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
제일종합관리서비스, ESG경영으로 서비스 혁신
[이코노믹데일리] 제일종합관리서비스(대표이사 박재동)는 2000년 설립된 종합 시설관리 전문기업으로, 건물 관리, 청소, 소독, 경비 용역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교보생명보험 계열사로서 안정적인 경영 환경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오고 있으며, ESG 경영을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세계청결산업협회(ISSA)로부터 미화산업 국제표준(CIMS, The Cleaning Imdustry Management Standard) 재인증을 취득해 건물 품질관리와 위생서비스 수준을 입증했으며, 친환경 약품과 소독제를 활용한 사무실 집기클리닝으로 근로자의 건강 증진과 기업 이익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광촉매 공법과 저독성 세제를 활용해 환경 보호를 실천하고, 내부통제기준 제정 및 윤리경영 선언으로 조직 신뢰성을 강화했다. 제일종합관리서비스는 세계청결산업협회로부터 2회 연속 미화산업 국제표준 인증을 획득해 국제 표준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구축하고 친환경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IMS인증은 고객의 관점에서 엄격한 심사 규정을 적용해 건물의 품질관리 시스템, 운영 프로세스 등 위생 관련 서비스 전반의 수준을 평가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미국 환경청(EPA) 기준을 충족한 친환경 청소약품과 소독제를 사용한 사무실 집기 클리닝 서비스를 통해 직원들의 개인건강 증진 및 기업 이익창출 효과와 집기비품 사용년수 증가 등 기업 이익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광촉매의 유해물질 분해 성질을 이용한 친환경 제거공법을 활용해 환경 보호에도 앞장서고 있다. 제일종합관리서비스는 내부통제기준을 제정하고 윤리경영을 선언해 경영 활동 전반에서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잠재적 리스크를 예방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자율준수프로그램(CP) 운영을 통해 공정하고 자발적인 기업문화 형성에도 힘쓰고 있다. 더불어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획득을 통해 작업 환경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직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며 더 나은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체계는 회사의 안정적인 경영 환경 조성과 함께 지속 가능한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회사 내 안전보건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2024-12-17 06:00:00
-
우리금융, 3Q 누적 순익 2.6조…작년 연간실적 넘겼다
[이코노믹데일리] 우리금융그룹은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2조65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했다고 밝혔다. 3개 분기 만에 지난해 연간 실적(2조5063억원)을 초과 달성하며 '연간 당기순이익 3조원'을 향한 순조로운 행보를 보였다. 25일 우리금융은 실적발표를 통해 3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기준)은 시장 기대치(8933억원)를 상회한 903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6% 증가했다고 전했다. 이로써 2분기 연속 9000억원대에 안착했고, 그룹 자기자본이익률(ROE) 또한 10.82%를 기록해 안정적인 이익창출 능력을 입증했다. 3분기 누적 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0.2% 증가한 6조6150억원으로 나타났다. 시장금리 하락으로 인한 은행 순이자마진(NIM)의 하방 압력에도 불구하고 기업대출 중심의 견조한 자산 성장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했다. 같은 기간 누적 비이자이익은 전년보다 53.1% 증가한 1조3780억원을 기록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그동안 추진해 온 수익구조 다변화 노력의 결과로 은행과 비은행 부문 수수료 이익이 고르게 성장했다"며 "유가증권 관련 이익도 증가세를 유지해 비이자이익 성장세를 뒷받침했다"고 설명했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합한 3분기 누적 순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한 7조9927억원을 거뒀다. 그룹 판매관리비용률은 적극적인 비용 관리 노력에 힘입어 39.6%를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에 이어 40%를 하회한 수치로, 하향 안정화 추세가 이어졌다. 대손비용은 3분기 누적 기준 1조25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3% 증가했다. 우리금융 측은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한 일회성 요인 등에 기인한다고 부연했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무수익여신(NPL)비율은 그룹 0.55%, 은행 0.21%로 전년 말 대비 소폭 상승에 그쳤으나 NPL커버리지비율은 그룹 152.3%, 은행 270.2%를 보이며 업계 최고 수준의 리스크 관리 능력을 증명했다. 계열사별로는 우리은행의 3분기 순이익이 8520억원으로, 그룹 전체 당기순이익의 94%를 차지했다. 이어 우리카드 560억원, 우리금융캐피탈 360억원, 우리투자증권 60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이날 우리금융 이사회는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3분기 배당금을 주당 180원으로 결정, 주주환원에 대한 약속을 성실히 이행, 지난 7월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당시 중장기 밸류업 목표를 보통주자본(CET1)비율 기반 주주환원 역량 제고로 설정하고 △지속 가능 자기자본이익률(ROE) 10% △CET1비율 13% △총주주환원율 50% 등을 달성하겠다고 설정한 바 있다. 올해 3분기 기준으로 △ROE 10.82% △CET1비율 12.0% △총주주환원율 33.8%로 나타났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시장 컨센서스를 뛰어넘는 실적을 달성한 우리금융은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노력이 '코리아 밸류업 지수 편입'이란 성과로 이어졌다"며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국 대선 등 글로벌 불확실성에 적극 대응해 연말까지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가며 더 높아진 시장의 기대치에 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25 16:4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