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5건
-
올해 IPO 주관 순위 경쟁 격화…강자 'KB' vs 맹추격 '미래에셋'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기업공개(IPO) 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주관 경쟁에서 KB증권이 선두를 달리고 있다. 다만 여러 굵직한 인수를 확보한 미래에셋증권이 바짝 추격하고 있어 향후 주관 순위에 변화가 있을지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14일 한국거래소 기업공시채널 KIND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날까지 국내 증권사의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 시장 내 IPO 인수 금액은 총 1조447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KB증권은 총 5건의 인수 주관을 맡아 3150억원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특히 LG CNS 상장 주관을 통해 메릴린치인터내셔날엘엘씨증권, 모건스탠리 인터내셔날증권회사와 공동으로 2639억원의 인수 실적을 쌓았다. 이 외에도 삼양엔씨켐(198억원), 아이에스티이(148억원), 심플랫폼(138억원), 동국생명과학(27억원)을 공동 인수했다. 2위는 미래에셋증권으로, 총 6건의 인수에서 1788억원을 기록했다. 서울보증보험(908억원) 인수를 주관한 것을 비롯해 △대진첨단소재(240억원) △미트박스(190억원) △모티브링크(181억원) △위너스(145억원) △데이원컴퍼니(124억원)의 IPO를 이끌었다. 3위는 삼성증권(1399억원)으로 △서울보증보험(908억원) △파아이이(180억원) △와이즈넛(153억원) △엠디바이스(105억원) △데이원컴퍼니(53억원) 인수를 담당했다. 이어 한국투자증권(1185억원), NH투자증권(984억원), 대신증권(257억원), 신영증권(210억원), DB금융투자(168억원), IBK투자증권(145억원), 신한투자증권(62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작년에는 KB증권이 1조812억원의 인수 실적으로 2년 만에 주관 순위 1위를 탈환했다. HD현대마린솔루션, 제일엠앤에스, 탑런토탈솔루션, 우진엔텍, 민테크 등의 IPO를 성공시킨 바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산일전기, 클로봇, 전진건설로봇, 현대힘스, 아이엠비디엑스 등의 상장을 이끌었으나 2위에 머물렀다. 올해는 양사 간 격차가 더 좁혀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미래에셋증권은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기업 중 가장 큰 인수 규모를 확보한 상태다. 유가증권시장에서 디엔솔루션즈, 달바글로벌, 코스닥 시장에서 파인원 등의 주관을 맡고 있다. 디엔솔루션즈는 상반기 최대어로 꼽히는 공작기계 1위 기업으로, 상장 시 인수금액 3450억원 확보가 예상돼 단일건 기준 최대 규모다. 이 경우 미래에셋증권은 KB증권을 제치고 1위에 올라설 수 있다. KB증권은 하반기 대한조선, 미코세라믹스, 명인제약, 채비 등 대형 IPO를 예정 중이다. 삼성증권도 디엔솔루션즈 공동주관사로 참여하며, 롯데글로벌로직스(559억원), 지씨지놈(360억원) 등의 인수 주관이 예정돼 있다. 투자금융업계 관계자는 "올해도 굵직한 빅딜이 예정된 가운데 IPO 주관 순위 경쟁은 예년보다 치열할 전망"이라며 "다만 지난해 IPO 시장이 위축됐던 만큼 실적 추이를 단정짓긴 아직 이르다"고 평가했다. 조아해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1분기 전통 기업금융(IB) 시장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다"며 "LG CNS, 서울보증보험 등의 IPO가 ECM(주식발행시장) 회복의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5-04-15 07:04:00
-
'오렌지 전차' 한화생명 vs '호랑이 군단' 젠지, LCK 2025 시즌 개막전 격돌
[이코노믹데일리] 리그 오브 레전드(LoL) 챔피언스 코리아(LCK) 2025 시즌이 '오렌지 전차' 한화생명e스포츠와 '호랑이 군단' 젠지의 개막전으로 화려하게 막을 올린다. LCK는 내달 2일(수) 한화생명e스포츠와 젠지의 경기를 시작으로 2025 LCK 정규 시즌이 개막한다고 발표하며 팬들의 기대감을 높였다. LCK는 2025년을 맞아 대대적인 변화를 시도한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단일 시즌 체제 도입이다. 기존 스프링-서머 시즌 분리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2025년부터는 연간 통합 시즌으로 운영, 한 해 단 하나의 챔피언을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또한 지난 1월과 2월 팬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던 LCK컵을 신설하고, 국제 대회 퍼스트 스탠드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된 피어리스 드래프트 방식을 정규 시즌과 포스트 시즌에 전면 도입한다. 2025 LCK 정규 시즌은 1라운드와 2라운드를 기존 방식대로 운영하며 3라운드부터 5라운드까지는 순위에 따라 레전드 그룹과 라이즈 그룹으로 나뉘어 그룹 내 팀끼리 3번씩 3전 2선승제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정규 시즌 1, 2라운드 종료 후에는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진출팀을 가리는 'LCK 로드 투 MSI'가 개최되며, 시즌 최종 순위를 결정짓는 포스트 시즌은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진행된다. 포스트 시즌 3위까지는 LoL 월드 챔피언십 진출 자격이 주어지며 4위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 여부는 MSI 성적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다. 개막전부터 성사된 한화생명e스포츠와 젠지의 맞대결은 LCK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두 팀은 이미 2024 LCK 서머 결승과 LCK컵 결승에서 맞붙은 바 있으며 두 경기 모두 한화생명e스포츠가 승리하며 젠지에게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특히 한화생명e스포츠는 LCK컵 우승 이후 퍼스트 스탠드에서도 전승 우승을 차지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어 이번 개막전 결과에 더욱 관심이 쏠린다. 젠지가 '오렌지 전차' 한화생명을 꺾고 설욕에 성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개막 1주 차에는 젠지와 T1의 빅매치도 예정되어 있다. 2022 스프링부터 2024 스프링까지 5회 연속 결승에서 격돌하며 LCK 대표 라이벌로 자리매김한 두 팀의 맞대결은 2025 시즌에도 팬들에게 놓칠 수 없는 볼거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 LCK 정규 시즌은 매주 수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진행되며 경기 시작 시간에도 변화가 있다. 평일 경기는 오후 5시, 주말 경기는 오후 3시에 1경기가 시작되며, 2경기는 평일 오후 7시, 주말 오후 5시에 시작된다. 한편 LCK는 2025 시즌 통합 로스터를 공개했다. 로스터에는 디플러스 기아 '베르' 이준민, 농심 레스포스 '크랙' 노지성, T1 '사이퍼' 김유준, BNK 피어엑스 '윌러' 김정현 등이 새롭게 등록되었으며 젠지 정글러 '웻' 우주성은 '위너'로 닉네임을 변경했다. 코치진에도 변화가 있어 DRX는 이종원 CL 코치를 LCK 코치로 '얼라이브' 노진욱을 LCK 코치로 선임하고 김태일 LCK 코치를 CL 감독으로 선임했다. 디플러스 기아는 고성민 선수를 CL 코치로 보직 변경했다. 2025 LCK 정규 시즌은 LCK 유튜브 채널, SOOP, 네이버 이스포츠&게임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생중계되며 현장 관람 티켓은 인터파크에서 경기 시작 48시간 전부터 예매 가능하다.
2025-03-19 17:59:45
-
롯데웰푸드, '2024 앤어워드' 3관왕 쾌거
[이코노믹데일리] 롯데웰푸드가 지난달 28일 열린 디지털 산업 시상식 '2024 앤어워드(&Award)'에서 그랑프리 2개, 위너 1개 등 총 3개 분야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고 4일 밝혔다. '2024 앤어워드(&Award)'는 한국디지털기업협회가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한국인터넷진흥원 등이 후원하는 권위 있는 디지털 산업 시상식이다. 한 해 동안 디지털 산업에 기여한 작품들을 심사해 선정한다. 롯데웰푸드는 소셜미디어 분야에서 공식 유튜브 채널 '맛깔스튜디오'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맛깔스튜디오'는 Z세대 시청자의 취향을 저격하는 다양한 예능형 콘텐츠를 통해 롯데웰푸드의 브랜드와 제품을 재미있게 알리고 있다. 2023년 대비 2024년 콘텐츠 총 조회수가 약 8배 증가했고, 구독자 반응(좋아요, 댓글)은 20배에 달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맛깔스튜디오'의 대표 콘텐츠인 '부리부리 주전부리'는 디지털콘텐츠 분야에서 위너를 수상했다. 글로벌 소비자를 위한 K-과자 토크쇼 콘텐츠로, 명동, 홍대, 성수 등 주요 관광 명소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롯데웰푸드 제품을 소개하고 관련된 이야기를 나눈다. 시즌2까지 진행되고 있으며 누적 조회수는 1천만 회를 돌파했다. 의료건강 분야에서는 '닥터자일리톨 버스가 간다' 캠페인으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대한치과의사협회와 함께 전문 의료기기가 설치된 버스를 타고 전국의 의료소외지역을 방문해 지역민의 구강 건강 관리를 돕는 사회공헌 활동이다. 롯데 자일리톨의 판매 수익금 일부를 지원해 2013년부터 12년째 120회 이상 지역 방문 검진을 진행했으며, 누적 수혜 인원은 7200여명에 달한다. 이날 시상식에 참석한 이승기 롯데웰푸드 콘텐츠마케팅담당 매니저는 "트렌드를 반영한 예능형 콘텐츠로 조회수는 물론이고 구독자 반응이 크게 성장한 점이 높게 평가받았다"며 "MZ세대의 취향을 아우르는 다양한 소통형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기획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04 10:39:26
-
YG, 2025년 전국 투어 오디션 개최… 차세대 K팝 스타 발굴
[이코노믹데일리] YG엔터테인먼트(이하 YG)가 2025년 전국 투어 오디션을 통해 차세대 K팝 스타 발굴에 나선다. 블랙핑크, 트레저, 베이비몬스터 등 글로벌 K팝 스타들을 배출하며 가요계를 선도해 온 YG가 또 어떤 잠재력 넘치는 인재를 발굴할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YG는 오는 2월 7일부터 23일까지 ‘2025 YG NATIONAL AUDITION TOUR’를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오디션은 2월 7일 광주를 시작으로 8일 대전, 9일 전주, 15일 대구, 16일 부산, 22일과 23일 서울까지 총 6개 도시에서 7회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지원 자격은 2007년부터 2014년 사이에 출생한 국내 거주 중인 청소년이라면 성별과 국적에 관계없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보컬, 랩, 댄스, 비주얼 중 가장 자신 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지원할 수 있다. 오디션 접수는 사전 접수와 현장 접수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전 접수는 각 지역별 오디션 개최 주 월요일 낮 12시 전까지 YG 오디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지원 가능하며 현장 접수는 오디션 당일 오후 4시까지 사전 고지된 장소에서 신청할 수 있다. YG는 빅뱅, 2NE1, 블랙핑크, 위너, 아이콘, 트레저 등 내로라하는 K팝 스타들을 배출해왔다. 최근에는 정규 1집 ‘DRIP’으로 성공적인 데뷔를 알린 ‘괴물 신예’ 베이비몬스터까지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활약하는 아티스트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K팝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이번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인재들은 음악 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YG의 전문적인 트레이닝 시스템을 통해 차세대 K팝 스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YG 측은 “새로운 가능성과 잠재력을 가진 K팝 원석들을 기다리고 있다”며 “모든 지원자들의 열정과 도전을 응원할 것”이라고 전해, 재능 있는 인재들의 많은 참여를 독려했다. 한편 ‘2025 YG NATIONAL AUDITION TOUR’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YG 오디션 홈페이지와 공식 SNS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25-01-21 17:55: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