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27 일요일
맑음
서울 33˚C
구름
부산 30˚C
구름
대구 30˚C
맑음
인천 32˚C
맑음
광주 31˚C
맑음
대전 32˚C
맑음
울산 31˚C
맑음
강릉 32˚C
흐림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정부지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中, 작년 정부지출 목표 미달…공공지출 증가율 1% 미만
[이코노믹데일리] 내수·부동산시장 침체 속에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중국이 지난해 재정 지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작년 중국 정부의 총 지출액은 38조6000억 위안(약 7617조7000억원)으로 3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통해 책정한 예산보다 5% 적었다. 블룸버그는 "민간 투자와 소비 수요가 부진하기 때문에 공공 지출 확대는 중국 경제 회복의 핵심"이라며 "하지만 지방 정부들은 줄어든 토지(사용권) 판매 수입과 부채 리스크를 억제하려는 중앙 정부의 대출 규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짚었다. 실제 지난해 중국 중앙·지방정부는 인프라 투자부터 공무원 봉급까지 아우르는 주요 지출을 통틀어 2023년 대비 1% 미만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신규 주택 건설이 수년째 감소하면서 토지 수요가 줄고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의 세금을 감면해주던 지방 정부는 토지 수입 감소로 재정 지출 역량이 줄어든 영향이다. 블룸버그는 중국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년 재정 수입이 28조2000억 위안(약 5565조3000억원)으로 10조4000억 위안(약 2052조4000억원·중국 GDP의 7.7%) 적자가 났다고 추산했다.
2025-01-26 18:02:5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690조 '스타게이트' AI 프로젝트 차질…엔비디아 등 반도체주 급락
2
체코 원전 덕에…올 상반기 해외건설 수주 11년 만에 최고
3
美, 중국 흑연 고율 관세 폭탄...LG엔솔·삼성SDI·SK온 반사이익 신호탄될까
4
국내 AI 기술, 글로벌 무대서 '성과' 입증…LG·업스테이지·네이버 약진
5
크래프톤, '인수 대박'이 '3447억 소송 대란'으로… M&A 후폭풍 맞나
6
건설투자 사상 첫 4년 연속 감소…내년엔 5년 연속 '초유의 침체' 우려
7
이재용 무죄에도 미소 못 짓는 삼성전자...하반기 실적 반등 열쇠는 '신성장 동력 확보'
8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최종 선발전, 네이버·LG·SKT 등 10개팀, 기술·세력 과시 총력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카드사 불황의 이면…'규제와 완화' 사이에서 균형을 잃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