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19 토요일
비
서울 21˚C
비
부산 25˚C
비
대구 22˚C
비
인천 22˚C
비
광주 24˚C
비
대전 23˚C
비
울산 23˚C
흐림
강릉 23˚C
흐림
제주 2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아톰 맥스'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국산 LLM에 국산 AI칩…SKT-리벨리온, '소버린 AI' 동맹 본격화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의 NPU를 자사 AI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상용화 테스트에 착수했다. 이번 협력은 SKT가 자체 개발한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국산 AI 반도체 위에서 구동하는 '소버린 AI(국가주권형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SKT와 리벨리온은 25일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 'PASS 스팸필터링' 등 주요 AI 서비스에 리벨리온의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아톰(ATOM)'을 탑재해 테스트 중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테스트 결과에 따라 성능 강화판인 '아톰 맥스(ATOM-Max)'를 연내 상용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산 LLM인 '에이닷엑스(A.X)' 기반의 서비스가 국산 NPU를 통해 제공될 경우 소프트웨어부터 하드웨어까지 이어지는 완전한 국내 AI 기술 자립 모델이 실현되는 셈이다. SKT는 향후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리벨리온 NPU 서버 도입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상민 SKT 성장사업추진실장은 “국가 간 AI 기술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이 때, 국내 AI 생태계 자립성 강화는 개별 기업이 아닌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며 “SKT는 앞으로도 AI 데이터센터, LLM, AI 반도체 등을 포함한 국내 AI 생태계의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국산 AI반도체가 SKT의 국산 LLM 기반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게 된 것은 기술적 완성도를 넘어 국내 AI 생태계 자립을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리벨리온은 앞으로도 안정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인 AI 인프라를 통해 대한민국이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2025-06-25 11:33:03
KT클라우드, 업계 최초 'AI DC 실증센터' 구축… 데이터센터 혁신 선도
[이코노믹데일리] KT클라우드가 급증하는 데이터 트래픽 시대에 발맞춰 인공지능(AI)과 친환경 기술을 융합한 미래형 데이터센터(DC)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KT클라우드는 업계 최초로 ‘AI DC 실증센터’를 구축한다고 발표하며 데이터센터 운영 혁신을 향한 야심찬 포부를 25일 밝혔다. AI DC 실증센터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데이터센터 운영의 핵심 과제인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KT클라우드는 실증센터를 통해 AI 기반의 데이터센터 자동 운영 기술을 실증하고 전력 소비, 냉각 시스템, 네트워크 등 데이터센터 운영 전반을 최적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특히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한 다양한 친환경 기술 도입에 주력한다. 수냉식 냉각 방식, 신재생 에너지 활용 등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을 실증하고 데이터센터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KT클라우드는 AI DC 실증센터를 목동 DC 2센터 내에 구축하고 오는 11월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솔루션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과 공공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실증센터 투어 프로그램도 운영하여 미래형 데이터센터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본격적인 기술 실증 및 운영 최적화 검증은 실증센터 개관과 동시에 시작된다. KT클라우드는 나아가 독립형 AI DC 실증센터 구축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2028년까지는 완전 자율 운영이 가능한 에너지 자립형 데이터센터 환경을 구축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했다. KT클라우드는 또한 AI 연산 수요 급증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고성능 GPU 인프라 확충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올해 3분기에는 엔비디아의 최신 GPU인 H200을 기반으로 한 구독형 GPU 서비스(GPUaaS)를 서울 가산 데이터센터와 경북 예천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과의 협력을 통해 AI 추론 인프라 경쟁력 강화에도 힘쓴다. KT클라우드는 리벨리온의 AI 반도체 칩 ‘아톰 맥스’를 기반으로 한 NPU(신경망처리장치) 인프라를 5월부터 자사의 상품 라인업에 추가하여 고객들에게 더욱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할 계획이다. 허영만 KT클라우드 DC본부장은 “이번 AI DC 실증센터 구축은 KT클라우드의 앞선 기술력을 빠르게 현장에 적용하고 파트너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데이터센터 생태계 전체를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데이터센터 운영 기술과 서비스를 통해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2025-03-25 14:23:28
kt cloud, GPUaaS에 엔비디아 H200 GPU 탑재… 고성능 AI 인프라 '최적화'
[이코노믹데일리] kt cloud가 GPUaaS(GPU as a Service)에 최신 엔비디아 H200 GPU를 도입하며 고객에게 더욱 강력하고 효율적인 고성능 AI 인프라를 제공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H200 GPU 도입은 kt cloud가 AI 인프라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의 수요에 발맞추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kt cloud는 공공기관과 AI 스타트업 등 AI 인프라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사용량 기반의 GPUaaS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단기간에 고성능 GPU 자원이 필요한 학습 영역에 특화된 ‘AI Train’과 상시적인 GPU 자원 공급이 중요한 추론 영역에 최적화된 ‘AI SERV’ 등 엔비디아 GPU 기반의 다양한 상품 라인업을 구축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번에 H200 GPU가 적용되는 서비스는 ‘AI Train’이다. kt cloud는 기존 H100 GPU 중심으로 운영되던 ‘AI Train’ 서비스에 H200 GPU를 추가함으로써 AI 인프라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미 다수의 고객 레퍼런스를 통해 대규모 GPU 노드 클러스터링 및 동적 할당 제어 기능을 검증받은 ‘AI Train’은 H200 GPU 도입을 통해 더욱 강력한 AI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엔비디아 H200 GPU는 최신 호퍼(Hopper) 아키텍처 기반으로 개발된 최첨단 GPU로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워크로드 처리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제품이다. H200 GPU는 이전 모델인 H100 대비 연산 처리 능력과 전력 효율성이 향상되었으며 메모리 대역폭 또한 크게 확장되어 AI 학습 및 추론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kt cloud는 GPU뿐만 아니라 NPU(Neural Processing Unit) 기반 서비스로도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리벨리온과의 협력을 통해 추론 전용 인프라 서비스인 ‘AI SERV NPU’를 제공 중이며 올해 5월 출시 예정인 리벨리온의 차세대 NPU ‘아톰 맥스’를 ‘AI SERV NPU’에 적용하여 소형언어모델(sLM) 성능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더불어 미국 반도체 설계 기업 암페어(Ampere)와 AI 반도체 사업 협력을 논의하는 등 다양한 업계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AI 사업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kt cloud는 공공 분야 AI 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한다. 올 하반기 공공기관 대상 추론 전용 상품에 대한 CSAP(클라우드 보안 인증) 획득을 추진하여 공공 분야의 AI 수요 증가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공용준 kt cloud Cloud본부장은 “이번 엔비디아 H200 GPU 도입은 kt cloud가 글로벌 수준의 AI 인프라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향후 AI 인프라뿐만 아니라 AI Ops 등 AI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기술 경쟁력 향상을 통해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02-24 10:22:2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애플 아이폰 17, 9월 공개 전망…초슬림 '에어' 모델 추가, '전면 재설계'
2
정부, 카드사에 '민생쿠폰 수수료 인하' 요청했지만 또 무산
3
실적 성장세에도 中 수주량 절반인 K-조선, 돌파구는 친환경 전략
4
갤럭시 Z7 예판 돌입, 단통법 폐지 맞물려 통신사 '보조금 대란' 예고
5
[편집인칼럼] 시진핑의 '문명대회', 일대일로를 잇는 새로운 세력 확장 전략인가
6
모듈러부터 UAM까지… GS건설, 미래 건설 패러다임 뒤흔든다
7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
8
잠실 르엘, 조합 내홍에 '공사 중단' 경고…롯데건설 "분양 지연 땐 책임 묻겠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