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21 월요일
흐림
서울 30˚C
흐림
부산 29˚C
비
대구 30˚C
흐림
인천 30˚C
비
광주 30˚C
흐림
대전 29˚C
흐림
울산 30˚C
흐림
강릉 30˚C
흐림
제주 3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스핀라자'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제약·바이오 기업, 유전자 치료제 개발 박차…글로벌 진출 가속
[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유전자 치료 시장이 오는 2032년까지 약 366억달러(약 5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바이오협회는 29일 발표한 ‘글로벌 유전자 치료 시장의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서 미국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 자료를 인용해 2023년 약 72억달러(약 10조원) 수준이었던 유전자 치료 시장이 향후 9년간 연평균 19.4%의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유전자 치료는 질병 치료를 위해 유전자를 조작하는 첨단 의학 기술로 특히 ‘유전자 침묵’ 치료 부문이 2023년 기준 시장의 47.7%를 차지하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유전자 침묵은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차단해 질환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대표 치료제로는 바이오젠의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 ‘스핀라자’가 있다. 치료 영역별로는 신경계 질환 치료가 전체의 57.4%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이는 만성질환 증가와 고도화된 치료 수요 증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북미 시장이 36억달러(약 5조원) 규모로 가장 크며 활발한 신약 개발과 높은 연구개발(R&D) 투자 등이 배경으로 꼽힌다. 국내 기업들도 유전자 치료제 시장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유전자 치료제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선정했으며, 에이비엘바이오는 항체 치료제 외 유전자 치료제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RNA 기반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는 알지노믹스는 최근 일라이릴리와 유전성 난청 치료를 위한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총 계약 규모는 1조9000억원에 달한다.
2025-05-29 10:34:1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LCK '마지막 희망' 젠지, EWC 롤 결승서 T1 무너뜨린 AL에 복수하나
2
사우디 '오일머니', T1 유니폼 입다…e스포츠-관광 첫 대규모 초대형 스폰서십
3
'갤럭시 Z 폴드7' 사전예약, 사상 첫 플립 추월…두께·무게 혁신 통했다
4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
5
모듈러부터 UAM까지… GS건설, 미래 건설 패러다임 뒤흔든다
6
'단통법'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지원금 상한 폐지, '성지' 부활이냐 '호갱' 양산이냐
7
잠실 르엘, 조합 내홍에 '공사 중단' 경고…롯데건설 "분양 지연 땐 책임 묻겠다"
8
SKT 사태가 부른 '보안 군비경쟁'…KT, 1조원 맞불에도 '이제와서' 비판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