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52건
-
삼성전자, 테크 콘퍼런스서 인공지능 전환 핵심 기술 소개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전자가 20일 '삼성 테크 콘퍼런스 2025(Samsung Tech Conference 2025, STC2025)'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인공지능 전환(AX, AI Transformation)'을 주제로 AI 에이전트, 로봇 AI, 차세대 보안, 통신 등 혁신적인 선행 기술부터 상용화 기술까지 다양한 성과와 비전을 공유했다.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AI는 이미 단순한 도구가 아닌 일상과 업무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며 "디지털 전환을 넘어 인공지능 전환이라는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조연설에서 삼성전자는 AI 기반 차세대 보안 혁신, 지능형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의 진화, AI를 활용한 로봇 기술의 도약, 오픈소스 AI의 생태계 확장 등 인공지능 전환 시대의 4가지 핵심 기술을 소개했다. 또 리눅스 재단의 짐 젬린 의장이 최신 오픈소스 AI 기술 동향을 공유했다. 기조연설 이후 진행된 기술 세션에서는 삼성전자 연구원 60여 명이 통신, 헬스케어, 보안, 스마트싱스 등 다양한 분야에 AI를 적용한 최신 연구 성과 40여 건을 발표했다. 보이스피싱과 악성 앱 AI 자동 탐지, AI 기반 고전 영상 고화질 복원, 30분 만에 갤럭시 XR 콘텐츠 제작하기, 온디바이스 오디오 지우개, 무선 통신 기지국 AI 품질 최적화 등 다양한 사례가 소개됐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 8월에 미국 정부 주최로 개최된 글로벌 보안 기술 경진 대회 'AI 사이버 챌린지(AIxCC)' 결승전에서 최종 우승한 삼성리서치의 AI 보안 기술 리더십과 향후 연구 방향도 공유했다.
2025-11-20 13:43:56
-
-
캐딜락, SUV '에스컬레이드 IQ' 국내 출시… 2억7757만원부터
[이코노믹데일리] 캐딜락이 브랜드의 플래그십 SUV '에스컬레이드'를 순수 전기 모델로 재해석한 '에스컬레이드 IQ'를 국내 공식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오는 20일부터 판매를 시작하는 이번 모델은 지난 1998년 1세대 출시 이후 전 세계 100만대 이상 판매됐다. 에스컬레이드 IQ는 기존 모델의 헤리티지 요소를 계승하면서 전동화 기술과 풀사이즈 SUV의 특징을 더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 이번 모델은 전장 5715mm, 휠베이스 3460mm의 풀사이즈 SUV로 GM의 전기차 아키텍처 설계가 적용돼 넓은 실내 공간을 유지하면서 전면부에는 345리터 용량의 대형 e-트렁크가 탑재됐다. 외관은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한 캐딜락의 시그니처 디자인을 적용했다. 수직형 LED 헤드램프, 블랙 크리스탈 실드, 일루미네이티드 캐딜락 크레스트가 전면을 장식하며 블레이드형 테일램프, 슬로핑 루프라인, 24인치 알로이 휠이 실루엣을 완성했다. 외장 색상은 총 6가지이며 일부 모델에는 투톤 루프가 적용된다. GM과 LG에너지솔루션 합작사 '얼티엄 셀즈'에서 생산한 205kW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739km 주행 가능하다. 800V 충전 시스템은 최대 350kW 충전을 지원하며 10분 충전으로 최대 188km 주행이 가능하다. 듀얼 모터 AWD 시스템은 최대 출력 750마력, 최대 토크 108.5kg·m를 성능이며 주행 효율과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전·후륜 구동력을 상황에 맞게 조절한다. 이번 모델에는 마그네틱 라이드 컨트롤 4.0과 에어 라이드 어댑티브 서스펜션이 적용돼 초당 최대 1000회 도로 상태를 감지하고 사륜 조향 시스템의 탑재로 저속에서는 좁은 도로에서 회전 반경을 최소화하고, 고속에서는 안정적인 차선 변경을 지원한다. '어라이벌 모드'는 차량을 대각선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해 도심 주차에 최적화됐다. 에스컬레이드 IQ에는 GM 핸즈프리 운전자 보조 시스템 '슈퍼크루즈'가 탑재됐다. 운전자가 전방 주시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떼고 주행 가능하다. 또한 캐딜락 온스타 서비스와 연동해 원격 시동, 배터리 상태 확인, OTA 업데이트 등 다양한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대시보드 전면을 가로지르는 55인치 커브드 LED 디스플레이와 파노라마 글라스 루프, LED 앰비언트 라이트가 장착됐고 플로팅 캔틸레버 콘솔과 내장형 냉장고 등 실용성과 디자인의 균형을 맞췄다. 또한 재활용 원사와 고급 소재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럭셔리 인테리어를 구현했다. 국내에서는 프리미엄 스포츠 단일 트림으로 출시되며 가격은 2억7757만원이다. 윤명옥 GM 한국사업장 전무는 "에스컬레이드 IQ는 전동화 시대에 맞춰 확장한 캐딜락의 핵심 모델"이라며 "국내 최초 풀사이즈 전기 SUV를 통해 브랜드가 지향하는 새로운 기준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19 17:27:35
-
-
-
새벽 배송, 일상을 바꾸는 혁신
[이코노믹데일리] 최근 유통업계의 화두 중 하나가 ‘새벽 배송’이다. 일각에선 “소비자의 편의를 위해 필수”라는 주장이 있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과도한 비용과 환경 부담을 야기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러한 새벽 배송 논란에 대해 ‘필요하다 vs 필요 없다’는 이분법적 결과를 내리기는 쉽지 않다. 실제 유통업계에서 새벽 배송은 단순한 서비스가 아닌 현대인의 생활 방식을 바꾸는 혁신으로 자리 잡고 있다. 먼저 새벽 배송은 소비자 편의를 극대화하는 서비스다. 출근 전 집 앞에서 신선식품과 생필품을 받아보는 경험은 단순한 ‘편리함’을 넘어,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는 생활 전략이 된다.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에게는 쇼핑 시간을 확보하는 현실적 대안이며, 하루 계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게 돕는다. 이러한 편의성은 단순한 서비스 만족을 넘어, 소비자의 삶의 질과 라이프스타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새벽 배송은 유통 산업의 혁신을 촉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물류센터 자동화, AI 기반 재고·경로 최적화, 실시간 배송 모니터링 등 첨단 기술이 빠르게 도입되면서 전체 공급망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나타난다. 한 대형 유통사는 새벽 배송 중심의 물류 운영으로 차량 운행 경로와 센터 작업 효율을 최적화했고, 낮 시간 배송 대비 처리 속도와 정확도를 크게 개선했다. 이는 단순 경쟁을 넘어 산업 구조 자체를 진화시키는 사례다. 무엇보다 새벽 배송은 맞춤형 소비 시대의 핵심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소비자는 필요한 상품을 필요한 시간에 받아보며 선택권을 확보한다. 신선식품, 한정판 상품, 맞춤형 패키지 등 다양한 경험은 단순한 배송을 넘어, 유통과 문화가 만나는 새로운 소비 경험을 창출한다. 브랜드와 소비자가 상호작용하는 방식, 팬덤과 소비 패턴까지 영향을 받으면서, 유통과 문화가 결합된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물론 비용과 환경 부담은 여전히 고려해야 할 과제다. 야간 근무 인력, 물류센터 운영비, 추가 차량 운행으로 비용이 증가하고, 탄소 배출도 증가한다. 하지만 효율적 운영과 기술 혁신, 선택적 서비스화로 충분히 완화할 수 있으며, 편의·효율·지속가능성을 균형 있게 고려하는 전략이 중요하다. 결국 새벽 배송은 단순히 ‘편리함’을 넘어 현대인의 삶을 지원하고, 산업을 혁신하며, 새로운 소비 문화를 만들어가는 핵심 시스템이다. 비용과 환경 문제를 보완하며 지속 가능한 구조로 정착한다면, 새벽 배송은 앞으로도 현대인의 일상을 지탱하는 중요한 축으로 자리할 것이다. 결국 새벽 배송 논쟁은 ‘필요성’만으로 평가할 사안이 아니다. 편의 vs 비용·환경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핵심이다. 유통업계가 생존 경쟁 속에서도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려면, 소비자 편의와 물류 효율을 동시에 고려하는 맞춤형 배송 전략이 필요하다.
2025-11-19 09:47:06
-
-
-
-
-
-
-
-
신송식품, '2025 푸드 엑스포 카자흐스탄' 참가
[이코노믹데일리] 신송식품은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열린 ‘2025 푸드 엑스포 카자흐스탄(2025 FoodExpo Qazaqstan)에 참가, 한국 전통 장류의 우수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현지 시장에 알렸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신송식품은 간장·된장·고추장 등 기본 장류는 물론, 저염·무첨가 발효 제품, 글로벌 맞춤형 소스 라인업 등 다양한 K-장류를 선보였다. 특히 중앙아시아 요리 스타일에 어울리도록 개발된 매콤·달콤·바비큐형 고추장 소스가 현지 바이어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현장을 찾은 카자흐스탄 및 CIS(독립국가연합)지역의 유통·외식 관계자들은 “발효의 깊은 맛과 깔끔한 풍미가 현지 음식과 잘 어울린다”, “K-푸드 열풍과 함께 프리미엄 소스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신송식품 부스에서는 가정용 튜브형 장류, 글로벌 레시피형 고추장(스위트·핫·사워 등), 즉석 전통 된장국 등 편의성을 강조한 제품도 함께 전시됐다. 특히 고추장 기반의 ‘딜리셔스 고추장’ 라인업은 중앙아시아 음식에 바로 활용 가능한 점이 호평을 받았다. 신송식품은 전시 기간 동안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80여 개 이상의 바이어와 상담을 진행했으며, 일부 유통사와는 현지 공급 및 공동 프로모션 협력을 논의했다. 신송식품 관계자는 “카자흐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지역은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시장”이라고 말하며, “전통 발효 기술을 현대적 방식으로 재해석한 K-장류를 기반으로 중앙아시아 소비자와 더욱 가까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신송식품은 이번 전시에서 얻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현지화한 장류·소스 개발,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 확대, K-발효 소스 브랜드화 전략 강화 등 중앙아시아 시장에 최적화된 진출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2025-11-17 10:4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