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6건
-
-
-
은행권, 연말 대출 조이기…대환 중단·우대금리 축소
[이코노믹데일리] 연이은 기준금리 인하에도 '대출 절벽'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은 연말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대환대출을 한시적으로 중단하거나, 우대금리 축소까지 나섰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33조338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732조812억원) 대비 1조2576억원 늘어난 수치지만, 증가 폭은 크게 줄었다. 앞서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폭은 △7월 7조1660억원 △8월 9조6259억원 △9월 5조6029억원 △10월 1조1141억원을 기록했다.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와 함께 한국은행이 10월과 11월 기준금리를 연속으로 내렸지만, 소비자의 체감 효과는 없는 상황이다. 은행들은 올해 초 설정한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맞춰야 하는데 이미 지난 8월 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연간 대출 총량을 과도하게 넘기면 내년 총량 설정 시 패널티를 주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연말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총력에 나섰다. 갑자기 대출 금리를 건드릴 경우 대출 수요가 급격히 쏠릴 수 있어 기조를 유지한단 입장이다. 하나은행은 오는 9일부터 타 금융기관 대환 목적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신용대출 판매를 중단한다. 다만 금융 취약차주 보호를 위한 서민금융상품(새희망홀씨대출, 햇살론15, 햇살론뱅크) 등은 계속 판매할 예정이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15일에도 비대면 전용 대출 상품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 4일부터 일부 신용대출 상품의 우대금리 항목을 최대 1.4%p 없애기로 했다. 이에 따라 '우리 주거래 직장인대출' 등 8종 상품의 금리가 일제히 높아진다. 또 이와 별도로 연장·재약정 고객에 대한 우대금리도 최대 0.5%p 축소한다. 앞서 신한·하나·우리·농협·IBK기업은행은 비대면 가계대출을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지방은행들도 시중 은행에서 막힌 대출 수요가 쏠리는 현상인 '풍선 효과' 방지를 위해 비대면 대출 문을 걸어 잠갔다. 여기에 대환대출까지 중단된 곳은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이다. 은행들은 대출 금리를 내리자니 총량 기준이 걸리고, 버티자니 금융당국 압박과 이자 장사 비판 등을 견뎌야 해 난감한 상태다. 금융당국도 일관되지 않은 주문을 하고, 은행을 향해 새 대출 심사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달 5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금감원 임원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로 경제 주체가 금리 부담 경감 효과를 체감해야 하는 시점에서 예대금리차 확대로 희석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뒤이어 지난달 28일엔 "가계대출이 급격하게 팽창하는 건 용인할 수 없고, 12월이 지나도 관리 기조는 바뀌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당국 주문에 따라 연말까지는 가계대출 관리 강화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본다"며 "실수요자나 금융 취약계층을 위해 일부 규제는 완화하고 있고, 가계대출 수요 변동성을 모니터링해 추가 대책 마련을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2024-12-05 17:41:26
-
신종 스미싱 기승…취준생 노린 범죄 사례 속출
[이코노믹데일리] 최근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한 신종 스미싱(SMS+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단순히 악성 URL을 포함한 문자 메시지에서 벗어나, 개인 대화방이나 메신저를 활용한 지능적 수법이 등장하고 있다. 20대 취준생 A씨는 최근 특정 회사에서 이력서가 마음에 든다며 화상 면접을 보자는 제안을 받았다. 담당자로 사칭한 사람은 화상회의 앱 설치 링크를 이메일로 전송했고, A씨는 이를 내려받아 접근 권한을 허용했다. 이후 면접비 지급 명목으로 신분증 복사본을 요구받았고, 결과적으로 A씨 명의로 대포폰 개설과 비대면 대출 피해를 입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최근 스미싱 범죄는 취업난에 시달리는 청년층의 심리를 교묘히 악용하고 있다. 단순히 URL을 문자에 포함시키는 대신, 메신저 대화방으로 유도해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거나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KIS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스미싱 탐지 건수는 2022년 약 3만 7000건에서 2023년 약 150만 건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공공기관을 사칭한 스미싱이 전체 탐지 건수 중 96만 건에 달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공격자는 과태료 부과, 벌금청구서 발급 등을 사칭하는 문자 메시지로 피해자를 유인하거나, 대화방에서 공감을 얻는 대화를 통해 악성 URL을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동연 KISA 국민피해대응단장은 “스미싱 메시지에 발신 번호를 변조해 공공기관이나 기업, 지인을 사칭하는 사례가 많다”며 “발신 단계부터 범죄를 차단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스미싱 범죄가 진화함에 따라 KISA는 삼성전자와 협력해 갤럭시 스마트폰에 악성 메시지를 자동 차단하는 기능을 추가했다. 공공기관에서 발송한 문자는 ‘안심마크’를 도입해 신뢰도를 높이고, 문구 변조를 막는 동적 효과도 적용 중이다. KISA는 또한 ‘스미싱 확인 서비스’를 운영하며, 사용자가 의심 문자를 복사해 붙여넣으면 악성 URL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QR 코드를 이용한 큐싱(QR+스미싱) 피해에 대비해, QR 코드 분석 시스템도 올해 안에 도입할 예정이다. KISA 관계자는 “디지털 환경이 발전하면서 스미싱 등 범죄 수법도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다”며 “국민피해대응단을 중심으로 예방 조치를 강화하고,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4-12-01 16:00: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