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11 금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12˚C
맑음
대구 11˚C
맑음
인천 8˚C
맑음
광주 7˚C
맑음
대전 9˚C
맑음
울산 9˚C
맑음
강릉 11˚C
맑음
제주 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의대 정원 증원'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의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43대 대한의사협회장 선거 참여 절실
[이코노믹데일리] 대한의사협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제43대 대한의사협회장 선거를 앞두고 회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고 26일 밝혔다. 고광송 대한의협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 강행 등으로 의료계가 큰 혼란에 빠진 상황에서 의료계를 이끌 새 지도자를 선출하는 선거가 한 주 앞으로 다가왔다”며 “회원 여러분이 투표에 참여해 의료 정상화와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의지를 보여달라”고 호소했다. 고 위원장은 “정부가 탄핵 정국에서도 의대 정원 증원 등 잘못된 의료 정책을 강행하고 있다”며 “이 혼란을 수습하고 의료계를 단결시킬 현명한 지도자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회원 여러분의 투표 참여로 역대 최고의 투표율을 기록해 의료 대혼란을 종식시키고 미래 의료를 열어갈 동력을 만들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선거에는 김택우(1번), 강희경(2번), 주수호(3번), 이동욱(4번), 최안나(5번) 등 5명이 후보로 나섰다. 투표는 전자 방식으로 진행되며 1차 투표는 1월 2일부터 4일까지 이뤄지고, 개표 결과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 투표가 7일과 8일 실시된다. 당선자는 개표 직후 발표되며 즉시 협회장직을 수행한다.
2024-12-26 15:46:34
국회·의협, 의대 정원 증원 관련 공개토론회 개최 합의
[이코노믹데일리] 국회와 의료계가 의과대학 정원 증원 문제를 둘러싼 갈등 해결을 위해 정부와 함께 공개토론회를 열기로 합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의대 교수와 학장, 전공의, 의대생, 교육부·보건복지부 장관까지 참여하는 최초의 대규모 논의의 장이 될 전망이다. 19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의협) 회관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박형욱 의협 비상대책위원장,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참석해 1시간 20분간 논의를 진행했다. 박주민 복지위원장은 간담회 이후 "의료 대란의 장기화를 해결하기 위해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으로 인한 부작용이 크다는 점과 의료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할 필요성이 크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이어 "현 상황이 지속되면 제대로 된 의학 교육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의협, 전공의, 국회 교육위와 복지위가 긴밀히 소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토론회는 이르면 연내에 개최될 가능성이 있다. 김영호 교육위원장은 "교육부와 복지부 장관이 참석해 현장의 문제를 직면하고 정부의 답변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다만 간담회에서는 의협 비대위가 요구해온 '2025학년도 의대 모집 정지' 등 구체적 방안에 대한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에 대해 박주민 위원장은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지 명확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은 간담회에서 "젊은 의사들과 학생들은 현재 상황을 해결하지 않으면 학업과 의료 현장에 복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2025학년도 의대 모집 정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형욱 의협 비대위원장도 "의학 교육의 위기와 의료 대란이 심화되고 있다"며 "문제 해결을 위해 결자해지의 원칙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공개토론회는 의정 갈등 해결을 위한 첫 공식 자리로 정부와 의료계가 공통된 해법을 찾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2024-12-19 19:03:3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배터리는 재활용하는데, 석유화학 제품은 매립지로…엇갈리는 업계 행보
2
국내외 화이트햇 해커·보안 전문가 집결… '닷핵 2025' 컨퍼런스, 성황리 개최
3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역사적 반등'…S&P 500 하루 9.5% 급등
4
국내 4대 그룹, '피지컬 AI'로 간다…로봇 투자 전면전 돌입
5
트럼프발 '관세 태풍'에…울고 웃는 韓 화장품·의류 OEM·ODM 기업들
6
LG화학, 분리막 사업 흔들리나…'철수설' 도는 배경은
7
아이폰17 프로, 전작과 비슷..."소비자 수요 감소할 것"
8
네이버 쇼핑앱, 출시 첫 달 신규 설치 1위… '테무' 제쳤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