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1 금요일
맑음 서울 -7˚C
맑음 부산 -2˚C
맑음 대구 -5˚C
맑음 인천 -5˚C
흐림 광주 -3˚C
흐림 대전 -5˚C
흐림 울산 -3˚C
맑음 강릉 -5˚C
흐림 제주 3˚C
산업

티웨이항공,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수혜… '제2의 아시아나' 될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임효진 기자
2025-02-17 16:42:50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여파… LCC에 노선 재배분

티웨이항공, 유럽 노선 확보…중·장거리 노선 확장 기대

사진티웨이항공
[사진=티웨이항공]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항공업계 내 독점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보유한 일부 국제선과 국내선 노선을 저비용항공사(LCC)들에게 재배분될 예정이다. 그 결과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장거리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티웨이항공이 ‘제2의 아시아나항공’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독점으로 운항하던 주요 국제·국내선이 조정되면서 LCC들의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이 항공 시장 내 경쟁을 제한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일부 인기 노선의 운수권을 LCC들에게 이전하도록 결정하면서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시장에 나오는 노선은 국제선 22개와 국내선 14개다. 독점 우려가 높은 △서울~장자제 △서울~오사카·삿포로 △서울~푸켓 △부산~세부·다낭 등도 포함돼 있다. 이른바 항공업계에서 '황금 노선'으로 불리는 노선들이다. 이 중 미주는 에어프레미아, 유럽은 티웨이노선에 노선에 대한 이관이 마무리된 상황이다.

특히 티웨이항공은 기존에 배분받은 유럽 노선에 더해 추가적인 국제선을 확보할 경우 대형 항공사(FSC)인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중심이었던 기존 항공 시장에서 제2의 아시아나항공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티웨이항공은 이미 A330-300 기종을 도입하며 중장거리 운항 능력을 갖춰가고 있다. 이번에 기회를 잡아 노선이 확대된다면  FSC와 경쟁할 수 있는 중형 항공사로 성장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티웨이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의 빈자리를 채울 가능성이 있지만 단순한 노선 확보만으로는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온다. 기재 운영 역량과 노선 운영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빠른 확장은 안전 문제 등 위험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중·장거리 항공 시장에서는 가격 경쟁력뿐만 아니라 기내 서비스 수준, 정시 운항률, 마일리지 프로그램 등 다양한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에서 티웨이항공에게는 기존 LCC 모델을 넘어서는 전략적 전환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안정적 기단 운영과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 전략이 동반돼야만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결정으로 티웨이항공이 추가적인 국제선을 확보하게 된다면 중형 항공사로 성장할 기회가 열릴 것”이라며 “특히 아시아나항공이 가졌던 중·장거리 네트워크 일부를 인수할 경우 LCC를 넘어서는 새로운 형태의 항공사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