다 커질 가능성이 있다. 업황이 부진한 롯데면세점과 롯데케미칼을 시작으로 롯데지주까지 잇달아 비상 경영 체제로 전환했다. 인력 운용의 효율화를 위해 롯데온(6월)과 롯데면세점(8월), 세븐일레븐(10월), 롯데호텔앤리조트(11월)가 희망퇴직을 시행했다. 내년 3월 등기임원 임기 만료를 앞둔 대표로는 이동우 롯데지주 대표와 이영구 롯데웰푸드 대표, 강성현 롯데마트·슈퍼 대표, 남창희 롯데하이마트 대표, 김주남 롯데면세점 대표 등이 있다. 특히 올해 유통가 젊은 재계 3·4세들의 승진 행렬이 이어지면서 신 회장의 장남 신유열 전무(1986년생)의 승진 여부도 주목된다. 같은날 오후 롯데그룹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기업설명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최근 ‘12월 모라토리엄(채무불이행) 선언’ 관련 내용으로 롯데지주와 롯데케미칼, 롯데쇼핑 등 그룹 관련주가 일제히 하락세로 전환하는 등 악재가 겹친 상황이다. 논란이 지속되자 롯데는 부동산 가치와 가용 예금만 71조원대로, 롯데케미칼의 회사채 재무특약 위반 발생 역시 유동성이 충분한 만큼 원리금 상환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히며 진화에 나서고 있다.
2024-11-26 10:22:1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2
구글, 한국 정밀지도 반출 재신청…벼랑 끝 선 韓 공간정보산업, 데이터 주권 수호 '마지막 보루'
3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4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5
美 LA 화재와 닮은꼴…최근 우리나라 봄철 화재
6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7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8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