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7건
-
-
우리금융, 3등급 강등됐지만…임종룡 회장의 非은행 강화 '청신호'
[이코노믹데일리] 보험사 인수 등 비(非)은행 포트폴리오 강화에 나서고 있는 우리금융지주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경영실태평가 3등급을 받았지만, 동양·ABL생명 인수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우리금융의 재무 건전성이 개선세를 보이는 데다, 추가 요건을 충족하면 자회사 편입 조건부 승인 가능성은 열려있는 상황이 이를 뒷받침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우리금융에 대한 경영실태평가 등급을 지난 2021년 매겨진 기존 2단계에서 3단계로 내렸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10월부터 우리금융과 우리은행에 대한 종합검사를 앞당겨 진행해 왔다.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문제가 불거지면서다. 지난해 8월 동양생명과 ABL생명의 대주주인 중국 다자보험그룹과 주식매매계약(SPA)을 맺은 우리금융은 지난해 말까지 두 보험사의 인수를 완료할 계획이었지만 금감원 종합검사로 계획이 밀렸다. 금감원은 우리금융 종합검사 결과, 그룹 전체의 내부통제 및 리스크 관리 면에서 미흡 사항을 발견하고 경영실태평가 등급을 3등급으로 한 단계 강등했다고 밝혔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런 배경에 대해 "우리금융 등급은 2021년 등급과 0.1점 차이 정도로 근접하다"며 "사소한 하향 요인만 있어도 등급이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고 했다. 이어 "법령상 (자회사 인수) 승인 요건인 사업계획 타당성과 재무 상태 및 경영관리의 건전성 등을 심사 중이고, 우리금융으로부터 내부통제 개선 계획을 받아 검토하고 있다"며 "이달 중에 금융위원회에 자회사 편입에 대한 심사 의견을 보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원칙에 따른 심사 결과가 있고, 예외에 따른 내용도 있다"며 "다양한 경우의 수를 검토하는 중이고, 보험산업과 우리금융의 발전 방향에 대해선 금융위가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금감원 의견이 전달되면 금융위의 최종 승인 여부는 5월 중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자회사 편입 인가 과정은 60일 간의 금감원 심사를 거친 뒤 금융위 전체 회의에서 의결되면 최종 승인 여부가 결정된다. 금융지주회사법상 자회사 편입을 위해선 금융당국의 경영실태평가에서 2등급 이상을 받아야 하는데, 우리금융의 경우 전임 회장의 부당대출 문제가 발목을 잡은 셈이다. 다만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조항에 예외 조건이 있다. 최근 경영실태평가 결과 종합평가등급이 2등급 미만인 경우에도 자본금 증액, 부실자산정리 등을 통해 2등급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고 금융위가 인정하는 경우에는 경영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보고 조건부 승인이 가능한 것이다. 실제 금융위는 지난 2004년 당시 한빛은행(우리은행 전신)의 부실 문제로 경영실태평가 3등급을 받은 우리금융에 LG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 자회사 편입을 경영 건전성 개선 등의 조건에 근거해 조건부로 승인한 전례가 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당기순이익 3조원을 넘기면서 역대 두 번째 수준의 호실적을 달성했다. 이와 함께 금융사의 재무 건전성 지표인 보통주자본(CET1)비율 또한 잠정치 대비 개선되면서 리스크 관리 능력을 증명했다. 우리금융의 경영실적 공시를 살펴보면 지난해 우리금융 당기순이익은 3조860억원으로 전년보다 23.1% 증가했다. 기업금융 감축 등 자산 리밸런싱(재조정)으로 CET1 비율은 지난해 4분기 12.13%를 기록해 전 분기(11.95%) 대비 0.18%p 상승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위기 상황에서 손실을 감당할 수 있는 재무 능력이 강하다고 판단한다. 고환율 여파로 경제 불확실성이 큰 환경에서도 우리금융이 CET1 비율을 크게 끌어올린 점은 주목할 만하다. 같은 기간 KB금융은 13.84%에서 13.53%, 신한금융은 13.17%에서 13.06%로 하락했고, 하나금융은 13.17%에서 13.22%로 0.05% 증가했다. 만약 자회사 편입이 통과돼 우리금융이 동양생명과 ABL생명을 이른바 '패키지 인수'한다면 단숨에 자산 규모 6위의 생명보험사를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지난 2023년 말 국내 22개 생보사 중 수입보험료 기준 6위인 동양생명은 자산 33조원, 당기순이익 2000억원 규모다. 업계 9위인 ABL생명은 자산 17조원, 당기순이익 800억원 수준이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으로서도 전임 회장 때부터 이어진 계열사 확대 과업을 이루기 위해선 보험사 인수가 절실하다. 2023년 취임 때부터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목표로 증권업 진출에 박차를 가한 임종룡 회장은 지난해 8월 결국 우리투자증권을 출범시키면서 증권업 진출에 성공했다. 그간 우리금융은 주요 금융그룹 가운데 유일하게 증권사와 보험사가 없어 비은행 포트폴리오가 약하고, 은행 의존도가 가장 높다는 게 약점으로 꼽혀 왔다. 보험사 보유까지 성공하면 은행, 증권, 보험을 아우르는 종합금융 사업 포트폴리오로 계열사 간 영업 활성화에 따른 수익성 확보까지 기대된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주주가치 제고와 그룹 계열사 간 시너지를 위해 (자회사 인수를)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아직 최종 인수까지는 금융당국의 승인 등이 남아있기 때문에 심사 절차에 최대한 성실하게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20 16:28:08
-
-
-
-
-
-
-
우리금융, 부당대출 380억 추가 적발…보험사 인수 영향은
[이코노믹데일리] 금융당국이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관련해 앞서 밝혀진 350억원 외에 부당대출 380억원을 추가로 적발했다. 이로써 손 전 회장 관련 부당대출은 총 730억원 규모로 확인됐으며, 그 가운데 451억원은 현 경영진 취임 후 취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금융감독원은 이같은 내용의 '2024년 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금융을 비롯해 KB금융, NH농협금융 등 여러 금융지주와 은행, 증권에 대한 검사 결과가 나왔지만 이목이 가장 집중된 곳은 우리금융이었다. 금감원의 검사 결과가 나오면서 우리금융이 추진하고 있는 동양생명·ABL생명 인수·합병(M&A)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금감원의 정기검사 결과에 따라 이를 반영하는 우리금융의 경영실태평가 등급이 하락할 경우 두 보험사 인수에 차질이 생길 수 있어서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10월부터 우리금융과 우리은행에 대한 종합검사를 앞당겨 진행했다. 손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문제가 불거지면서다. 지난해 12월 중간 검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비상계엄 여파로 지난달 초로 한 차례 연기했다가 이날로 재조정했다. 이 과정에서 이복현 금감원장은 "위법 행위를 경미하게 취급하겠다는 뜻이 아니라 '매운맛'으로 시장과 국민께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 예고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손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관련해 우리금융 현 경영진에 대한 제재 수위에 관심이 쏠렸다. 검사 결과, 손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은 기존 적발 350억원 외에 380억원이 추가 적발돼 총 730억원 규모로 드러났으며 이 중 451억원(61.8%)은 현 경영진이 취임한 2023년 3월 이후 취급됐다. 금감원은 손 전 회장 친인척 관련 여신을 주도적으로 취급한 지역본부장 A씨가 자금용도·상환능력 평가를 소홀히 하는 등 내규를 다수 위반했고, 퇴직 후에는 손 전 회장 친인척과 관련된 회사에 재취업한 사실도 확인했다. 아울러 전현직 고위 임직원 27명이 단기성과 등을 위해 대출심사 및 사후관리를 소홀히 해 부당대출 1604억원을 취급했고, 이 중 987억원(61.5%)이 현 경영진 취임 이후 취급됐단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이렇게 금감원이 우리은행에서 파악한 부당대출 총규모는 2334억원이다. 이는 KB국민은행(892억원), NH농협은행(649억원)과 비교했을 때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에 따라 현재 우리금융이 추진 중인 보험사 인수 성사 여부에 대한 관심이 커진 상태다. 금감원의 종합검사 결과와 함께 나올 경영실태평가 결과가 인가 승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르면 금융지주회사와 자회사의 재무 상태와 경영관리 상태가 건전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경영실태평가에서 2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 금감원은 아직 우리금융에 대한 경영실태평가 등급 산정이 완료되지 않았단 입장이다. 현재 우리금융의 경영실태평가 등급은 2등급인데, 금감원이 우리금융을 상대로 고강도 검사를 한 데다 내부통제 부실 문제까지 지적하고 있는 만큼 향후 등급이 낮아질 수도 있다. 최종 승인 여부는 60일 간의 금감원 심사를 거친 뒤 금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결되면 결정된다. 이복현 원장은 경영실태평가 등급 산정을 제재 절차와 '투트랙'으로 분리해 신속히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이 지난달 15일 보험사 인수 승인 심사 신청서를 제출했고, 심사 기한은 2개월"이라며 "기한을 늘릴 수는 있지만 민감한 사건인 만큼 가급적 원칙적으로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2월 중에라도 금융위에 저희 의견을 송부해야 금융위에서 3월 중에 판단할 수 있게 된다"고 덧붙였다. 부당대출이 임종룡 현 우리금융 회장의 재임 시기에도 이어졌다는 부분을 명시한 이유에 대해 "현직 최고경영자(CEO) 재임 시기 위법이 반복된 것 아니냐는 질문을 많이 받아왔기 때문에 포함한 것"이라며 "재발 방지 노력을 위한 의지가 있다고 믿고 싶지만 의지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지 냉정하게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다만 이번 정기검사 발표에 대해선 "그간 누적된 문제를 특정 은행이나 특정 금융권의 문제로 한정해 볼 것이 아니다"라며 "전체 은행권에 만연한 양적성장, 외연 팽창 과정에서 단기 성과에 집중하는 점을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가감 없이 문제를 드러내 개선 방향을 모색하자는 의미로 검사 내용을 공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앞으로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구현 △건전성·리스크 관리 강화 △자율 쇄신을 통한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세부 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2025-02-04 16:00:50
-
-
올해 대기업 M&A 투자 40% 급감…"글로벌 불안·내수 침체 영향"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대기업의 올해 인수합병(M&A) 투자 규모가 40%가량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처럼 1조원 이상 대형 M&A가 성사되긴 했지만, 대체로 글로벌 시장 불안과 내수 침체 등으로 M&A 투자를 줄인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18일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기업 361곳을 대상으로 2022년부터 지난 13일까지의 M&A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M&A 투자 규모는 총 8조5808억원으로 지난해 14조1297억원 대비 39.3%(5조5489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까지 완료된 M&A 건수도 총 50건으로 전년 87건보다 42.5% 급감했다. 이는 지난 2022년 M&A 건수가 150건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3분의1로 쪼그라든 수치다. 올해 1조원 이상 대형 M&A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가 유일할 정도로 주요 대기업은 M&A 투자에 인색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2022년 15건, 2023년 8건 등 그간 공격적 M&A를 통해 영토를 확장했던 카카오는 올해 테인스밸리 인수 1건에 그쳤다. SK(2022년 7건, 2023년 6건)와 네이버(2022년 6건, 2023년 3건) 역시 올해는 눈에 띄는 M&A를 하지 않았다. 올해 가장 큰 M&A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를 인수하겠다고 공시한 후 4년 만에 기업 결합 최종 승인을 받았다. 지난 11일 신주인수 대금 잔금 8000억원을 마지막으로 총 1조5000억원을 납입해 지분 63.88%를 인수했다. 총 인수 금액은 2020년 매입한 전환사채 3000억원을 포함한 1조8000억원이다. 다음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대규모 M&A를 실시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오션과 함께 싱가포르 현지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부유식 해양 설비 전문업체 ‘다이나맥’ 지분 95.15%를 8207억원에 인수했다. 추후 잔여 지분 취득을 위한 강제매수 절차가 이어질 예정이다. 조사 대상 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M&A를 진행한 곳은 LS일렉트릭이었다. LS일렉트릭은 KOC전기(592억원), 티라유텍(385억원), 한국이엔엠(108억원), 씨엑스솔루션(18억원), 엘펨스(2억원) 등 총 5곳을 인수했다. 뒤이어 E1, 사조대림, SK케미칼, DB손해보험, LX인터내셔널, 티케이지태광 등 6곳이 각각 2건의 M&A를 진행했다. 이 외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33곳이 올해 1건씩 M&A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인수가 완료되지 않았거나 취득 예정일이 미정인 거래는 제외됐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한온시스템 인수는 일정 중이다. 우리금융지주의 동양생명·에이비엘생명보험 인수, 한화시스템-한화오션의 미국 필리조선소 인수 등 굵직한 거래도 대기 상태다.
2024-12-18 15:31:5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