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4.11.23 토요일
맑음
서울 10˚C
구름
부산 11˚C
구름
대구 10˚C
맑음
인천 9˚C
맑음
광주 7˚C
맑음
대전 10˚C
흐림
울산 8˚C
흐림
강릉 6˚C
흐림
제주 1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우발부채'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4
건
대형 건설사 3분기 실적 줄줄이 곤두박질...내년 실적도 불투명
[이코노믹데일리] 건설 경기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 맞물리며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3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원자재 가격 안정화 방안은 요원한 가운데 환경·안전관리 규제 강화, 건설투자 부진 전망 등 대내외 불확실한 환경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국내 건설업계 불어닥친 한파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건설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1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1% 감소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2.1% 줄어든 236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같은 기간 HDC현대산업개발의 영업이익은 23.5% 감소한 475억원을 기록했다. 두 회사 모두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 감소율이 두 자릿수를 보였다. 두 회사 모두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 감소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최근 실적을 공시한 대우건설은 6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2% 감소해 주요 건설사 중 감소 폭이 가장 컸다. GS건설의 3분기 영업이익은 8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9% 증가했으나 전분기와 비교하면 12.5% 줄었다. 다만 DL이앤씨는 영업이익이 83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증가했으며 전분기 대비로는 155.9% 급등했다. DL이앤씨는 실적 개선에 대해 수익성이 높은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 부문별 수주를 늘리고 원가율 관리에 집중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실적이 하락한 건설사들은 공통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을 주된 이유로 지목했다. 특히 국내 주택 사업 비중이 높은 건설사들의 실적 하락 폭이 컸다. 현대건설은 실적 발표 후 원자잿값의 지속 상승과 안전·품질 투자비 반영 등의 영향으로 원가율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대우건설도 실적 감소 원인에 대해 원가율 상승과 일부 현장의 추가 원가 반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건설사들도 사정이 비슷하다는 것이 업계 얘기다. 실제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매달 집계하는 건설 공사비 지수는 최근 3년 새 26% 상승했다. 건설 현장에서 체감하는 공사비 상승 폭은 이보다도 크다. 일각에선 건설사의 실적 하락세가 내년까지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원가 상승세가 여전한 데다 건설업은 계약 시점과 준공 시점까지 상당한 시간 차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일부 건설 현장에서 재협상을 통해 공사비가 증액됐지만, 증액분이 반영되기까지는 2년 이상이 소요된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내년 층간소음 사후확인제·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확대에 따른 마감자재비 상승, 산업용 전기료 인상에 따른 시멘트와 철강제품 가격 상승 압박 등도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해외 수주 경쟁력이 향후 실적 개선 여부를 가를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박세라 신영증권 건설·건자재 담당 연구원은 "올해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부채로 촉발된 재무 건전성 위기를 넘기는 데 주력했다면 내년은 그 위기를 넘어선 경쟁력이 무엇인지를 보여줘야 하는 시기"라며 "정상 수준의 이익률은 어느 수준인지, 해외 수주 경쟁력은 어디에 있는지 등 이익 성장의 신뢰를 주기 위한 증거가 필요하다"고 했다.
2024-11-07 10:00:00
'승계 확정' 조현범, M&A 실패·배임 재판 '가시밭길'
[이코노믹데일리]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를 이끄는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에게 줄악재가 이어지고 있다. 형인 조현식 전 한국앤컴퍼니 고문과 누나 조희경 한국타이어나눔재단 이사장과 벌인 경영권 분쟁에선 승리했지만, 사법 리스크 장기화와 한온시스템 인수 차질 등으로 리더십이 흔들리는 모습이다. 현재 조 회장은 200억원대 횡령·배임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23부(재판장 조병구 부장판사)는 오는 22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된 조 회장의 37차 공판을 진행한다. 계열사를 부당 지원해 한국타이어에 130억원 가량 손해를 끼치고 회삿돈 수십억원을 사적 유용한 혐의다. 검찰은 한국타이어가 계열사인 한국프리시전웍스(MKT)로부터 다른 납품 업체보다 타이어 소재를 비싸게 사들였고 MKT가 취한 이득이 조 회장 측에 유입됐다는 혐의를 적용했다. 또 조 회장이 자택 수리와 고급 수입차 구매에 회사 자금을 유용했다고 봤다. 이 같은 사법 리스크는 조 회장의 경영 행보를 제약하고 있다. 지난해 3월 구속 기소됐다가 그해 11월 보석으로 풀려날 당시 법원은 주거지를 변경할 때 법원 허가를 받아야 하고 공판에 출석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보석 조건에 넣었다. 출국 금지로 해외 출장도 어렵다. 한온시스템 인수도 지지부진하다. 인수에 3조원 가까운 자금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라 조 회장은 지난 2014년부터 공을 들여왔다. 조 회장은 지난해 매출 9조5600억원의 자동차 부품 회사인 한온시스템 경영권을 확보해 전기차 부품 사업에 진출할 계획이었다. 이에 한국타이어는 지난 5월 사모펀드 운용사 한앤컴퍼니가 보유한 한온시스템 지분 25%와 신주 12.2%를 1조7330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올해 말 계획이 마무리되면 한국타이어는 한온시스템 지분율을 19.49%에서 50.53%로 늘려 최대주주가 된다. 그러나 한온시스템의 주가 급락과 우발부채 발견으로 인수 작업에 적신호가 켜졌다. 우발부채는 현재 채무는 아니지만 부채가 될 수 있는 잠재적 부채를 말한다. 16일 기준 한온시스템 주가는 주당 4015원으로 신주 인수 예정 금액 5605원에 못 미친다. 한국타이어로선 한온시스템을 시세보다 비싸게 사는 셈이 된다. 인수 계약이 파기되면 한국타이어가 수백억원대 이행보증금을 한앤컴퍼니에 물어줄 수도 있다. 여기에 경영권 다툼을 벌인 조 회장의 형 조 전 고문이 동생의 비위와 사업 차질을 문제 삼아 '형제의 난'을 재현할 가능성도 있다. 형제 간 경영권 분쟁은 2020년 6월 조양래 한국앤컴퍼니 명예회장이 조 회장에게 경영권을 넘기면서 촉발됐다. 이 과정에서 누나인 조 이사장과 사이도 틀어졌다. 조 이사장은 측은 경영권 승계 결정에 조 명예회장이 고령으로 판단력이 흐려진 상태라며 한정후견 개시를 청구했다. 지난 1일 대법원이 이를 기각해 조 회장은 경영권 승계를 인정받았다.
2024-08-19 18:00:00
엄주성號 키움증권, 2Q 당기순익 2321억원…전년比 74.01%↑
[이코노믹데일리] 엄주성 대표가 이끄는 키움증권의 2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보다 74.01% 상승한 2321억원을 기록했다. 올 1분기에 이어 2분기 실적도 순항하면서 상반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키움증권의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2321억원으로 전년 대비 74.01% 급등했다. 지난 1분기(2448억원)에 비해 5.18% 소폭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1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68% 증가했다. 다만 직전 분기(3376억원)에 비하면 7.51% 하락했다.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은 6500억원으로 반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키움증권의 2분기 매출액은 1년 전보다 2.64% 상승한 2조2805억원으로 집계됐다. 해외주식과 파생상품 거래가 늘면서 수수료 수익이 증가했고, 우량 딜 위주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수익이 개선됐다. 2분기 기준 국내 주식 수수료 수익은 지난해보다 6.8% 줄어든 886억원으로 집계됐다. 해외 주식 수수료 수익은 57.9% 오른 398억원으로 전체 브로커리지(위탁매매) 수수료 수익이 증가했다. 2분기 구조화·PF 수익은 474억원으로 1년 전보다 154.84% 늘었다. 일부 셀다운(재매각)을 실시해 자기자본 대비 우발부채 비중도 2분기 41.8%까지 떨어졌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살아나는 최근의 분위기는 국내 증권사들의 영업 환경에 우호적인 요인"이라면서 "하반기에도 유기적인 리스크 관리를 병행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2024-07-31 09:37:18
'취임 100일' 하이투자증권 성무용 대표…PF 위기관리 '특명'
[이코노믹데일리] 취임 100일을 맞은 성무용 하이투자증권 대표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강화를 위해 조직 개편에 나섰다. 1분기 적자로 전환한 하이투자증권이 PF 리스크 관리 강화로 하반기 적자에서 탈출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5일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 1일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번 조직 개편에서 하이투자증권은 경영전략본부의 경영기획실과 미래혁신부를 전략기획부로, 경영관리부와 자금부를 재무부로 통합했다. 특히 이번 조직 개편에서는 부동산 PF 위기에 유연하게 대응하고자 PF 금융단의 부동산 금융실과 투자금융실을 PF솔루션실로 합치고 산하에 PF 관리팀을 신설했다. 앞서 하이투자증권은 지난 3월 주주총회를 열고 홍원식 사장 후임으로 성무용 대표이사를 선임했다. 성 대표는 DGB금융지주 부사장, 대구은행 부행장을 역임했다. 성 대표는 지난 3월 취임 이후 첫 행보로 조직 개편을 실시했다. 부동산 위기 관리를 위해 오주환 단장이 이끄는 PF 금융단을 새롭게 만들었다. 추가로 부실 사업장 재구조화를 위해 프로젝트금융실 등 부동산 PF 4개실을 PF 금융단 소속으로 배치했다. 성 대표는 조직 개편에서 "조직 쇄신과 혁신을 통해 당면 현안을 해결하고, 그룹 내 시너지 영업 활성화를 통해 하이투자증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하이투자증권이 세 달간 두 번이나 조직 개편을 단행한 이유는 PF 리스크가 시급한 과제로 꼽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하이투자증권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은 95억원 손실을 기록했다.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49억13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 전년 동기에 비해(139억8900억원) 135% 감소한 수치다. 적자 전환한 까닭으로는 부동산 PF 관련 충당금 365억원을 적립한 영향이 컸다. 지난 1분기 기준 우발부채 잔액은 1조361억원으로 이중 부동산 PF 우발부채가 8502억원에 달한다. 우발채무는 현시점에서 확정되지 않았지만 미래 특정 조건 충족 시 발생할 수 있는 채무다. 부동산 PF 우발채무는 시행사 부도 등에 의해 발생하는 부채를 뜻한다. 한국신용평가는 하이투자증권의 자기자본 대비 우발채무 비중(지난해 12월 기준)이 80.1%라고 밝혔다. 같은 기간 중형 증권사와 비교해 볼 때 △한화투자증권 64.8% △교보증권 52.8% △현대차증권 48.2% △유안타증권 31.6% △신영증권 33.7%로, 하이투자증권의 자기자본 대비 우발채무 비중은 업계 평균치 2배를 웃돈다. 전문가는 올 2분기 하이투자증권의 부동산 PF 관련 충당금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한다. 윤소정 한국신용평가 수석애널리스트는 "금리 여건 및 부동산 PF 시장이 회복되기까지는 부동산 PF 신용공여 익스포져 부실화 위험과 자산건전성 저하에 따른 추가 충당금 적립 부담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하이투자증권 PF 추가 충당금을 대규모로 인식할 것으로 전망되는 DGB금융은 2분기 중 310억원의 순익 시현에 그쳐 컨센서스를 대폭 하회할 것으로 추정한다"며 "만약 PF 충당금을 매우 보수적으로 인식하게 될 경우에는 그룹의 2분기 순익이 적자 전환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울 듯"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DGB대구은행이 'iM뱅크'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하이투자증권도 6년 만에 사명을 변경한다. 오는 8월 6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iM증권' 사명 변경 정관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DGB금융 계열사 사명 통일로 하이투자증권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돼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024-07-16 06: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T1, '제우스'와 계약 종료…'제오페구케' 3년 역사에 마침표
2
'전기 먹는 하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SMR이 '해결사' 될 수 있을까?
3
1세대 화장품 기지개 켜는데…네이처리퍼블릭 '뒷걸음질'
4
'기후깡패' 트럼프 당선 이후 기후변화 둘러싸고 흔들리는 국제사회
5
[종합] 현대차 울산 공장 연구원 3명 사망…"원인 규명 조속히"
6
지스타 2024, 4일간의 대장정 성료…새로운 방향성 제시하며 성황리에 막 내려
7
'4만전자' 반도체 경쟁력 하락… 외국인 투자자 "'지배구조 리스크'가 키웠다"
8
['차이나 테크로드'의 역습‧⑤]태양광·배터리·드론까지···미래 '알짜 먹거리' 독식하는 중국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AI 시대, 개발자의 미래와 생존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