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4.11.24 일요일
맑음
서울 12˚C
흐림
부산 14˚C
맑음
대구 10˚C
맑음
인천 10˚C
구름
광주 12˚C
맑음
대전 10˚C
흐림
울산 11˚C
맑음
강릉 10˚C
흐림
제주 15˚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장자'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포스코, 중국 제철소 파나…올해 3분기 내내 적자 행진
[이코노믹데일리] 포스코가 중국 장쑤성에 있는 합작법인 장자강포항불수강(PZSS) 제철소 매각 검토에 나선다. 지난 2022년 적자를 내기 시작해 올해 3분기 내내 적자를 기록하면서 저수익 사업으로 분류됐기 때문이다. 적자 사업 매각을 공언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의 사업 재편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8일 “사업 부문별로 저수익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스테인리스 사업 부문이 그 중 하나”라며 “스테인리스를 생산하는 중국 공장의 사업 포트폴리오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현재 자문사 선정 작업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장가항포항불수강은 지난 1997년 설립한 생산 법인이다. 한국 연간 스테인리스 생산량(200만t)의 절반이 넘는 11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대규모 시설을 갖추고 있다. 현재 해당 법인은 포스코홀딩스(58.6%)와 포스코차이나(23.9%)가 지분 82.5%를 갖고 있고 나머지 17.5%는 중국 2위 철강 기업인 사강그룹이 보유 중이다. 포스코가 중국 내 제철소 매각에 나선 이유는 적자 상황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5년 중국 철강업계가 스테인리스 사업에 뛰어들면서 시장 상황은 악화되기 시작했다. 현재 중국은 스테인리스 총 수요보다 10~20% 많은 제품을 찍어내고 있다. 포스코는 가동률을 떨어뜨리는 식으로 대응했지만 시장 상황은 갈수록 나빠졌다. 지난 2022년 5900만 달러(약 822억원) 적자를 낸 데 이어 지난해에는 그보다 2배 이상 많은 1억3000만 달러(약 1812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도 포스코 해외법인 중 유일하게 3분기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올 1~3분기에 이미 6900만 달러(약 956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며 2022년 수치를 넘어섰다. 이에 장가항포항불수강은 저수익 사업으로 분류되며 매각 검토 대상에 선정됐다. 장 회장은 지난 7월 적자가 지속되거나 투자 목적을 상실한 사업들에 대한 구조개편을 단행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구조 개편 대상은 저수익 51개와 비핵심 자산 69개를 합친 120개였다. 장자강포항불수강은 제철소 중 첫 대상이 된 것으로 해석된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달 30일 열린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도 “지난해 7월 선정한 저수익 사업 대상 51개를 55개로 늘렸다”며 “해외 저수익 법인을 매각하거나 청산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에선 대규모 손실을 내는 해외법인 매각 작업이 추가로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포스코그룹 내 38개 해외법인 중 적자를 본 회사는 13개다. 포스코의 아르헨티나와 튀르키예 법인 등은 지난해 700억원 이상의 적자를 냈다.
2024-11-08 18:35:1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T1, '제우스'와 계약 종료…'제오페구케' 3년 역사에 마침표
2
'전기 먹는 하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SMR이 '해결사' 될 수 있을까?
3
1세대 화장품 기지개 켜는데…네이처리퍼블릭 '뒷걸음질'
4
[지다혜의 알쓸보카] 넷플릭스 품은 네이버플러스 멤버십…구독료 할인카드 총집합
5
'기후깡패' 트럼프 당선 이후 기후변화 둘러싸고 흔들리는 국제사회
6
넥슨, '2024 던파 페스티벌: 중천' 폭탄 소동 속에서도 성공적 마무리
7
[종합] 현대차 울산 공장 연구원 3명 사망…"원인 규명 조속히"
8
'4만전자' 반도체 경쟁력 하락… 외국인 투자자 "'지배구조 리스크'가 키웠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AI 시대, 개발자의 미래와 생존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