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건
-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 출범에 따라 연구개발 조직 체질 혁신
[이코노믹데일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의 공식 출범에 맞춰 연구개발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한다. 그동안 단일 국 체제로 운영되던 연구개발정책실을 기초원천, 공공융합, 연구성과혁신 등 3개 정책관 체제로 전환하는 것이 골자다. 26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부처 직제 및 시행규칙 개정안이 27일자로 시행된다. 약 1년여에 걸친 준비 기간 동안 정부 조직·기능 전문가와 R&D 종사자 등 내외부 의견을 수렴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거쳤다. 기존 우주 정책과 사업 기능이 새로 출범한 우주항공청으로 이관됨에 따라 과기정통부 연구개발 조직의 체질을 혁신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번 개편을 통해 각 부서의 기능과 역할을 보다 명확히 하고 미래 유망 기술 분야와 국민생활 밀착형 연구개발을 강화한다는 복안이다. 개편의 핵심은 연구개발정책실을 기초원천연구정책관, 공공융합연구정책관, 연구성과혁신관 등 3개 정책관 체제로 전환한 것이다. 기초원천정책관은 첨단바이오,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소재 등 전략기술 중심의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게 된다. 분야별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기술분야별로 조직을 재편했으며, 기초연구와의 연계도 강화한다. 공공융합정책관은 과학기술을 활용해 국방, 치안, 복지, 안전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위해 공공융합기술정책과를 신설했다. 또한 미래 에너지기술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을 전담할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도 새로 생긴다. 연구성과혁신관은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혁신을 지원하고 연구 성과의 경제·사회적 부가가치 창출을 돕는 임무를 수행한다. 관계부처와 협업을 통해 기술사업화, 창업 등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대형연구시설의 협력 플랫폼화와 연구데이터 활용 정책 수립을 위한 공공연구인프라혁신과가 신설된다. 날로 중요성이 커지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 관리와 활용이 기대된다. 아울러 정부는 원자력연구개발 전담 부서를 확대 개편해 혁신형 원자력기술 개발과 해외진출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하드웨어 차원의 조직 개편뿐 아니라 부처 내외 협업 활성화, 현장 중심 일하는 방식 혁신 등 소프트웨어적 혁신도 병행해 글로벌 과기 강국 도약과 국민 삶의 질 제고를 이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05-26 12:36:15
-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공식 출범, 우주 강국 도약의 새 지평 열렸다
[이코노믹데일리] 대한민국이 본격적인 우주 강국 도전에 나섰다. 지난 4월 정부가 특별법을 발의한 지 약 13개월 만인 5월 27일, 대한민국 우주항공청(KASA)이 경상남도 사천에서 공식 개청했다. 이로써 한국은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인도, 프랑스에 이어 세계 7번째로 우주청을 갖추게 됐다. 우주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출범한다. 윤영빈 서울대 교수가 초대 청장으로 부임했으며, 노경원 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이 차장, 존 리 전 NASA 본부장이 우주항공임무본부장에 임명됐다. 293명의 정원으로 출범하는 우주청에는 개청 첫날 110명의 인력이 부임했다. 이들은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우주 관련 업무를 해오던 공무원과 외부 전문가로 구성됐다. 기존 정부 부처에서 우주 관련 업무를 하던 인력이 우주청으로 이관된 것이다. 우주청은 차장 산하에 기획조정관실, 우주항공정책국, 우주항공산업국 등 3개 국을 두고, 우주항공임무본부장 산하에 우주수송부문, 인공위성부문, 우주과학탐사부문, 항공혁신부문 등 4개 국을 두는 등 총 7개 국 27개 과를 갖추게 된다. 정부는 우주청 개청과 함께 우리나라 우주항공 발전을 위한 5대 핵심 임무와 9,92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핵심 임무로는 △우주탐사 △우주수송 △우주산업 △우주안보 △우주과학 등이 설정됐다. 이는 지난해 정부 우주 분야 연구개발 예산 7,617억 원보다 약 30% 늘어난 규모다.
2024-05-26 12:2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