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4 금요일
안개
서울 7˚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6˚C
안개
인천 8˚C
맑음
광주 11˚C
흐림
대전 10˚C
구름
울산 11˚C
흐림
강릉 11˚C
흐림
제주 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사상 최고가'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비트코인, 트럼프 취임 후 랠리 시동… 사상 최고가 경신 눈앞
[이코노믹데일리] 비트코인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다시 한번 상승 랠리를 시작하며 사상 최고가 경신을 목전에 두고 있다. 21일(현지시간)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미 동부 시간 오후 2시 27분 기준 10만 6924달러(1억 5359만원)에 거래되며 24시간 전 대비 3.48% 상승했다. 이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전 기록한 사상 최고가인 10만 9000달러에 근접한 수치다. 비트코인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직후 10만 1000달러 선 아래까지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으나 이날 10만 7000달러 선에 육박하며 빠르게 반등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첫날 행정명령에 가상화폐 관련 내용이 포함되지 않아 실망했던 투자 심리가 다소 회복된 결과로 풀이된다. 스탠다드앤드차타드의 디지털 자산 리서치 글로벌 헤드 제프리 켄드릭은 "가상자산 시장은 어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연설이나 첫날 행정명령에서 (가상화폐가) 언급되지 않은 것에 실망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가상자산에 대한 소식이 나오지 않으면 비트코인은 10만 달러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이 비트코인 가격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처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가상화폐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있는 만큼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발표를 예의주시하며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시점이다. 한편 주요 알트코인들도 일제히 상승세를 기록했다.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0.14% 오른 3329달러, 리플은 1.13% 상승한 3.20달러에 거래됐다. 솔라나와 도지코인 역시 각각 3.71%, 7.22% 오르며 255달러와 0.38달러를 기록, 전반적인 가상화폐 시장의 상승 분위기를 이끌었다. 지난 17일 거래를 시작한 '트럼프 코인'은 11.55% 급등한 42.53달러를 기록하며 40달러 선을 회복했다. 트럼프 코인은 지난 19일 74달러까지 치솟았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 직전인 전날에는 31달러 대까지 50% 이상 급락하는 롤러코스터 행보를 보인 바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연관성이 부각되며 변동성이 극대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멜라니아 여사가 출시한 '멜라니아 코인'은 24.88% 하락한 4.20달러를 기록하며 상반된 움직임을 보였다.
2025-01-22 10:49:12
비트코인, 연준 경제전망 여파로 하락세…9만7천달러선 등락 반복
[이코노믹데일리]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경제전망과 관련된 악재로 인해 이틀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비트코인은 -2.6% 내린 9만753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지만 내년 금리 인하 횟수를 기존 4회에서 2회로 줄인다는 경제전망을 발표하며 비트코인 시장에 충격을 줬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10만 달러 아래로 내려갔고 10만2700달러까지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이후 다시 하락하며 9만9000달러 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 같은 가격 변동은 지난 17일 기록했던 사상 최고가(10만8300달러)와 비교해 8% 이상의 격차를 나타낸다. 이날 이더리움은 9.11% 급락한 3532달러에 리플은 7% 하락한 2.27달러에 거래됐다. 솔라나와 도지코인도 각각 5.8%와 10.44% 떨어져 201달러와 0.34달러를 기록하며 주요 가상화폐 전반에 하락세가 이어졌다. 연준은 기준금리 인하를 발표하면서도 내년 말 기준금리를 3.9%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이전 전망치(3.4%)보다 높은 수준으로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긴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된 비트코인의 전략적 비축과 관련해 "연준은 비트코인을 소유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또한 비트코인 비축을 위한 법적 제도 마련에 대해서도 "그 문제는 의회가 다룰 사안이며 연준은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의 이 같은 발언은 미국 대선 이후 비트코인 상승 기대감을 저하시켰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상화폐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의 경제전망 발표와 파월 의장의 발언이 비트코인 및 주요 가상화폐의 가격 변동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특히 내년 금리 인하 횟수 축소와 기준금리 상향 조정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가상화폐 시장이 연준의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비트코인의 추가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2024-12-20 08:49:35
비트코인, 하루 만에 사상 최고가 경신…10만7천800달러 근접
[이코노믹데일리]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하루 만에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 대통령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의 전략적 비축 기금 언급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시장의 긍정적 분위기를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16일(현지시간) 미국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오후 2시 44분 기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전날보다 3.16% 오른 10만6458달러(약 1억5313만원)에 거래됐다. 한때 가격은 10만7800달러를 넘어서며 전날 기록했던 사상 최고가(10만6500달러)를 하루 만에 다시 갈아치웠다. 이 같은 상승세는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이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주말 미 경제전문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과 관련해 "석유 비축 기금처럼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기금을 만들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중국이나 다른 어떤 나라가 먼저 주도권을 잡게 하고 싶지 않다"며 "미국이 가상화폐와 관련해 대단한 일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도 비트코인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장은 오는 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를 앞두고 금리 인하를 확실시하는 분위기다. CNBC는 "연준의 금리 인하는 달러 약세와 통화 공급 증가를 의미하며 이는 비트코인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비트코인 상승에 힘입어 주요 가상화폐도 강세를 보였다. 같은 시간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3.84% 오른 4062달러를 기록했고 리플은 2.51% 상승한 2.47달러에 거래됐다. 반면 솔라나는 1.11% 내린 219달러, 도지코인은 0.68% 오른 0.41달러를 나타냈다. 이런 가운데 비트코인의 대표적인 '큰손'으로 불리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하며 시장에 긍정적 신호를 줬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창업자 마이클 세일러는 최근 1만5350개의 비트코인을 추가로 매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해당 기업의 총 비트코인 보유량은 43만9000개로 이는 약 460억 달러(약 66조원)에 달한다. 가상화폐 시장은 트럼프의 정책 방향과 연준의 금리 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향후 비트코인과 주요 가상화폐의 상승세가 이어질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24-12-17 08:17:1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끝나지 않는 배민과 쿠팡이츠의 전쟁"…권역 확대에 포장 수수료 무료까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