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8 화요일
맑음
서울 -4˚C
맑음
부산 2˚C
맑음
대구 -0˚C
맑음
인천 1˚C
흐림
광주 2˚C
흐림
대전 -1˚C
흐림
울산 1˚C
맑음
강릉 -1˚C
흐림
제주 1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정제마진'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4
건
정유 4사, 3Q 흑자전환 '성공'...정제마진 강세에 4Q도 '장밋빛'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정유 4사(SK이노베이션·에쓰오일·HD현대오일뱅크·GS칼텍스)가 올해 3분기 모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4분기에도 정제마진 강세에 힘입어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올해 상반기 합산 1조원 이상 영업손실을 기록한 정유 4사의 3분기 영업이익은 2292억원, SK이노베이션 석유사업 부문 영업이익 3042억원, HD현대오일뱅크 1912억원, GS칼텍스 3721억원으로 정유 4사 모두 흑자 전환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상반기 내내 손익분기점에 가까운 배럴당 4달러 수준에 머물렀던 정제마진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면서 흑자 전환이 가능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싱가포르 복합 정제 마진은 지난달 둘째 주 배럴(158.9리터)당 13달러까지 올랐다. 정제 마진은 정유 업계 수익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석유 제품 판매 가격에서 원유 구매비 등을 뺀 값이다. OPEC+의 증산 속도 조절, 러시아·미국·중동 등 주요 산유국의 원유 공급 차질이 정제마진 증가세의 이유로 꼽힌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 모임인 OPEC+의 소속 8개국 에너지 장관들은 지난달 회의를 열고 다음달 원유 생산량을 하루 13만7000배럴만 늘리기로 결정했다. 이는 지난 8월과 9월의 증산 규모(하루 54만7000배럴)에 비하면 4분의 1 수준이다. 또한 OPEC+는 내년 1분기(1~3월) 추가 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국제유가가 하방 압력을 받는 데다 내년 초에는 계절적 비수기로 인해 원유 수요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를 반영한 조치로 해석된다. 사우디아람코도 지난 6일 12월 아시아향 원유 판매 고시 가격(OSP)을 1.2달러 인하해 1달러로 결정했다. 이는 지난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원가 하락에 영향을 미쳐 정유업계의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국의 러시아 제재로 인해 러시아산 원유의 대체제로 중동산 원유 수요가 증가하면서 중동산 원유 수입 비중이 높은 국내 정유업계가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의 러시아 제재 이후로 인도와 중국 정유업체들은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줄이고 있다. 이에 업계 일각에서는 중동산 원유 수요가 증가할 경우에는 OPEC+의 빠른 감산 완화와 시장점유율 확대가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감을 표한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강세인 등·경유 마진이 유지되고 국제유가도 기존 예상을 웃돌 수 있다"며 "국내 정유사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영업 환경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5-11-10 14:14:43
에쓰오일, 3분기 영업이익 2292억원...전년比 흑자 전환
[이코노믹데일리] 에쓰오일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8조4154억원, 영업이익 2292억원을 달성했다고 3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8%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에쓰오일은 정제마진과 윤활기유 스프레드 호조로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사업별로 정유부문은 매출 6조6943억원, 영업이익 1155억원을 기록했다. 두바이 원유 가격은 석유수출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 모임인 OPEC+의 증산 기조에도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국의 대러시아 제재로 인해 보합세를 기록했다. 정제마진은 러시아 정제설비의 가동 차질 등에 따른 공급 제한 등 등경유 제품 스프레드 강세 바탕으로 상승했다.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 1조163억원, 영업손실은 199억원으로 집계됐다. 파라자일렌(PX)은 중국 신규 고순도테레프탈산(PTA) 설비 가동 등 안정적 다운스트림 수요에 힘입어 스프레드 개선이 지속됐다. 반면 벤젠은 미국의 수입 수요가 관세 부과로 인해 줄어든 가운데, 중국 내 신규 벤젠 설비가 가동되면서 공급이 증가해 스프레드 약세를 보였다. 올레핀 다운스트림(PP & PO)도 역내 공급 증가와 미-중 관세 분쟁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인해 수요 회복이 지연돼 약세가 지속됐다. 윤활 부문은 탄탄한 수요를 바탕으로 매출액 7047억원, 영업이익은 1336억원을 달성해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노후 정제설비의 폐쇄가 신·증설을 웃돎에 따라 2025년 정제설비 생산능력은 순감소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이에 더해 미국, 러시아 등의 일부 정유공장 운영 차질이 타이트한 공급 상황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석유 수요가 아시아와 중동을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난방유 성수기 도래에 따라 등경유 스프레드 강세가 예측된다"고 전망했다. 내년 완공을 앞둔 샤힌 프로젝트의 공정 진행률은 85.6%다. 에쓰오일은 주요 고객사로의 배관 공사가 진행 중이며 온산과 울산 간 간선 배관 공사는 완료했다고 전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추가 고객사를 확보 중이며 장기 계약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5-11-03 15:43:10
美, 러시아 석유 제재 강행..."석유 공급 차질로 국내 반사효과"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러시아의 대형 석유기업을 상대로 제재를 가하면서 23일(현지시간) 국제유가가 하루새 5% 넘게 올랐다. 이에 업계에서는 국내 기업이 반사효과를 얻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4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종가는 배럴당 61.79달러로 전장보다 5.6% 올랐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 종가는 배럴당 65.99달러로 전장보다 5.4% 상승했다. 앞서 트럼프 미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논하기 위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식을 취소했다. 이어 미 재무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협상에 미온적인 러시아를 겨냥해 루코일, 로스네프트 등 러시아 최대 석유 생산기업과 자회사 30여곳의 자산을 동결하는 등의 제재를 단행했다. 러시아는 석유 등을 수출해 전쟁자금을 조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 추산에 따르면 루코일과 로스네프트는 러시아 전체 원유 수출량의 약 50%를 차지한다. 일각에서는 러시아 정부 수입의 4분의 1 정도가 석유·가스 산업에서 나와 러시아가 받는 타격이 클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제마진 상승세에 더해 원유 가격이 폭등하자 한국 대표 정유 4사(GS칼텍스, SK이노베이션, HD현대오일뱅크, 에쓰오일)도 연일 오름세를 보인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후 2시 41분께 GS는 전 거래일 대비 850원(1.86%) 상승한 4만9200원에, SK이노베이션은 전 거래일 대비 9900원(7.95%) 오른 13만4400원에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 HD현대오일뱅크의 모기업인 HD현대는 전 거래일 대비 6900원(3.93%) 상승한 18만2400원을, 에쓰오일(S-OIL)은 전 거래일 대비 1700원(2.33%) 상승한 7만 4800원으로 계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올해 3분기 정유사들의 실적이 나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러시아를 비롯한 미국, 중동 등 주요 산유국의 석유 공급이 차질을 빚고 있어 이에 대한 반사 효과가 나타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유럽연합(EU)도 러시아 석유·가스 수익을 겨냥한 추가 제재를 내놓으면서 미국과 동시에 러시아 제재를 가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20일(현지시간) 러시아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금지를 포함한 제19차 대러시아 제재 패키지에 합의했다고 24일 발표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중국 주요 국영 에너지 기업들은 미국의 제재 발표 이후 루코일과 로스네프트로부터의 석유 구매를 일시 중단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것은 러시아에 압력을 가하려는 시도"라면서 "새로운 서방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5-10-24 17:16:46
에쓰오일, 적자 전환에도 회사채 수요예측 '1조원 도달'
[이코노믹데일리] 에쓰오일(S-Oil)이 공모 회사채 발행을 위해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1조원이 넘는 수요를 확인했다. 에쓰오일은 해당 자금을 울산 온산국가산업단지에 건설 중인 샤힌 프로젝트 설비 투자에 사용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에쓰오일은 지난 20일 총 3600억원의 자금을 마련하고자 회사채 수요 예측을 진행했다. 그 결과 총 1조1400억원의 주문이 들어왔다. 트랜치(만기) 별로 3년물 2100억원에는 7400억원, 5년물 1000억원에는 3000억원, 10년물 500억원에는 1000억원의 주문이 접수됐다. 금리도 언더를 기록했다. 에쓰오일은 희망 금리 밴드로 개별 민평에 ±30bp(1bp=0.01%p)를 가산한 이자율을 제시했는데, 수요 예측 결과 3년물은 마이너스(-)1bp, 5년물은 파(0bp), 10년물은 -20bp에서 금리가 형성됐다. 이에 에쓰오일은 최대 5000억원 증액 발행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증권보고서 자료에 따르면 에쓰오일은 이번 회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하는 자금 2200억원을 샤힌 프로젝트 설비투자(CAPEX)에 사용할 예정이다. 1400억원은 회사채 차환에 사용한다. 한국기업평가(이하 한기평)는 에쓰오일의 신용등급을 'AA+(안정적)'로 평가했다. 한국신용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는 'AA0(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기평은 샤힌 프로젝트 완성 이후 회사의 사업 경쟁력이 제고될 것으로 내다봤다. 유준위 한기평 연구원은 “샤힌 프로젝트 완성 이후 석유화학 부문 사업 경쟁력이 제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샤힌 프로젝트 가동으로 정유-화학 수직계열화에 기초한 설비 운영 및 원가 경쟁력 강화, TC2C(Thermal Crude to Chemical) 기술 도입에 따른 수율 개선 등에 힘입어 나프타분해시설(NCC) 대비 사업 경쟁 우위를 보이며 포트폴리오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에쓰오일의 공모 회사채 발행은 올해로 세 번째다. 에쓰오일은 지난 3월 4400억원 공모채를 시장에서 조달했고 지난 6월에도 4000억원의 공모채 발행을 했다. 연내 만기도래하는 회사채는 10월 29일 1000억원이 전부다. 한편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쓰오일은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손실 2440억원을 내며 전년 동기(영업이익 1606억원) 대비 적자 전환했다. 매출은 8조485억원으로 16% 감소했다. 이에 지형삼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원은 "글로벌 수요 둔화 및 공급 과잉으로 정제마진 약세가 지속돼 올해 상반기 국내 정유산업의 수익성이 전반적으로 저하됐다"며 "하반기에는 국제 유가가 하향 안정화하고 역내 수급 개선을 바탕으로 정유 부문 수익성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그는 "중국 및 유럽의 경기 둔화, 그리고 글로벌 운송유 수요의 구조적 감소 추세는 정유 부문 수익성 회복의 제약 요인으로 지속 작용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2025-10-22 15:16:5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
2
신영증권, 시스템 장애...투자자 피해 속출
3
LGU+·SKT·한화, UAM 사업 전면 재검토..."상용화 지연 탓"
4
증시 활황에 빅5 증권사 역대급 실적…내부통제 리스크엔 '경고등'
5
테슬라코리아, 완전자율주행 'FSD' 국내 출시 예고
6
[지다혜의 금은보화] 결제·대출 넘어 생활 속 금융으로…농협은행, '임베디드 금융' 확장 속도
7
부산 진해신항 DL이앤씨 공사 현장서 작업자 사망 호스 파열 충격에 해상 추락
8
'역대 최대 규모' 지스타 2025, 13일 개막…엔씨·넷마블·크래프톤 신작 대전 '초읽기'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금융경제 레드플래그] 포용금융 역설...고신용자가 외면받는 금융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