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3 목요일
맑음
서울 8˚C
구름
부산 9˚C
맑음
대구 10˚C
맑음
인천 5˚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8˚C
맑음
울산 6˚C
흐림
강릉 8˚C
흐림
제주 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블록화'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한화에어로 경영진, 48억 자사주 매입…유상증자 후폭풍 진화 나서
[이코노믹데일리]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경영진의 대규모 자사주 매입을 통해 유상증자 이후 불거진 시장의 우려를 진화하고 나섰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김동관 부회장을 포함한 최고경영진이 총 48억원 규모의 주식을 24일부터 순차적으로 장내매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자사주 매입은 경영진이 회사의 미래 성장성에 대한 자신감을 시장에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된다. 지난 20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국 자본시장 사상 최대 규모인 3조6000억원의 유상증자를 발표한 이후 주가는 13% 하락했다. 이에 따라 주주들의 반발이 커지자 이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김동관 부회장은 4900주, 약 30억원 규모의 주식을 매입하며 손재일 사업부문 대표와 안병철 전략부문 사장도 각각 9억원, 8억원어치를 매입할 예정이다. 이들의 매입 규모는 각자의 연봉 수준에 육박한다. 또 약 100명의 임원도 자율적으로 지분 매수에 나설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책임 경영을 실천하고 회사와 주주의 미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하며 경영진의 주식 매입 배경을 강조했다. 그러나 시장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를 주가 급락과 소액주주의 비판을 의식한 대응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일부 주주들 사이에선 “사상 최대 이익을 낸 기업이 왜 유상증자로 투자금을 조달하느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럽 중심의 방산 블록화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공장 설립 등 대규모 투자가 필수적이었다”며 “차입 대신 유상증자를 선택함으로써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고 부채비율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5-03-24 09:32:01
인도 철강 시장 열렸다…포스코, 인도 진출 재도전
[이코노믹데일리] 포스코그룹이 인도 현지에 제철소 건설을 추진한다. 인도 경제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강판과 건설용 철강재 등을 중심으로 철강 시장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다. 인도 정부도 이전과 달리 해외 기업 유치 기조를 유지하면서 포스코그룹이 기회를 포착한 것으로 해석된다. 정기섭 포스코홀딩스 전략기획촐괄 사장은 지난 30일 열린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현재 인도로부터 2개 공장 부지를 제안받아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며 “고급 자동차 강판 위주로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그룹이 지난 21일(현지시간) 인도 1위 철강기업 JSW그룹과 철강·배터리 소재·재생에너지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것을 두고 한 말이다. 두 회사는 오디샤주(州)에 연산 500만t 규모의 일관제철소를 건설하기로 했다. 일관제철소는 원료를 가공해 최종 제품까지 생산하는 대규모 공장을 말한다. 포스코그룹은 현지에서 직접 철강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그동안은 마하라슈트라 지역에 있는 냉연·도금 강판 공장에서 한국에서 들여온 강판을 가공해 완성차 업체에 공급했다. 가공에서 현지 생산으로 변화를 줌으로써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기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공급망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포스코그룹은 기대하고 있다. 정 사장은 "지정학적 리스크와 보호무역주의로 세계 철강 시장 공급망이 블록화돼 주요 시장에 대해선 현지화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기존 하공정 중심의 글로벌 성장 방식에서 벗어나 상공정 중심으로 시장 선점을 추진하기 위해 인도 JSW그룹과 협력했다"고 밝혔다. 포스코그룹이 인도 시장 공략에 나선 이유는 자동차·부품 및 건설 등 인프라 개발 부문이 꾸준히 성장하면서 인도의 철강 소비량도 같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철강 전문 분석기관인 ‘월드 스틸 다이내믹스’는 인도 철강 수요가 지난해 1억2000만t에서 오는 2047년 3배 이상(4억t) 늘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인도 철강 수요는 1억3600만t으로 지난해보다 13% 증가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인도 시장 환경이 포스코그룹에 유리하게 바뀐 점도 꼽힌다. 지난 6월 인도의 모디 정부는 '비전 2047'를 발표하며 오는 2047년까지 인도 내 철강 생산량을 연간 5억t으로 3배가량 증설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모디 정부가 등판한 이후 외국계 기업 진출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됐다”며 “인도 산업이 계속 성장 중이기 때문에 인도 시장의 지속 확장을 염두에 두고 공장 설립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2024-10-31 16:45:00
포스코, 인도 철강사 JSW그룹과 업무협약 체결
[이코노믹데일리] 포스코그룹이 인도 1위 철강사인 JSW그룹과 철강, 이차전지소재, 재생에너지 분야 사업 협력에 관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21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과 사잔 진달 JSW그룹 회장이 참석했다. 포스코그룹과 JSW그룹은 이번 MOU 체결에 따라 인도에 제선·제강·압연의 세 공정을 모두 갖춘 일관제철소를 합작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비롯해 이차전지소재, 재생에너지 등 핵심 사업 분야에서 다양한 사업 기회를 함께 발굴하고 그룹 차원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일관제철소는 인도 동부에 위치한 오디샤주 지역을 우선 대상 지역으로 검토해 연 500만t 규모로 건설을 추진하고 이후 추가로 확장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장인화 회장은 "JSW그룹과 함께 한-인도 양국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친환경시대로의 전환을 선도해 나가길 기대한다"며 "경제 블록화를 극복하고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철강 상공정 중심의 해외 투자를 확대하는 등 그룹 차원의 미래 성장 투자를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4-10-29 15:13:2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