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3 목요일
맑음
서울 5˚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9˚C
맑음
인천 6˚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7˚C
맑음
울산 6˚C
맑음
강릉 8˚C
흐림
제주 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반도체 업황'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웃은 기업들…SK하이닉스·삼성전자 영업익 급증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국내 주요 기업들의 희비가 업종에 따라 엇갈렸다. 반도체 호황 덕에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등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반면 건설·배터리·석유화학 업종은 업황 부진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큰 타격을 입었다. 2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500대 기업 중 결산 보고서를 제출한 253개 상장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은 183조6690억원으로 전년 대비 66% 늘어났다. 특히 반도체 산업 회복세가 두드러지며 전체 실적 개선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 반도체용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폭증에 힘입어 23조467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7조7303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전년과 비교하면 31조1976억원이 개선된 수치다. HBM 시장 점유율 53%를 기록한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투자 확대에 따른 직접적 수혜를 입은 결과로 해석된다. 삼성전자 역시 반도체 업황 반등과 함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6조1590억원 증가한 32조7260억원을 기록했다. 이어 △한국전력공사 12조9063억원 △HMM 2조9280억원 △LG디스플레이 1조9496억원 △한국가스공사 1조4500억원 △기아 1조592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조408억원 순으로 영업이익 증가폭이 컸다. 하지만 업황 둔화와 원자재·환율 악재에 직면한 건설, 배터리, 석유화학 업종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현대건설은 1년 새 영업이익이 2조원 넘게 줄며 적자전환(-1조2634억원)했고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도 각각 1조5000억~1조6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 감소를 기록했다.
2025-03-26 09:30:09
올해는 '삼전'에도 해뜰날…증권가 '장밋빛' 전망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부진을 겪던 삼성전자가 올해 들어 10% 넘게 상승하며 개인투자자들의 민심을 회복하는 모양새다. 지난해 이어 올해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이 커지자 증권가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으며 목표가 상향 조정에 나섰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올해 들어 13.47%(5만2700원→5만9800원)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 상승률인 9.06%(2400.87→2618.39)를 상회하는 수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7월 8만7800원까지 오르며 10만원을 눈앞에 뒀지만, 국내주식 시장이 대폭락했던 블랙먼데이(8월 5일) 사태 후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특히 작년 11월 4만9900원까지 내려가며 5만원대가 무너지기도 했다. 다만 올해 들어 삼성전자는 분위기 전환에 성공한 모습이다. 올해 5만원 초반으로 시작한 삼성전자는 지난달부터 반등하기 시작했고 이달 17일에는 하루 만에 5.3%가 오르기도 했다. 또 삼성전자는 지난 21일 종가 기준 6만1700원을 기록했는데 종가가 6만원을 넘은 것은 작년 10월(6만1000원) 이후 5개월 만이다. 지난해 8월부터 순매도 해온 외국인 투자자는 이달 들어 삼성전자를 1조3263억원 사들이며, 삼성전자는 순매수 종목 상위 1위(4~24일 기준)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가장 많이 담은 종목 한화에어로스페이스(4339억원), SK하이닉스(3483억원)와 1조 가까이 차이가 났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도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목표 주가를 6만5000원에서 7만원으로 올렸다. 모건스탠리는 "솔직히 반도체 산업이 바닥을 쳤다고 말할 상황은 아니지만 시장은 빠르게 '계곡'(침체 상황) 너머를 보고 있다"며 "우리는 2026년까지 더 장기적인 관점을 갖고 더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모건스탠리는 지난해 9월 '반도체에 겨울이 온다'는 반도체 비관론을 제시하면서 투자 심리가 악화하기도 했다. 삼성전자가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반도체 업황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업황 반등 기대감에 따라 장기간 부진했던 삼성전자로 외국인들의 저가매수세가 집중됐다"며 "고대역폭 메모리(HBM) 납품 기대감이 증가했고 최근 모건스탠리의 투자 의견 상향 등 호재가 더해졌다"고 말했다. 증권가도 목표가를 상향하고 나섰다. 미래에셋증권은 목표가를 8만원으로 제시했다. 김영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2분기 영업이익이 3조9000억원으로 회복할 것으로 추정한다"며 "컨벨셔널 메모리 가격 상승의 최대 수혜를 받을 전망이며 3분기 이후 HBM3E 12단 납품에 대한 기대감도 상존한다"고 분석했다. 차용호 LS증권 연구원은 목표가를 7만원으로 제안하고 "현재 메모리 산업은 레거시 반등 기대감 형성 구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주가 하락의 위험도 제한적이고 레거시 반등에 따른 레버리지 효과 기대감이 커진다면 주가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5-03-25 17:24:36
삼성전자 '삼중고'…'대주주 리스크'에 '탄핵정국' 덮친 격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전자는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실적이 악화를 겪고 있는 가운데 경쟁사들과의 격차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발 빠르게 대처하는 일은 언감생심인 모습이다. 여기에 12·3 비상계엄 사태까지 겹치면서 삼성전자의 미래에 먹구름이 꼈다. 유진투자증권은 9일 ‘삼성전자-(업황+경쟁력+정치)x리스크’란 제목의 리포트에서 “최근 일련의 상황들을 보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가장 큰 요인은 대주주 리스크와 정치 지도자 리스크”라며 “거기에 더해 반도체 업황은 둔화하고 있으며, 수출 통제 등 부담까지 더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선 반도체 업황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반도체 업황은 경기 침체와 함께 스마트폰, 컴퓨터 등 수요 부진이 겹치면서 지난 8월을 기점으로 상승세가 꺾였다. 여기에 그간 설비투자를 대폭 늘려온 중국 업체들의 D램 저가 공세가 겹치면서 공급 과잉 심화로 가격 낙폭이 커졌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범용 D램 가격은 지난 7월 대비 35.7% 떨어졌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지난 3일 "지난해 4분기 큰 폭의 D램 및 낸드 메모리 가격 동반 하락은 관련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쟁력도 떨어지고 있다. 세계 3분기 파운드리 시장에서 1위 TSMC와 2위 삼성전자 간 점유율 격차가 더 벌어졌다. 트렌드포스는 지난 3분기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 점유율이 64.9%로 2분기(62.3%)보다 2.6%p 늘었다고 밝혔다. 반면 삼성전자 점유율은 9.3%로 전분기(11.5%) 대비 2.2%p 떨어졌다. 삼성전자 점유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과 TSMC의 점유율 격차는 올해 들어 꾸준히 벌어지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주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TSMC 주가가 올해 들어 79.6% 급등한 것과 달리 삼성전자 주가는 올해 31% 하락했다. 여기에 탄핵정국으로 대외적 불확실성이 더욱 높아지면서 최근 한 달 새 시가총액 19조원이 증발했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 “한국이 정치적 혼란에 빠지면서 한국 증시는 대만에 더 뒤처질 위험에 직면했다”며 “반면 대만은 ‘AI(인공지능) 붐’ 혜택을 누리며 주식시장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대만 증시의 시가총액은 한국시장(코스피·코스닥 포함)을 약 9500억 달러(약 1350조원) 차이로 앞질렀다. 이는 사상 최대 격차다. 여기에는 이 회장의 사법 리스크도 한몫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을 부당하게 합병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에 관여한 혐의로 이 회장은 9년째 재판을 받고 있다. 이에 경영 보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 현재까지 이사회 복귀를 미루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이 과거보다 몸을 사리는 것은 사법 리스크 같은 외부 요인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2024-12-09 17:30:5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