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9건
-
-
-
-
-
-
온 도로가 '클래식카 전시장'이라던 쿠바, 알고 보니 전기차‧태양광 시대
[이코노믹데일리] 황혼이 지는 아바나 해변 카페에 앉아 쿠바의 전설적인 부에나 비스타 소셜클럽 음악을 들으며 모히토 한 잔을 마시고자 했던 나의 버킷리스트. 언제나 가볼까, 얼마면 될까 구상만 하던 중 드라마 ‘남자친구’(2018~2019년)의 송혜교와 박보검에게 ‘선빵’을 당했습니다. 황금빛 모래사장을 배경으로 자유로운 영혼만큼이나 헝클어진 곱슬머리 청년 박보검과 한 번도 자신의 삶을 살아보지 못한 송혜교의 가슴 설렌 첫 만남이 이뤄진 곳이 바로 쿠바 아바나였습니다. 한 때는 미국의 턱 밑에서 총구를 겨누던 서슬 퍼런 공산국가였지만 이제는 수많은 쿠바인들이 미국으로 건너가 그들 가족에게 보내는 수입과 함께 오랜 고립으로 과거에 박제된 거리 풍경이 지금은 이색 관광지가 돼 관광 수입이 주요 수입원인 나라이죠. 그런 쿠바가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전기차와 태양광이 자리 잡고있는 친환경 국가로 발돋움하고 있었습니다. 저만 몰랐던 걸까요? 쿠바 정부가 태양광 발전을 활용한 전기차용 고속 충전소를 설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소식이 현지시간으로 지난 9일 관영지 그란마(Granma) 보도를 통해 전해졌습니다. 이를 다시 독립 뉴스매체 온쿠바뉴스(OnCuba News)가 인용 보도했고, 챗GPT 덕분에 저는 온쿠바뉴스 기사 내용을 빠삭하게 읽어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사업은 태양광 발전 단지 설치 프로그램과 병행해 진행되며 오는 12월까지 1단계 계획을 통해 1200메가와트(MGW)의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라네요. 쿠바의 씨멕스(Cimex) 그룹이 주도하는 이 트로젝트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국가 전력망에 가해지는 부담도 덜겠다는 일석이조 방안입니다. 지금 쿠바에서는 주요 화력발전소들의 노후화와 연료 부족으로 인한 전력난이 심하답니다. 관영지 그란마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총 네 단계로 추진돼 최종적으로 40개의 ‘라이트형’ 충전소가 구축될 예정이랍니다. 각 충전소에는 2000㎡ 규모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고, 하루 2만4000kWh의 전력을 생산하며 8000kWh를 저장할 수 있다는군요. 이를 통해 하루 평균 800대의 차량(중형 및 대형)을 충전할 수 있을 거랍니다. 이제 쿠바 도로에는 골동품 자동차만 달리는 게 아닙니다. 쿠바는 1962년 미국의 금수 조치 이후로 자동차 수입을 제한해왔으나 2013년 50여 년 만에 자동차 수입 제한을 철폐했고 승용차, 트럭, 오토바이 등의 수입도 점진적으로 허용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는 쿠바 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기 이동수단인 전기 오토바이를 충전 인프라 계획에서 제외해 논란이 예상된다네요. 쿠바에서는 연료 부족과 환경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13년 전기 오토바이 수입을 허가했고 이후 그 수가 빠르게 늘고 있답니다. 하바나와 같은 도시에서는 전기 스쿠터를 타고 이동하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고 중국 투자자와 쿠바 국영업체 합작으로 ‘카리브해 전기 자동차(Vedca)’와 같은 기업이 설립돼 전기 스쿠터, 자전거, 미니 삼륜차 등을 생산하기도 한답니다. 쿠바 국가혁명경찰총국(DGPNR)에 따르면 현재 쿠바에는 30만대 이상의 전기 오토바이, 전기 스쿠터가 운행 중이라네요. 이는 쿠바 교통부에 공식 등록된 전기 자동차 약 5만대의 6배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 전기 오토바이 전용 충전소가 포함되지 않은 것에 대해 시멕스 측은 “전기 오토바이의 안전성 우려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는데 전기 오토바이는 현재 쿠바 내 화재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네요. 그렇지만 전기 오토바이가 실질적으로 쿠바 국민의 일상 이동수단으로 자리 잡은 만큼, 이 같은 배제는 향후 국민의 비판을 불러올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차 충전소 설치, 태양광 활용 등 쿠바 정부 정책에는 박수를 보냅니다. 하지만 보다 많은 국민들의 발이 되어주고 있는 전기 오토바이류에 대한 관심도 절실해 보이네요.
2025-04-17 06:00:00
-
-
-
-
베트남, 오몬 제4 화력발전소 EPC 입찰 개시…국내 건설사 컨소시엄 참여
[이코노믹데일리] 베트남 남부 전력 공급을 책임질 대형 화력발전소 건설을 두고 국내 건설사들이 현지 유력 업체들과 손잡고 본격적인 수주 경쟁에 나섰다. 삼성물산, 대우건설, 두산에너빌리티 등이 컨소시엄을 꾸려 입찰에 참여했으며 사업 예산은 1조139억원, 총 투자액은 1조7070억원에 이른다. 9일 베트남 석유가스 그룹(PVN) 산하 전력 전문 프로젝트 관리위원회는 껀떠시에 들어설 오몬 제4 화력발전소 건설 사업의 설계, 조달, 시공, 시운전 및 인수인계(EPC) 패키지 입찰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베트남 국영 에너지 그룹 PVN이 주관하며 오는 4·4분기 착공해 2028년 3·4분기 상업 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다. 입찰에는 △삼성물산-베트남석유가스건설주식회사-페콘(FECON) △대우건설-베트남기계설비총공사(LILAMA) △두산에너빌리티-전력컨설팅2 주식회사 등 각기 다른 현지 파트너와의 조합으로 국내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오몬 제4 화력발전소는 베트남 정부가 추진 중인 ‘전력 개발 계획 6’에 포함된 주요 가스 화력발전 사업 중 하나로, 남부 지역 및 국가 전력망의 공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핵심 인프라로 꼽힌다. 전체 프로젝트는 ‘오몬 가스-전력 프로젝트’의 일부에 해당한다. 응우옌 마잉 트엉 프로젝트 관리위원회 위원장은 “전체 18개 패키지 가운데 5개는 계약을 마쳤고 나머지 절차도 순차적으로 진행 중”이라며 “오는 7월까지 EPC 패키지 계약을 체결해 전체 일정을 준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물산은 베트남에서 년짝 제3·4 발전소 EPC 패키지 입찰에 참여한 바 있으며, 대우건설은 주요 도시개발 사업 외에도 현재 탄호아성의 응이선 LNG 발전소 투자 검토를 진행 중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몽즈엉 제2, 빈떤 제4, 응이선 제2, 송하우 제1 등 대규모 발전소 EPC를 수행했고 남딘부이항, 젬라링크항, 다낭항 등에서 크레인 설비 공급 실적도 보유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EPC 부문에서의 풍부한 실적과 현지 파트너십을 앞세워 수주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베트남 정부 역시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2025-04-09 07:53:55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