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1 토요일
흐림
서울 13˚C
맑음
부산 14˚C
맑음
대구 11˚C
비
인천 13˚C
맑음
광주 10˚C
맑음
대전 12˚C
맑음
울산 11˚C
구름
강릉 12˚C
흐림
제주 1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연체정리확대'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상반기 은행 부실채권 16조6000억원…5년여만 최대치 유지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은행의 올해 상반기 부실채권이 16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5년 6개월 만의 최대치였던 전 분기 말과 비슷한 규모다.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은행권 부실채권 규모는 16조6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 16조6000억원이 그대로 유지됐다. 기업여신은 13조1000억원, 가계여신 3조2000억원, 신용카드채권 3000억원 순이다. 부실채권비율은 0.59%로 전 분기 말과 역시 유사한 수준이다. 전년 대비 0.06%p 상승했고, 지난 2021년 3월 말(0.62%) 이후 최고치다. 금감원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잔액과 부실채권 비율이 반기 말 연체정리 확대 등 영향으로 전 분기 말 수준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대손충당금 잔액은 27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28조4000억원) 대비 1조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65.5%로 전 분기 말보다 5.0%p, 전년 동기보다 22.5%p 하락했다. 2분기 신규발생 부실채권은 6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4000억원 늘었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은 4조9000억원으로 4000억원 증가했다. 대기업(4000억원)은 전 분기 대비 1000억원 감소했고, 중소기업(4조4000억원)은 5000억원 증가했다.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1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와 같았다. 부실채권 정리 규모는 6조5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2조원이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0.72%)은 전 분기 말과 유사했다. 대기업여신은 0.41%로 0.04%p 하락, 중소기업여신은 0.90%로 0.01% 상승했다. 중소기업여신은 지난 2020년 3월 말(0.93%) 이후 처음으로 0.90%대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여신 부실채권 비율(0.32%)은 전 분기 말과 동일했다. 주택담보대출(0.23%)은 0.01%p 상승했고, 기타 신용대출은 0.01%p 하락했다. 신용카드채권 부실채권비율(1.93%)은 전 분기 대비 0.08%p 내렸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지속적으로 부실채권 관리 및 대손충당금 적립 강화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5-09-05 08:56:3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3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4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5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6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7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8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