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28 월요일
맑음
서울 19˚C
구름
부산 22˚C
안개
대구 22˚C
맑음
인천 15˚C
맑음
광주 15˚C
맑음
대전 17˚C
맑음
울산 20˚C
맑음
강릉 15˚C
맑음
제주 1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밀리스토리'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밀리의서재, 웹소설·웹툰 구독 '밀리 스토리' 출시…종합 독서 플랫폼 도약
[이코노믹데일리] KT밀리의서재가 웹소설·웹툰 구독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이며 종합 독서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전자책 중심이던 사업 영역을 확장해 네이버와 카카오가 양분한 웹 콘텐츠 시장에 구독 모델로 도전장을 내민다. KT밀리의서재는 23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2025년 사업 로드맵'을 발표했다. 박현진 대표는 일반 도서 중심에서 벗어나 콘텐츠와 사업 영역 확대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핵심은 신규 웹소설·웹툰 서비스 '밀리 스토리' 출시다. 밀리 스토리는 오는 6월 웹소설을 시작으로 9월에는 웹툰 콘텐츠까지 순차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기존 플랫폼들이 주로 단건 구매 방식인 것과 달리 밀리 스토리는 월 구독료만 내면 전자책은 물론 웹소설과 웹툰까지 무제한 감상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KT밀리의서재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과 함께 인기 작품 확보에도 주력해 연내 웹소설 1만권, 웹툰 2000권을 서비스한다는 목표다. 인기 웹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 오디오북(6월), 촘촘 작가의 '궁노' 웹툰화(9월) 등이 예고됐다. 오프라인 사업 확장도 본격화한다. 현재 전국 40곳에서 운영 중인 독서 친화 공간 '밀리 플레이스'를 연내 100개 지점으로 늘린다. 이곳을 활용해 작가 북토크나 팬미팅, 독서모임 등 커뮤니티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KT밀리의서재는 향후 3년간 콘텐츠 수급 강화, 우수 인력 영입, IT 인프라 고도화 등에 20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연 매출 1500억원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지난해 매출은 726억원, 영업이익은 110억원이었다. KT그룹과의 시너지도 성장의 중요 동력으로 꼽힌다. 밀리의서재가 발굴한 오리지널 IP를 KT스튜디오지니(드라마), 지니뮤직(OST) 등과 연계해 2차 콘텐츠로 확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기대한다. 박 대표는 KT그룹 내 스토리위즈 인수설에 대해 "아직 확정적으로 말씀 드릴 수 있는 것이 없다"면서도 "향후 밀리의서재 스토리 사업 성장을 위해 필요한 선택을 하게 될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또한 소액주주와의 소통 강화 계획을 밝히며 KT와의 계약이 일방적으로 유리한 불공정 계약이라는 의혹에 대해서는 "일방적으로 한쪽만 유리한 제휴 관계는 성립할 수도 없다"고 해명했다. 박 대표는 "성장세를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고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라며 “시대 흐름에 맞춘 서비스 확장과 사용자 접점 강화를 통해 콘텐츠 소비 확대, 실사용자 증대 등이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4-23 18:16:2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안내… 고객 불안 선제 대응
2
[유통가 사모펀드 쇼크] ① '기업사냥꾼' 된 사모펀드, 점포 매각에 멍드는 홈플러스
3
가상자산 거래소들, SKT 유심 유출에 '보안 강화' 긴급 당부
4
SKT, 해킹 후폭풍 차단 총력…알뜰폰까지 보호 나선다
5
CATL, 5분 충전으로 520km 주행 가능한 차세대 배터리 '선싱' 공개
6
SKT, 전 고객 유심 무상 교체 초강수… "2차 피해 원천 차단" 넘어 신뢰 회복 총력
7
SKT, 유심 해킹 피해 100% 보상 약속… "보호 서비스 가입 우선" [대고객 발표 전문]
8
SKT 유심 무료 교체 첫날 혼란… 온라인 예약에도 '오픈런'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