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6건
-
5대 은행 가계대출, 하루 평균 2102억원 급증…'영끌' 열풍 재현되나?
[이코노믹데일리] 지난달 국내 5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주택 거래자금 수요뿐만 아니라, 최근 증시 투자자금 몰린 것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총 752조749억원에 달하며, 5월 말(748조812억원)보다 3조9937억원이 증가했다. 이는 하루 평균 약 2102억원씩 증가한 수치로, 지난해 8월(3105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러한 증가 속도가 계속된다면, 이달 말까지 약 6조3000억원의 가계대출 증가가 예상되며, 월간 증가 규모는 지난해 8월(+9조6259억원) 이후 최대 기록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 가계대출 증가는 지난해 여름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 열풍 직전 상황과 비슷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은행권에서는 현재 상황이 지난해 8월의 대출 급증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향후 대출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다만, 대출 증가의 속도가 지속될지 여부는 각 은행의 가계대출 규제 수준과 분기 말 대출 채권 매각 및 상각 등의 변수가 남아 있어 신중히 지켜봐야 할 시점이다. 가계대출 종류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은 596조6471억원에 달하며, 5월 말(593조6616억원)과 비교해 19일 기준으로 2조9855억원 증가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 속도가 계속되면 5월 말까지 4조7천억원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5월의 증가 폭(+4조2316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신용대출의 경우, 5월 19일 기준 잔액이 103조3145억원에서 104조4027억원으로 1조882억원이 증가했다. 하루 평균 증가액은 573억원으로, 5월(265억원)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러한 증가 속도가 유지되면, 신용대출은 월말까지 1조7천755억원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2021년 7월(+1조8637억원) 이후 무려 약 4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이다. 신용대출 급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주택 거래자금 수요뿐만 아니라, 최근 증시 투자자금 수요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은행권에서는 이러한 급증하는 대출 규모가 '영끌' 열풍과 유사한 상황을 재현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신용대출의 급증은 주택 거래자금 외에도 증시 투자자금으로의 수요가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5-06-22 13:53:51
-
-
오세훈의 토지거래허가제 번복, 가계대출 '부채 폭탄' 도화선 되나
[이코노믹데일리] 지난달 오세훈 서울시장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번복으로 주택 거래가 급증하면서 가계대출이 5조원 가까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9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으로, 무분별한 주택담보대출 급증에 따른 부채 폭탄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 대비 4조8000억원 늘어난 1150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3조7000억원 증가하며 전체 가계대출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담대가 주택 거래 활성화에 따라 빠르게 늘어난 영향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앞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예고했으나 이를 번복하면서 주택 거래가 급증했다. 이로 인해 대출 수요가 폭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제 번복은 시장에 혼란을 야기했고, 주택 구매를 서두르는 수요를 자극했다"고 지적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도 1조원이 증가했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2~3월 주택 거래 증가의 영향이 4월부터 주담대에 본격 반영됐고, 1분기 상여금 유입 효과 소멸로 신용대출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러한 대출 급증이 향후 부채 관리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서 과도한 대출이 발생할 경우, 금리 인상이나 경기 침체 시 심각한 부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한국의 경제 회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은행의 기업대출도 14조4000억원 증가해 2020년 4월(27조9000억원)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6조7000억원, 7조6000억원 증가하며 기업 대출 증가를 주도했다. 한국은행은 이를 경기 회복 신호로 해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기업들은 대규모 투자보다는 자금 확보 차원에서 대출을 늘린 것"이라 말했다. 지난달 은행 수신은 25조9000억원 감소했다. 수시입출식예금에서 36조8000억원이 빠져나갔으며, 이는 기업의 부가세 납부, 배당금 지급, 지방자치단체 자금 인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기예금은 기업 예금 감소로 5000억원 증가에 그쳤고,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머니마켓펀드(MMF)가 24조1000억원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38조5000억원 늘었다. 전문가들은 가계대출의 급증이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향후 부채 관리의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025-05-14 13:57:3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