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21 목요일
흐림
서울 32˚C
구름
부산 31˚C
흐림
대구 35˚C
흐림
인천 31˚C
흐림
광주 32˚C
흐림
대전 34˚C
흐림
울산 31˚C
흐림
강릉 31˚C
흐림
제주 3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무공해'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전기車, 차근차근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은 '이것'
[이코노믹데일리] ※김지영의 카(CAR)멜레온 코너는 다양한 몸의 색깔을 띠는 카멜레온처럼 차(車)와 관련해 독자들이 궁금해 할 만한 다양한 소식을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와 관련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세요! <편집자주> 전기차동차가 꾸준히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각국 정부의 지원 정책이 뒷받침돼서다. 최근에는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란 용어 자체가 무색할 만큼 전기차의 판매 추이는 지속 성장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의 '올해 1~6월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는 총 946만9000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31.8%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전세계 전기차 시장은 중국과 유럽이 성장을 주도했으며 북미 시장은 다소 수요 둔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전기차 기업 BYD는 199만8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32.4% 증가해 글로벌 판매량 1위를 기록했으며 중국 자동차 기업 지리는 96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71.3% 증가해 2위를 차지했다. 테슬라는 72만1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2% 감소해 3위에 올랐다. 이처럼 전기자동차가 자동차업계의 패러다임을 바꿔 놓을 수 있었던 배경은 지난 2010년 중반 전후로 무공해 자동차 보급을 위한 각국의 정부 지원 정책이 시작되면서다. 각국의 전기차 정책은 소비자에게 구매 혜택을 부과하는 수요 확대와 자동차 자조사에 의무를 부과하는 공급 확대로 나눌 수 있다. 지난 2017년 한국 소비자들은 전기자동차 가격의 15~49% 정도 보조금 지원을 받아 구매했는데 노후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도록 취득세, 등록세, 자동차세 등 지원금을 제공받았다. 이 외에도 미국은 주정부 주도하게 전기차 구매 시 보조금을 지급하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을 시행한 바 있다. 중국도 전기차 구매 시 세금을 면제하며 친환경차 판매를 장려한다. 이와 함께 정부의 규제 정책은 기업이 전기차를 더욱 많이 생산하도록 유도한다. 한국은 지난 2020년부터 이산화탄소 배출과 연비 규제가 강해졌는데 오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는 지속 강화돼 현재 97g/km에서 2030년 70g/km로 엄격해질 전망이다. 유럽은 지난 2021년부터 연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 목표치인 1km당 96g에서 1g 초과할 때마다 모든 신규 차량에 95 유로(약 15만4000원)의 벌금을 부과하는 정책을 적용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캐즘을 극복하기 위해 충전소 등 인프라 개선에 힘써야 한다는 입장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배터리 성능 향상과 가격 및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캐즘 극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5-08-09 06:00:00
"산악·사막 주행 끄덕없다"...현대차 수소차, 사우디 네옴 질주
[이코노믹데일리] 현대차그룹이 사우디아라비아의 미래형 스마트시티 네옴에서 세계 최초로 수소 모빌리티를 성공적으로 운행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1998년 수소 연구개발 전담 조직을 신설해 수소전기차 개발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수소 생산, 저장, 활용에 이르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 중이다. 4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네옴 트로제나 지역에서 지난 5월 실시한 수소 모빌리티 주행 실증 영상을 이날 공개했다. 현대차는 네옴 중심 업무지구와 트로제나 베이스캠프를 잇는 구간에서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의 주행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트로제나는 최고 해발이 2000m를 넘고 급경사와 곡선 구간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험난한 산악 및 사막 지형으로 이뤄져 있어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주행이 가혹한 환경이다. 현대차그룹은 주행 실증에 활용한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에 고지보상맵 기술을 적용했다. 이 기술은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소연료전지의 운영 효율성을 개선한다. 현대차그룹이 그동안 축적한 수소 모빌리티 기술력과 노하우를 통해 성공적으로 주행 실증을 마무리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수소 생태계 구축을 통해 네옴의 무공해 비전을 함께 하는 등 수소 모빌리티의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04 13:36:02
헷갈리는 친환경차 종류, 한번에 알려드립니다
KG모빌리티 친환경차[사진=KG모빌리티] [이코노믹데일리] ※김지영의 카(CAR)멜레온 코너는 다양한 몸의 색깔을 띠는 카멜레온처럼 차(車)와 관련해 독자들이 궁금해할만한 다양한 소식을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와 관련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세요! <편집자주> 최근 국내 친환경차 시장은 지난해 전체 자동차 판매의 40%를 차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월 발간된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눈에 보는 2024년 자동차 산업 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친환경차 판매는 지난 2023년보다 18.2% 증가한 65만대를 기록하며 신규 판매 차량 10대 중 4대는 친환경차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 중 특히 지난해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2023년 대비 32% 증가해 친환경차 중 76%를 차지했다. 전체 국내 판매 차량 중 30%를 차지한 것이다. 친환경차의 종류에는 총 4가지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순수전기차(BEV) △연료전지 자동차(FCEV)로 구성돼 있다. 우선 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과 모터를 통해 작동하는데 휘발유·디젤 엔진과 전기모터를 동시에 사용한다. 외부 충전 없이 엔진 발전기와 회생제동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며 배출가스가 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HEV보다 큰 배터리를 탑재해 외부 충전이 가능하고 전기만으로 주행할 수 있다. PHEV는 전기 모터만 사용해 배출 가스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순수전기차는 대용량 배터리와 전기모터로 무공해 주행이 가능하지만 충전 시간과 주행거리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지난 22일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차에 불이 나는 등 전기차 안전에 대한 불안이 커지자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이 일고 있기도 하다.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를 전기를 생산해 전기 모터를 구동하며 주행 중 배출가스가 전혀 없다. 하지만 수소충전소는 지난해 기준 386기에 불과해 전기차 충전소(39만대) 대비 극심히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지만 초기 구축 비용이 높다는 장벽이 있다.
2025-04-26 06: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대통령 지시에도…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는 법적 근거 없다
2
이재명 대통령 "산재 사망사고 직보"…건설사 옥죄는 정부, 구조 개선은 뒷전
3
"미국선 웃고 중국선 울었다"...삼성전자 반도체 매출 '희비'
4
AI가 키운 전력 수요…해법은 '에너지 고속도로'
5
스페이스X 스타링크, 장비 인증 통과…'우주 인터넷' 드디어 한국 온다.
6
[김지영의 전대미문] 전력한계 극복 일등공신…ESS의 A-Z 알아보기
7
은행권, 핀테크·유통업권과 '경쟁→협업'…플랫폼 동맹 가속
8
5대 생보사 상반기 희비…삼성·신한 웃고, 한화·교보·NH농협 울었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위고비, 치료제지 미용이 아니다...의료계 주객전도 되지 말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