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16 화요일
비
서울 21˚C
흐림
부산 31˚C
흐림
대구 32˚C
안개
인천 21˚C
구름
광주 29˚C
흐림
대전 30˚C
흐림
울산 31˚C
흐림
강릉 27˚C
구름
제주 3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우수모집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손해보험협회, 손보업계 최고 모집인 '블루리본 컨설턴트' 1814명 선정
[이코노믹데일리] 손해보험협회가 보험 상품 완전 판매 문화정착·보험모집인 자긍심 고취를 위해 손보업계 최고의 모집인을 선정하는 '블루리본 컨설턴트' 인증 제도를 실시했다고 31일 밝혔다. 블루리본 컨설턴트는 5년 연속 손해보험 우수 인증 설계사 중 보다 엄격한 기준을 충족한 모집인에게 주어지는 자격이다. 우수 인증 설계사보다 높은 계약 유지율·계약 건수를 달성해야 하며 불완전 판매·사고 및 제재 이력이 없어야 블루리본 컨설턴트에 선정될 수 있다. 블루리본 컨설턴트 설계사에게는 △개인 홍보 지원 △QR코드 인증 △인증 제도 홍보 등 대외 공신력을 향상을 위한 혜택이 제공된다. 올해 총 1814명이 해당 인증을 받았으며 연령대별로는 50대가 789명으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최연소 인증자는 32세, 최고령 인증자는 78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자들의 평균 계약 유지율은 13회자 97.3%, 25회차 94%를 기록했다. 손해보험협회 관계자는 "블루리본 컨설턴트가 되면 손해보험 모집인 최고의 영예라는 자격을 얻어 자긍심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며 "보험 계약 권유 단계에서 해당 사실이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여 판매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7-31 11:15:13
여신금융협회, 올해 신용카드 우수모집인·그린마스터 선정...건전영업 확대 나서
[이코노믹데일리] 여신금융협회가 신용카드 모집인의 전문성 강화·자긍심 고취를 통한 건전영업 확대를 위해 올해 총 575명의 신용카드 우수모집인을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신용카드 우수모집인은 △근속기간 △회원유지율 △불완전판매·모집질서 위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하며 우수모집인에게는 인증서와 함께 선정일로부터 1년간 인증 로고 사용 권리가 주어진다. 여신금융협회는 올해 우수모집인 575명과 5년 연속우수모집인 중 회원유지율이 상위권인 '그린마스터' 49명을 선정했다. 그린마스터도 우수모집인과 혜택 및 인증 기간이 동일하다. 한편 신용카드 우수모집인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신용카드 전체 모집인(3844명) 중 우수모집인 비율은 15%로 전년 동기(13.7%) 대비 1.3%p 늘었으며 우수모집인 평균 회원 유지율도 80.1%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 정완규 여신금융협회 회장은 "앞으로도 엄격한 조건을 충족해 선발된 우수모집인이 신용카드 업계의 건전한 모집 질서 확립과 소비자 신뢰도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2025-07-30 16:26:2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삼성중공업, 산업재해 보고의무 2회 이상 위반…대기업 중 유일
2
엔비디아, AI 추론용 GPU에 GDDR7 탑재…삼성 반격 기회 열리나
3
[2025 건설포럼] 저성장 시대 직면한 건설업..."기술·제도 혁신이 해법"(종합)
4
[게임특집] '아이온' IP, 17년 만에 다시 날다…엔씨, '레트로 서버' 흥행 업고 '아이온2'로 글로벌 정조준
5
'레전드 축제' 2025 아이콘매치 오늘 개막…벵거·베니테스 지략 대결 '관심 집중'
6
[ED 인터뷰]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상호 존중과 이해를 토대로 협력을 확산해야"
7
잇따른 현장 참사…DL건설 대표 교체, 각 사 대표도 시험대
8
KT, '가짜 기지국'에 뚫려 신뢰 추락…김영섭 대표, '리더십·연임' 최대 위기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인천공항 임대료 갈등, 면세산업 지속 가능성 시험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