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4 금요일
맑음
서울 2˚C
맑음
부산 5˚C
맑음
대구 4˚C
맑음
인천 8˚C
맑음
광주 6˚C
맑음
대전 6˚C
맑음
울산 8˚C
맑음
강릉 9˚C
구름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외환무역거래'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이메일 해킹 외환 무역사기 증가세…4년간 피해액 1330억원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무역회사가 이메일 해킹 등 외환 무역사기 거래로 금전적 피해를 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4년간 피해금액은 13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감독원은 2021년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은행 송금 등을 통해 발생한 외환 무역사기 피해 규모는 총 1591건, 9584만 달러(한화 약 1330억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피해 유형별로는 이메일 해킹을 통한 사기계좌로의 송금 유도가 1518건(95.4%)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기타 수수료 편취 사기(73건·4.6%)도 꾸준히 발생했다. 피해업체 상당수는 거래 상대방으로부터 미입금 통지나 입금 독촉 요청 등을 받고서야 뒤늦게 사기 피해사실을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미국, 영국, 중국, 홍콩 등 상위 4개국이 전체 피해액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최근에는 베트남, 아랍에미리트, 포르투갈 등으로 피해 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수취인 국적과 수취 계좌 국적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24%에 달했고, 아랍에미리트와 포르투갈 계좌가 빈번히 이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은 외환 무역사기는 국경간 거래의 특성상 해외 송금 후 피해 금액 회수가 어렵기 때문에 사전 확인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요 은행들과 협의해 고객에게 사기 의심 건을 미리 알려주기 위한 모니터링 기준 정비, 안내 강화 등 예방 대책을 올해 4분기 중 공통 적용하기로 협의했다"고 말했다.
2025-09-29 09:33:4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
2
[정보운의 강철부대] 정의선·정기선, '현대'를 되찾은 진짜 의미…20여년 만에 다시 이어진 현대家의 피
3
효성家 베트남 사업서 형제간 명암 엇갈려
4
현대건설, 약속이 멈추자 실적도 멈췄다
5
KT 해킹, '펨토셀'이 암호화 뚫었다…문자·통화까지 노출 우려
6
미국서 가격 낮춘 위고비·마운자로, 국내 시장선 현실성 낮아
7
이재용의 '뉴삼성' 시동...정현호 용퇴·TF팀 해체 "대대적 쇄신 예고"
8
LGU+·SKT·한화, UAM 사업 전면 재검토..."상용화 지연 탓"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정부의 슈링크플레이션 대책, 올해는 달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