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14 월요일
비
서울 22˚C
흐림
부산 27˚C
비
대구 30˚C
비
인천 22˚C
맑음
광주 26˚C
비
대전 24˚C
흐림
울산 24˚C
비
강릉 23˚C
흐림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운항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에어부산, 휴가철 맞이 인천·부산~필리핀 보라카이 부정기편 운항
[이코노믹데일리] 에어부산이 휴가철 항공기 탑승 고객을 위해 인천과 부산에서 필리핀 보라카이(칼리보) 부정기편을 운항한다. 18일 에어부산에 따르면 인천-보라카이 부정기편을 오는 7월 23일부터 8월 30일까지 매일(주 7회) 일정으로 부산-보라카이 부정기편을 오는 7월 26일부터 8월 16일까지 주 2회(수·토) 일정으로 각각 운항한다. 에어부산 인천-보라카이 부정기편은 요일에 따라 출발 시간이 다르다. 월요일 운항편 기준으로는 인천공항에서 오후 7시 5분에 출발해 현지 공항에 오후 10시 55분 도착, 현지 공항에서 오후 11시 55분에 출발해 인천공항에 오전 5시 25분 도착한다. 부산-보라카이 부정기편은 김해공항에서 오후 8시 55분 출발해 현지 공항에 다음날 오전 12시 35분 도착하며 귀국 항공편은 현지 공항에서 오전 1시 35분 출발해 김해공항에 오전 7시 5분 도착한다. 이와 함께 에어부산은 오는 19일에 시작되는 국제선 항공권 할인 프로모션에서 보라카이 노선 항공권 할인도 진행한다. 프로모션은 19일 오전 11시부터 22일까지 진행되며 프로모션 항공권을 이용한 탑승은 이번 부정기편 운항기간 내 할 수 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보라카이는 비교적 짧은 비행시간과 합리적인 비용으로 떠날 수 있어 해외 여름휴가를 계획하는 고객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것"이라며 "다양한 고객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6-18 10:20:13
항공사, 수익성 악화에 구조조정…지방공항 단거리 노선부터 정리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1분기 제주공항에서 출발하는 국내 노선의 운항편수가 일제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히 계절적 요인을 넘어서 항공사들이 수익성을 고려해 지방 노선을 줄이고 있는 가운데 국토교통부의 운항 감축 권고와 맞물리며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지방공항은 운항 감소폭 20~30%대를 보이고 있어 항공 인프라의 지역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토교통부가 공개하는 항공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제주공항에서 출발하는 국내선 전체 운항편수는 4만5148편, 여객수는 653만9718명이었다. 그러나 올해 1분기에는 운항편수는 3만9177편, 여객수는 550만3801명으로 각각 13.2%, 15.8% 감소했다. 김포공항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제주~김포 노선은 366만7784명에서 319만2688명으로 줄며 약 12.95% 감소했다. 지방공항의 운항편 감소율은 이보다 훨씬 컸다. 제주~군산 노선은 333편에서 206편으로 38.1% 감소했다. 이어 포항경주(-34.4%), 원주(-28.3%), 여수(-26.9%), 청주(-22.2%) 순으로 대부분의 지방 노선이 20~40%대의 급격한 감편을 겪었다. 유일하게 운항이 증가한 노선은 사천공항뿐이었다. 이처럼 지방 노선이 줄어든 요인으로 항공사들의 채산성 악화에 따른 자체 구조조정이 꼽힌다. 지방공항 노선은 비행 거리에 비해 고정비 비중이 높아 수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다. 비행시간이 짧아도 정비·공항료·인건비 등은 장거리 노선과 비슷하게 들어가 탑승률이 조금만 떨어져도 적자로 전환되기 쉽다. 특히 지방공항은 수요 기반이 약해 일정 수준 이상의 탑승률을 유지하기 어렵고 회전율도 낮다. 이 때문에 항공사들은 구조조정 시 가장 먼저 지방 단거리 노선을 감축 대상으로 삼는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지방 노선은 전체 수요가 적은 데다 회전률도 떨어져 수익 구조가 맞지 않는다”며 “기체 한 대를 띄워도 좌석당 매출이 적고 인건비·정비비·공항료는 동일하게 들어가 결국 손익분기점을 넘기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국토교통부의 운항 감축 권고도 지방 노선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 제주항공은 지난해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여객기 참사 이후 운항편수를 감축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무안공항 활주로 사고나 에어부산 기체 결함 이후 정부가 안전관리 차원에서 항공사들에게 감편을 권고하는 분위기가 생겼다”며 “특히 정비 여건이 부족한 소형 노선일수록 자발적으로 감축이 유도되고 있다”고 말했다. 항공사들이 수익성 저하와 국토부의 운항편수 감축 권고 등을 이유로 지방 노선을 대거 줄이면서 국토부가 지난해 지방공항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국토부는 지방공항 활성화를 위해 지방공항에 대한 슬롯 배분을 늘린 바 있다. 그러나 슬롯은 운항 가능성을 보장할 뿐 실제 운항 확대는 항공사의 수익성 판단에 달려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 전문가는 “지방공항 슬롯 확대는 하드웨어를 늘린 것에 불과하다. 실제 항공편이 뜨게 만들려면 항공사가 운항을 결심할 만한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며 “지방노선은 구조적으로 수익성이 낮기 때문에 단순한 인프라 공급만으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2025-04-21 16:32:49
제주항공, 위기 속 '재무안전성' 선택…LCC 1위 자리 위태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12월 29일 무안 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추락해 179명이 사망하는 대형 참사가 발생하면서 제주항공은 운항편수를 줄이는 등 보수적 경영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항공의 저비용항공사(LCC) 업계 내 입지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참사와 관련 없이 제주항공이 성장 동력을 잃은 지 오래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 내부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대명소노그룹의 항공업 진출 등으로 국내 항공업계 지형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데도 내부적으로 대응 전략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전혀 보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간 제주항공은 신사업 진출보다는 보수적인 경영 전략을 채택해 왔다. 2020년 이스타항공을 545억원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가 철회한 것이 대표적이다. 당시 제주항공은 “현재 상황에서 인수를 강행하기에는 제주항공이 짊어져야 할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며 재무안전성을 택했다. 사업 확장 및 노선 다각화에도 보수적인 입장을 취해 왔다는 분석이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운항편을 전년 대비 14.17% 늘렸다. 진에어(29.57%), 에어부산(19.95%), 티웨이항공(22.61%) 등 경쟁사와 비교하면 낮은 수치다. 전략 부재는 수익성에서도 드러난다. 지난해 제주항공 영업이익은 799억원으로 전년(1618억원) 대비 52.9% 감소했다. 영업이익률도 4.1%로 전년(9.5%)보다 낮아졌다. 업계 2위 진에어가 지난해 영업이익 1667억원을 내며 영업이익률 11.4%를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제주항공의 국내 LCC 1위 자리는 이미 흔들리고 있다.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이 빠른 속도로 뒤따라오며 격차를 좁히고 있다. 제주항공 국제선을 이용한 승객은 2019년 836만5020명에서 지난해 855만2369명으로 소폭 증가한 반면 진에어의 경우 508만4187명에서 652만8341명으로 28.4% 증가했다. 티웨이항공 여객수도 2019년 490만7189명에서 657만9844명으로 34.2% 급증했다. 이와 관련 항공업계 관계자는 “2005년 설립 이후 끊임없이 위기를 극복하며 성장해 온 제주항공이 내부적으로 강조해 온 것은 ‘혁신’이었다 "며 "제주항공 내부에서도 현 경영진의 보수적인 경영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이유”라고 말했다.
2025-03-11 06: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애플 아이폰 17, 9월 공개 전망…초슬림 '에어' 모델 추가, '전면 재설계'
2
비만치료제 마운자로, 오는 8-9월 국내 출시 임박
3
'AI'로 돌파구 찾는 농협은행…보수적 이미지 탈피할까
4
다보성갤러리,중국 저명 감정가 초청 미공개 유물 감정
5
SK매직, 'SK인텔릭스'로 새 출발…"AI 웰니스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
6
시공사에 매출 3% 과징금…건설업계 "퇴출 압박" 반발
7
[콜마家 전쟁, 능력이냐 핏줄이냐] ④ 상법 개정안 통과, 전환점 맞은 오너 경영
8
다보성갤러리,중국 황실·귀족들이 사용하던 진품·명품 추가공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편집인칼럼] 시진핑의 '문명대회', 일대일로를 잇는 새로운 세력 확장 전략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