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4.11.22 금요일
맑음
서울 9˚C
맑음
부산 12˚C
맑음
대구 10˚C
맑음
인천 8˚C
구름
광주 11˚C
맑음
대전 9˚C
맑음
울산 11˚C
흐림
강릉 10˚C
흐림
제주 14˚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뷰티페스타'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뷰티 경쟁 치열한데…CJ올리브영 '어워즈&페스타' 조용한 이유는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헬스앤뷰티(H&B) 1위 업체인 CJ올리브영(올리브영)이 매년 연말 개최한 뷰티 최대 행사 ‘어워즈&페스타’가 올해는 조용한 모습이다. 앞서 컬리와 무신사가 뷰티를 주제로 대규모 오프라인 행사를 연 것과 대조적이다. 일각에서는 e커머스 플랫폼들이 잇달아 뷰티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만큼 올리브영이 올해 대대적인 행사 개편에 나선 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페스타’ 형태의 원조격 행사를 진행해 온 올리브영이 예년과 다른 새로운 형태로 행사를 개최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13일 화장품업계에 따르면 올리브영은 지난 2015년부터 한 해의 인기 상품을 결산하는 ‘어워즈’ 행사를 매년 연말 운영해왔다. 2019년에는 올리브영 창립 20주년을 기념해 기존 어워즈 행사에 입점 브랜드를 체험할 수 있는 컨벤션 행사를 접목한 올리브영 어워즈&페스타를 첫 선보였다. 지난해 열린 올리브영 어워즈&페스타에서는 총 5일간 79개 브랜드가 참여했다. 고객 1만5000여명이 현장을 찾으며 성황을 이뤘다. 행사장 입장 티켓이 오픈 30초 내외로 마감되며 인기를 증명했다. 다만 올해 올리브영의 어워즈&페스타 행사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 매년 11월 중순~말쯤 입장 티켓 오픈이 진행되고 12월 중순께 오프라인 행사가 진행됐다. 현 시점으로도 행사 소식이 없는 것을 미뤄보면 올해 행사는 내년 초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예년과 다른 새로운 형태로 ‘어워즈&페스타’ 행사를 계획 중이고 구상 단계”라며 “시기나 장소는 아직 미정”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올리브영이 연중 최대 행사를 개편하는 것은 최근 e커머스 플랫폼들의 열띤 뷰티 시장 공략과도 무관치 않다. 무신사는 지난 9월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일대에서 41개 브랜드가 참여하는 ‘무신사 뷰티 페스타’를 열었다. 해당 행사에는 1만8000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갔다. 컬리도 지난달 서울 중구 을지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컬리뷰티페스타 2024’를 개최, 2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갔다. 컬리가 뷰티를 주제로 대규모 오프라인 행사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커머스 플랫폼들이 뷰티 시장에 뛰어드는 이유는 장기적으로 안정적 매출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화장품은 계절적 변수가 적고 재구매도 많아 마진율이 높은 데다 식품이나 옷에 비해 부피가 작고 온도에 덜 민감해 관리가 용이하다. 시장 주도권을 쥔 올리브영은 대응 방안을 고심 중이다. 행사 장소도 DDP가 아닌 다른 곳을 물색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일각에서는 올리브영이 ‘어워즈’와 ‘페스타’ 분리 운영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뷰티 시장에서 올리브영 비중(취급액 기준)은 2022년 12.2%에서 올 상반기 17.6%로 커졌다. 올리브영의 전국 매장 수는 지난 6월 말 기준 1354개에 달한다. 오프라인 헬스앤뷰티(H&B) 스토어 시장 점유율이 70%를 넘는 상황으로, 올해 상반기에는 2조2872억원을 달성해 역대 최고 실적을 갈아 치우며 연매출 4조 클럽 진입도 노리고 있다.
2024-11-13 17:55:22
"CJ올리브영에 없는 브랜드 있네"…무신사 뷰티 페스타 성수 가보니
[이코노믹데일리] “CJ올리브영에 입점되지 않은 신진 뷰티 브랜드를 발굴하는 등 차별화를 꾀했습니다. 무신사 패션과 뷰티의 시너지를 창출해 다양한 방식으로 고객 접점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패션 플랫폼 1위 무신사가 서울 성수동 일대에서 총 41개 브랜드가 참여한 대규모 오프라인 행사 ‘무신사 뷰티 페스타 인 성수’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6일부터 오는 8일까지 3일간 진행된다. 서울숲과 성수역을 아우르는 성수동 일대 20만 평의 범위에서 팝업 공간만 3곳을 마련했다. 뷰티 브랜드의 단독 상품 및 선론칭 상품으로 구성됐다. 메인 팝업 공간인 뚝섬역 근처 ‘아이언 빌딩’에는 총 2층으로 구성된 공간에 26개 브랜드가, 성수역 4번출구 앞 ‘무신사 테라스 성수’에 마련된 맨즈 존에는 남성 뷰티 브랜드 5곳이 부스를 차렸다. 테라스 성수서 약 300m 거리에 위치한 ‘무신사 스퀘어 성수4’ 포인트 존에는 색조·향수 10개 브랜드가 자리했다. 특히 무신사 뷰티 행사에는 대형 브랜드도 있지만 80% 가까이가 중소 인디 브랜드로 구성됐다. 대표 브랜드로는 △디마프 △비긴스 바이 정샘물 △온그리디언츠 △프레비츠 △누그레이 △텐스 △에스더블유나인틴(SW19) △유쏘풀 △이스뜨와 드 퍼퓸 △투데이이즈 등이 있다. 이 중에는 화장품 유통 1위인 CJ올리브영에 입점되지 않은 브랜드도 있다. 무신사 관계자는 “중소·중견 인디 브랜드들로 구성한 이유는 발굴 및 육성을 지원한다는 의미”라며 “이번 기회를 통해 K-뷰티 주역으로 떠오른 중소 브랜드를 알리는 통로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무신사 뷰티 페스타에는 여성 고객 뿐 아니라 해외 고객 및 남성 고객의 발길도 잇따랐다. 일본, 중국 등 외국인 고객들은 팝업스토어에 마련된 체험 프로그램들을 통해 K-뷰티를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경험했다. 맨즈 존을 찾은 남성 고객들도 브랜드 팝업스토어에서 헤어 시연을 받기도 하고 취향에 맞는 향수를 추천받으며 좋은 반응을 보였다. 페스타를 찾은 한 남성 고객은 “평소 화장품에 대해 관심이 별로 없고 뷰티 행사가 있는지도 몰랐는데 여자친구를 통해 알게 됐다”며 “생각보다 남성용 화장품이 잘 나오고 여러 제품이 있다는 것에 놀랐다”고 말했다. 무신사에 따르면 장당 1만5000원에 판매된 이번 행사 얼리버드 티켓은 1분 만에 매진이 됐고 하루 2000장, 총 3일 티켓이 약 6000장 팔릴 정도로 큰 관심을 모았다. 티켓 구매자만을 위한 특별 혜택으로는 입장 시 무신사 뷰티에서 제작한 구디백과 40만원 상당 참여 브랜드의 스페셜 기프트를 제공한다. 성수동 일대 뷰티·F&B 제휴처 40여 곳에서 누릴 수 있는 할인 및 샘플 증정 혜택도 있다. 무신사 뷰티는 지난 2020년 4월 첫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현재 1700여개 브랜드가 입점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무신사는 지난 8월 걸그룹 에스파 멤버인 카리나를 모델로 발탁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나섰다. 그 결과 뷰티 카테고리에서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무신사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뷰티 관련 누적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94% 증가했다. 지난달 기준 무신사 뷰티 신규 고객은 전년 동월 대비 무려 443% 급증했다. 무신사 뷰티 페스타는 지난해 5월 온라인에서 처음 진행했으며, 오프라인에서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무신사 관계자는 “무신사 뷰티는 패션 영역에서의 성장 노하우를 바탕으로 잠재력 있는 신진 브랜드를 육성하고, 브랜딩·마케팅 지원 및 판로 확대에 힘쓸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방식으로 고객 접점을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2024-09-06 17:16: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T1, '제우스'와 계약 종료…'제오페구케' 3년 역사에 마침표
2
'전기 먹는 하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SMR이 '해결사' 될 수 있을까?
3
1세대 화장품 기지개 켜는데…네이처리퍼블릭 '뒷걸음질'
4
'기후깡패' 트럼프 당선 이후 기후변화 둘러싸고 흔들리는 국제사회
5
[종합] 현대차 울산 공장 연구원 3명 사망…"원인 규명 조속히"
6
'4만전자' 반도체 경쟁력 하락… 외국인 투자자 "'지배구조 리스크'가 키웠다"
7
지스타 2024, 4일간의 대장정 성료…새로운 방향성 제시하며 성황리에 막 내려
8
[지스타 2024] 하이브IM, 지스타 2024 첫 무대…신작 아키텍트로 새로운 경험 선사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AI 시대, 개발자의 미래와 생존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