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건
-
보험료 '낮고' 보장 '넓고'…저출생에도 '어린이보험' 인기
[이코노믹데일리] 최근 저출생 현상으로 태어나는 아이의 수는 줄고 있지만, 그만큼 한 자녀를 귀하게 키우고자 하는 마음은 커지면서 '어린이보험'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사들은 저렴한 보험료와 넓은 보장으로 '어린이 고객 모시기'에 나서고 있다. 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5대 손해보험사(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메리츠화재)의 어린이보험 신(新)계약 건수는 지난 2019년 90만2261건에서 2023년 113만7818건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원수보험료(보험사가 보험계약자로부터 받은 보험료)도 3조2887억원에서 5조3246억원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지난 2023년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다. 낮은 출산율에도 어린이보험의 수요는 증가세를 보인 건, 한 자녀에 대한 관심도가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자녀 수가 감소함에 따라 한 자녀를 위해 거리낌 없이 보험료를 부담하는 데다,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보험 상품의 보장 나이가 높아진 영향도 작용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자녀 수는 줄었어도 기대수명이 길어졌단 인식에 따라 어린이보험에 대한 관심이 큰 편"이라며 "향후 성인 보험 가입으로 이어지거나 부모에게 자동차보험 가입 등도 권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어린이보험은 아이가 성인이 돼가는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이나 상해를 보장해 주는 상품이다. 통상 어린이는 성인 대비 질병 발생 가능성이 작기 때문에 보험료가 저렴하고 보장 범위는 넓은 게 강점이다. 태아 시기인 0세부터 15세까지 가입 가능하다. 어린이보험의 대표 주자로는 현대해상이 있다. 지난 2004년 업계에서 최초로 선보인 '굿앤굿어린이종합보험Q'는 첫 출시 이후부터 20년 넘는 시간 동안 대한민국 신생아 10명 중 7명이 가입할 만큼 많은 사랑을 받는 어린이보험이다. 이 상품은 고액의 치료비를 요하는 다발성 소아암, 심장관련소아특정질병, 장기이식수술 등 치명적인 질병뿐 아니라 입원급여금, 학교폭력피해치료, 시력교정 등 성장과정에서 어린이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상적 위험까지 보장한다. 특히 지난해 5월에는 무해지 종형에 30세 만기 담보를 신설해 30세 이전에 발생하는 3대 질병 등 주요담보를 추가로 보장받을 수 있게 했다. KB손해보험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육아 전문가인 오은영 박사를 모델로 'KB금쪽같은 자녀보험 플러스'를 내놨다. 신체 건강부터 마음 건강까지 케어하는 특약으로 보장폭을 넓혔다. 또 암·심장·뇌혈관질환 진단비, 질병·상해 입원일당, 성장기자폐증진단비, 스마트폰기기질환(컴퓨터사용특정질환) 수술비 등 다양한 특약을 탑재했다. 아울러 KB손보는 자녀보험의 초회 납입보험료 중 0.5%에 해당하는 금액을 회사가 적립해 발달장애 아동 가족의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발달장애가족 캠프를 전국장애인부모연대와 함께 추진하는 등 어린이 관련 사회공헌 사업도 지속하는 중이다. 이 밖에도 암·심장·뇌혈관질환 진단비를 감액 기간 없이 첫해부터 전액 지급하는 메리츠화재의 '내맘(Mom) 같은 우리 아이·어린이보험'과,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지원비 등 신담보를 포함한 삼성화재의 '뉴(New) 마이슈퍼스타' 등이 있다. 삼성화재는 지난 10일 마이슈퍼스타 상품에 암·뇌·심장 특정 치료비, 종합병원·상급종합병원 2~3인실 입원일당 등 고객 수요가 높은 보장을 추가했다.
2025-02-13 06:00:00
-
KB금융, 업계 최초 순익 '5조' 넘겼다…"非은행 강화가 견인"
[이코노믹데일리] KB금융그룹이 국내 금융지주 가운데 최초로 지난해 5조원이 넘는 순이익 기록을 경신했다.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보상 여파와 금리 하락 등 불안정한 영업환경에도 불구하고 '비(非)은행' 계열사들이 활약하면서 그룹 전체 실적을 이끌었다. 5일 KB금융의 경영실적 공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KB금융의 당기순이익은 5조782억원으로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5조592억원)를 넘어선 데다 금융지주 중 첫 기록이다. 다만 4분기 당기순이익은 6829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57.7% 감소했다. 희망퇴직 비용 등 거액의 일회성 비용을 반영하고, 환율 상승과 주가 하락에 따른 유가증권 및 파생·외환 관련 손익 감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 그럼에도 연간 당기순이익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증권, 카드, 보험 등 비은행 부문 이익 확대 덕분이었다. KB금융 재무담당 관계자는 "비은행 포트폴리오의 꾸준한 이익기여도 확대가 그룹의 견조한 수익 상출 개선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KB금융의 비은행 기여도는 2023년 33%에서 지난해 40%로 크게 증가했다. 타 금융지주보다 크게 웃도는 수치다. 지난해 KB금융의 순이자이익은 12조8267억원으로 전년보다 5.3% 올랐다. 대출 수요 확대로 은행의 대출 자산 평잔이 증가하고, 카드와 보험 등이 이자이익에 기여하면서다. 같은 기간 순수수료이익도 4.8% 증가한 3조8496억원을 기록했다. 신용카드 수수료손익이 약 997억원 증가하고, 기업금융(IB) 부문 증권업 수입수수료가 확대되는 등 역시나 비은행 계열사들이 한몫했다. KB금융의 자산건전성도 안정적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그룹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65%로 9월 말 대비 0.03%p 개선됐다. NPL 비율은 금융사의 총여신 중 회수에 문제가 있는 여신 보유 수준을 나타내는 비율을 뜻한다. 이는 곧 금융사의 건전성 지표로,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산 건전성이 양호하단 의미다. 지난해 말 주주환원의 기반이 되는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13.51%,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16.41%를 기록했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먼저 KB국민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3조251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ELS 손실 관련 대규모 충당부채 전입 영향에 따라 전년보다 0.3% 감소했다. 4분기 역시 6339억원을 기록해 전 분기 대비 43%가량 큰 폭으로 하락했다. 다만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은 0.29%, NPL 비율은 0.32%로 안정적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 반면 비은행 계열사의 지난해 연간 실적 기여는 두드러졌다. 다만 4분기 실적은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KB증권은 지난해 당기순이익 5857억원을 거두면서 전년 대비 50.3%(1961억원) 증가했다. 자산관리(WM) 비즈(Biz) 성장에 따른 채권 등 금융상품 판매 수익 증가와 기관주식 브로커리지 등 세일즈 수익이 증가한 영향이다. 4분기 당기순이익은 389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약 1318억원 줄었다. KB손해보험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8395억원으로 전년 대비 17.7%(1262억원) 증가했다. 미보고발생손해액(IBNR) 변경으로 인한 환입 및 장기 인보험 신규 증대로 보험 영업손익이 크게 확대된 결과다. 하지만 4분기 당기순이익은 995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685억원 감소했는데, 이는 금융당국의 무해지 상품 해지율 제도 강화 및 한파, 폭설 등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같은 기간 KB라이프생명의 당기순이익은 2694억원으로 15.1%(353억원) 증가했다. 신계약 매출이 늘고, 사업비 효율화 등에 의한 보험손익이 증가한 덕분이다. 다만 4분기는 전 분기 대비 674억원 하락한 86억원을 기록했다. KB국민카드 역시 유실적 회원 증가와 모집비용 효율화로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14.7%(516억원) 증가한 4027억원을 거뒀지만, 4분기 당기순이익은 323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감소했다. 아울러 이날 KB금융은 지난해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에서 밝힌 CET1비율에 주주환원을 연계한 '밸류업 프레임워크'에 따라 지난해 말 CET1 비율 13.51% 중 13%를 초과하는 자본 약 1조7600억원을 올해 연간 현금배당 총액과 자사주 매입·소각 재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이사회는 연간 현금배당 총액을 감안해 총 52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의했다. 하반기에는 올해 하반기 CET1비율 13.50% 초과 자본도 추가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올해도 돌봄과 상생을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 확대 노력을 지속하면서 은행권 맞춤형 소상공인 금융지원 계획에도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이날 KB금융은 실적발표회 자리에서 개인주주 질의응답 시간을 갖고, 사전 접수된 개인주주 질문에 경영진이 직접 답하며 소통 강화에도 나섰다. KB금융 관계자는 "밸류업 계획에서 약속했듯이 개인주주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시장 목소리를 경영에 적극 반영하고자 하는 의지로 봐달라"고 말했다.
2025-02-05 17:3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