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7건
-
-
-
-
-
정의선·정기선, '현대'를 되찾은 진짜 의미…20여년 만에 다시 이어진 현대家의 피
※ '강철부대'는 철강·조선·해운·방산 같은 묵직한 산업 이슈를 유쾌하게 풀어내는 코너입니다. 붉게 달아오른 용광로, 파도를 가르는 조선소, 금속보다 뜨거운 사람들의 땀방울까지. 산업 한복판에서 만나는 이슈를 '강철부대원'처럼 직접 뛰어다니며 생생하게 전해드립니다. 새로운 에너지를 충전하는 주말, 강철부대와 함께 대한민국 산업의 힘을 느껴보세요! <편집자주> [이코노믹데일리] 대한민국 재계서열 3위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8위 정기선 HD현대그룹 회장이 '현대(HYUNDAI)' 이름을 지키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한때 한 지붕 아래 있었던 현대家가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이후 20여년 만에 다시 교차한 순간이다. 이는 단순한 상표권 분쟁 종결이 아니라 한국 산업사를 관통하는 '현대의 피'가 다시 이어진 상징적 장면으로 볼 수 있다. '현대' 이름을 지켜라…정의선·정기선의 첫 공동 전선 9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사건의 출발점은 202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령 카리브해 섬 푸에르토리코에 위치한 현지 중소 전자·IT기업 '현대 테크놀로지'라는 회사가 '현대 커넥트(HYUNDAI CONNECT)' 상표를 등록하면서 정주영 창업주의 후손들이 만든 두 그룹(현대차·HD현대)이 국제 상표권 침해 논란에 휘말렸다. 이후 정의선 회장과 정기선 회장은 각각 현대차그룹과 HD현대그룹 법무팀을 중심으로 공동 대응에 나섰고, 올해 5월 특허심판원이 현대테크놀로지 측 상표를 말소하면서 분쟁은 5년 만에 완전히 종결됐다. 이 사건이 주목받은 이유는 법적 결과 때문만이 아니다. 한때 한 그룹이었던 현대가 형제들의 계열 분리 이후 정의선·정기선 두 사촌이 공식적으로 손을 잡은 게 이번이 사실상 처음이기 때문이다. IMF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현대그룹이 분리된 지 20여년 만에 '현대' 이름을 두고 두 후손이 다시 협력한 순간이다. 정주영의 7남 1녀, 그리고 흩어진 '현대 왕국' 정주영 현대 창업주는 7남 1녀를 뒀다. 1947년 그가 '현대자동차공업사'를 세운 뒤 현대는 건설·조선·자동차·철강·금융 등 산업 전반으로 확장하며 한국 산업화를 이끈 국민기업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IMF 외환위기 이후 워크아웃과 계열분리 정책으로 현대는 형제별 독립경영 체제로 재편됐다. 장남 정몽구는 자동차를 맡아 현대차 왕국을 세웠고, 2남 정몽근은 유통·서비스(현대백화점그룹)로 노선을 달리하며 현대백화점그룹을 일궜다. 3남 정몽일은 해운·금융 계열에서 조용히 독자 노선을 걸었고, 4남 정몽우는 알루미늄과 기계 산업을 맡다 짧은 생을 마쳤다. 5남 정몽헌은 엘리베이터와 상선을 중심으로 현대그룹의 맏형 역할을 이어갔지만, 2003년 대북송금 특검 압박 속에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이후 그의 부인 현정은 회장이 경영권을 승계해 그룹을 재건하며 '현대' 이름을 지켜냈고 현재까지 현대엘리베이터를 이끌고 있다. 6남 정몽준은 조선·에너지·방산을 품은 HD현대를, 7남 정몽윤은 금융 축을 담당하며 현대해상을 이끌고 있다. 딸 정명예는 한라그룹 정몽원 회장과의 인연으로 재단과 복지사업에 힘을 보탰다. 형제들이 각자의 산업을 쥐고 분화한 지 20여년이 흘렀다. 현대는 이제 자동차·조선·건설·금융·유통으로 이어지는 '범현대 5대 축'으로 진화했다. 다시 맞잡은 손, '현대의 피'는 여전히 흐른다 이제 그 바통은 창업주의 손자 세대로 넘어왔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정기선 HD현대그룹 회장이 그 주인공이다. 정의선 회장과 정기선 회장은 사촌관계다. 각자의 분야에서 한국 산업을 대표하는 두 후계자가 '현대' 상표권을 되찾기 위한 공동 대응을 통해 20여년 만에 '현대'라는 이름 아래 다시 손을 맞잡았다. 이는 단순 협력이 아니라 자동차와 조선, 산업의 두 축이 만난 것이자 정주영이 꿈꿨던 '산업보국(産業報國)' 정신이 또 한 번 현실로 이어진 셈이다. 이제 '현대'는 하나의 그룹이 아니라 하나의 정신이 됐다. 현대차는 정의선 회장 체제 아래 전기차·로봇·UAM(도심항공교통) 등 신산업으로 확장 중이고, HD현대는 정기선을 중심으로 조선·에너지·방산을 아우르는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각자의 항로를 달리고 있지만 그들의 출발점은 모두 '정주영의 철학' 위에 있다. 각기 다른 길을 걸어도 '현대'라는 이름은 그 혈맥을 이어주는 상징으로 남았다. 정의선과 정기선의 이번 연대는 단순한 브랜드 회복을 넘어 분화했던 범현대가의 정신을 다시 잇는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20여년 간 각자의 산업영역에서 독립적으로 걸어온 두 그룹이 '현대'라는 이름 아래 다시 손을 맞잡으며 한국 산업계에 묵직한 울림을 남겼다. 정주영이 남긴 "해보지 않고 왜 안 된다고 하는가"의 도전 정신은 이제 새로운 세대의 엔진 속에서 다시 불타오르고 있다. 강철부대의 시선이 머무는 곳, 현대는 여전히 대한민국 산업의 심장을 뛰게 하고 있다.
2025-11-09 09:00:00
-
-
-
-
-
-
"현대 스포츠카의 재정의"…페라리 아말피 공개
[이코노믹데일리] 페라리가 국내 스포츠카 시장에 한 획을 그을 신형 2+ 쿠페 '페라리 아말피'를 최초로 공개했다. 23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진행된 미디어 프리뷰 행사에서 페라리는 8기통 그랜드 투어러 페라리 아말피를 선보였다. 이탈리아 남부 해안 도시 아말피가 가진 에너지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이번 모델은 지난 2020년 출시된 '페라리 로마'의 후속작이다. 그랜드 투어러(GT) 개념을 한층 진화시킨 스포츠카로 편안함과 세련된 스타일, 스포티한 주행의 즐거움을 유지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모델은 'F154' 엔진 계열에서 파생돼 한층 진화한 '트윈 터보 V8'가 탑재돼 최고출력 640마력(ps), 최대토크 77.5kg·m, 제로백 3.3초, 최고속력 320km/h의 성능을 발휘한다. 외관은 가장 큰 변화는 전면부 그릴의 삭제다. 그릴 없이 설계된 전면부는 센서와 헤드라이트가 자연스럽게 통합된 어두운 밴드와 바디 컬러와 대비돼 시각적인 포인트를 만들었다. 후면부는 현대적인 느낌으로 컴팩트하게 마무리했다. 테일라이트는 외관의 절개선에 숨겨 정제된 분위기를 살렸고 페라리 특유의 8기통 엔진으로 인한 4개의 배기구가 달려있다. 페라리 아말피는 차량의 동역학 성능을 지원하기 위해 후방 액티브 스포일러가 탑재됐다. 역동적인 주행 상황에서 스포일러가 자동으로 HD 포지션으로 전환되어, 후방에 추가 다운포스를 만들어내 안정적인 운전 성능을 발휘한다. 내부 디자인도 모두 새롭게 디자인됐다. 듀얼 콕핏 레이아웃이 적용됐고 대시보드와 도어 패널, 센터 터널을 통해 운전석과 보조석의 공간이 연결된 느낌을 연출했다. 이번에 장착된 신형 스티어링 휠에는 페라리의 상징적인 알루미늄 엔진 스타트 버튼이 돌아왔다. 페라리의 고객들의 요청을 반영해 적용한 피드백이다. 또한 비대칭적으로 설계된 실내 내부 표면이 중앙 터치스크린을 부각시킨다. 15.6 인치 디지털 계기판은 주행 정보와 차량의 주행 성능 관련 데이터를 제공한다. 대시보드 중앙에는 10.25인치 정전식 터치스크린이 탑재돼 운전자와 동승자 모두 멀티미디어, 라디오, 전화, 화면 미러링, 공조 조절, 시트 설정, 차량 설정 등 주요 기능 조작이 가능하다. 8.8인치 조수석 디스플레이에는 G-포스(중력 가속도의 배수)와 엔진 회전수 등의 정보가 표시돼 동승자는 코드라이더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이상욱 FMK 세일즈 매니저는 "이 차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첫 번째 집중한 것은 가장 진보된 페라리 파이널 차량들의 혁신적인 기술들을 이 차량에 접목 시키는 것"라며 "두 번째는 드라이빙 경험을 더욱 극대화 하기 위해 고객분들의 피드백에 귀를 기울이는 것"고 말했다.
2025-10-23 18:33:2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