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25 금요일
구름
서울 34˚C
흐림
부산 31˚C
구름
대구 34˚C
구름
인천 32˚C
맑음
광주 34˚C
맑음
대전 34˚C
맑음
울산 33˚C
맑음
강릉 33˚C
흐림
제주 3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삼양바이오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인적분할로 체질 개선 나선 삼바에피스·삼양, R&D 분리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잇따라 인적분할을 단행하며 사업 구조 고도화와 전략적 투자 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양홀딩스의 분할 결정은 변화하는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흐름을 반영한 행보로 풀이된다. 기업이 분할을 택하는 주요 이유로는 △사업 구조의 차이에 따른 전문성 강화 △투자 유치 용이성 △기업가치 재평가·상장 추진 △리스크 분리 등이 있다. 이번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삼양바이오팜의 분할은 특히 사업 부문 간 차이에 따른 전문성 강화를 위한 결정으로 보인다. 제약·바이오 산업은 R&D(연구개발), 위탁개발생산(CDMO), 판매 마케팅 등 각 부문의 성격과 수익 구조가 뚜렷하게 다르다. 신약 개발은 수년간 적자를 감수해야 하는 반면 CDMO는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한다. 때문에 분할을 통해 각 부문이 독립적으로 성장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삼성에피스홀딩스를 분할 신설하며 바이오시밀러 사업과 CDMO 사업을 명확히 분리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담당해온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홀딩스에 이관함으로써 기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 사업에 전념하게 됐다. 이 같은 구조는 각 사업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CDMO는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대형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고유 브랜드 없이 대규모 설비와 품질 역량이 핵심 경쟁력이다. 반면 바이오시밀러는 개발부터 허가, 유통까지 복합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급격한 글로벌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민첩하게 대응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양사가 각 사업에서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번 분할을 결정했다"며 "양사 모두가 성장을 가속화해 글로벌 톱티어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삼양홀딩스 역시 같은 달 인적분할을 통해 삼양그룹의 지주회사인 삼양홀딩스가 삼양바이오팜을 신설하고 삼양홀딩스 내 바이오팜그룹을 별도의 사업회사로 분할했다. 삼양홀딩스의 사업 부문은 크게 식품, 화학, 기타(의약) 등으로 나뉘며 이 중 바이오팜 부문은 산업 내에서 높은 기술력과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지주회사 내 하나의 사업 부문으로 존재해 제대로 된 가치 평가를 받지 못했다. 삼양홀딩스는 이번 인적분할을 통해 지주회사와 사업회사의 정체성을 명확히 구분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 선택적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의약바이오 사업에 대한 시장의 가치 평가를 새롭게 받겠다는 전략이다. 인적분할을 선택한 이유로 ‘주주 가치 제고’를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인적분할은 기존 홀딩스 주주의 지분이 신설 회사인 삼양바이오팜으로 그대로 승계되기 때문에 분할 이후 각 회사의 가치가 독립적으로 재평가될 수 있다. 반면 물적분할을 선택할 경우 신설 회사의 지분은 모회사가 100% 보유하게 되므로 기존 주주의 지분 희석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투자 유치 측면에서도 신설 법인이 직접 자금을 조달하기 어렵고 모회사를 통한 간접적인 방식에 의존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분할기일은 11월 1일이며 신설법인은 11월 24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될 예정이다. 이번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양홀딩스의 인적분할 사례를 통해 업계는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이 ‘대형화’와 동시에 ‘전문화’되는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각 부문의 고유 경쟁력에 집중하고 외부 파트너와의 협력 채널을 넓히기 위한 인적분할은 국내 바이오 산업의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R&D 조직을 인적분할 방식으로 분리할 경우 새 파이프라인의 가치 평가가 명확해지고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 개발이나 기술이전(TLO) 협상 시 지분 투자 유치가 쉬워진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2025-06-10 17:58:28
삼양홀딩스, 의약바이오 분할…'삼양바이오팜' 신설해 11월 상장 추진
[이코노믹데일리] 삼양그룹의 지주회사 삼양홀딩스가 바이오팜그룹을 분할해 신설법인 ‘삼양바이오팜’을 설립하며 오는 11월 1일 공식 출범 및 코스피 상장을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분할은 인적분할 방식으로 기존 주주는 삼양홀딩스와 신설회사 지분을 동일한 비율로 나눠 갖게 된다. 신주 배정을 앞둔 10월 30일부터 거래가 일시 정지되며 11월 24일 변경·재상장이 예정돼 있다. 분할 이후 삼양홀딩스는 순수 지주회사로 전환되며 엄태웅 대표가 이를 총괄하고 삼양바이오팜은 김경진 대표 체제에서 의약바이오 사업을 전담한다. 삼양홀딩스는 이번 분할에 대해 “바이오 사업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시장에서 적절한 가치 평가를 받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삼양그룹은 1993년 국내 최초 생분해성 수술용 봉합사를 개발했으며 현재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약 45개국, 190여 기업에 원사를 공급 중이다. 항암제 분야에서는 고형암 7종, 혈액암 5종을 포함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으며 최근 연간 500만 바이알 생산 규모의 항암주사제 공장을 증설했다. 해당 시설은 국내 유일하게 EU·일본 GMP 인증을 모두 획득했다. 또한 자체 개발한 유전자 전달체 ‘SENS’ 플랫폼을 통해 siRNA, mRNA 등 차세대 유전자 치료제 분야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SENS는 고분자 기반 전달체로 기존 LNP보다 더 안전하고 조직 특이적 전달이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5-05-30 17:01:2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LCK '마지막 희망' 젠지, EWC 롤 결승서 T1 무너뜨린 AL에 복수하나
2
'갤럭시 Z 폴드7' 사전예약, 사상 첫 플립 추월…두께·무게 혁신 통했다
3
690조 '스타게이트' AI 프로젝트 차질…엔비디아 등 반도체주 급락
4
이해진의 승부수...북미판 네이버 블로그 '싱스북' 연내 출시 미국 SNS 판도 흔들까
5
체코 원전 덕에…올 상반기 해외건설 수주 11년 만에 최고
6
12만명 개인정보 털렸는데, 72시간 묵살…공공기관 보안의 민낯
7
[르포] '자본시장 1세기' 꿰뚫는 한국거래소 역사관…"증시 심장, 여의도에 뿌리내리다"
8
국내 AI 기술, 글로벌 무대서 '성과' 입증…LG·업스테이지·네이버 약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카드사 불황의 이면…'규제와 완화' 사이에서 균형을 잃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