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21 일요일
구름
서울 27˚C
흐림
부산 24˚C
맑음
대구 26˚C
맑음
인천 26˚C
맑음
광주 26˚C
흐림
대전 25˚C
흐림
울산 24˚C
흐림
강릉 22˚C
흐림
제주 2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축소 은폐'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KT '소액 결제', 서울 서초·일산까지 확산…'모든 소액결제 전수조사해야'
[이코노믹데일리]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의 피해 지역과 기간, 수법이 당초 알려진 것보다 훨씬 광범위했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KT의 축소·은폐 의혹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피해 지역은 서울 강남권과 경기 북부까지 확산됐으며 KT가 비정상 결제를 차단했다고 밝힌 날짜 이후에도 100건에 가까운 추가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국회 과방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번 소액결제 피해 지역에 서울 서초·동작구와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가 새롭게 포함됐다. 이는 기존에 알려졌던 경기 광명·부천·과천, 서울 금천·영등포, 인천 부평 일대를 넘어 사실상 수도권 전역에서 범죄가 벌어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차단 완료’ 이후에도 100건 추가 피해…KT 해명 ‘흔들’ 더 큰 문제는 피해 발생 기간이다. KT는 지난 9월 5일 새벽 비정상 결제를 차단한 이후 추가 피해가 없었다고 수차례 강조해왔다. 하지만 황정아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9월 4일과 5일 양일간 97건(피해액 약 3000만원)의 추가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써 KT가 공식 인정한 피해자는 362명, 피해 건수는 764건으로 늘어났다. KT가 경찰에 첫 통보를 받은 9월 1일부터 비정상 결제를 차단한 9월 5일 사이 ‘골든타임’을 놓쳐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차단 조치 이후에도 피해가 계속됐다는 사실은 KT의 대응 능력과 정보 공개의 투명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던지고 있다. ◆ PASS 인증 피해 정황…“KT, 사건 축소하고 있다” 피해 수법 역시 KT의 설명보다 복잡한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 KT는 그동안 피해가 ARS 인증을 통해서만 발생했다고 설명해왔다. 하지만 황 의원은 “패스(PASS) 인증이 이뤄졌다”고 주장하는 피해자도 있다며 “KT가 ARS 인증 결제로만 국한해 조사하는 등 사건을 축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정아 의원은 “KT 해킹 사태의 전모가 밝혀지면 밝혀질수록 KT가 거짓 변명만 늘어놓았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소액결제가 이뤄진 모든 고객에게 직접 결제 현황을 고지하고 피해 전수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고의적 축소 은폐 시도를 반복한 KT에 대해서는 SKT 때보다 더 강력한 제재와 함께 피해 배상 강제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09-21 11:02:4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지스타 2025' 참가사 확정…엔씨·넷마블·크래프톤 참가, 넥슨은 불참
2
엔비디아, 인텔에 50억 달러 투자…차세대 칩 동맹 본격화
3
유튜브, AI로 '영상 제작·수익화' 혁신…텍스트만으로 '숏츠' 생성
4
애플 계정 무단 결제, 범인은 '휴면 계정' 노린 해커…애플, "시스템 해킹은 아냐"
5
KT '소액결제' 피해 362명·2억4000만원으로 늘어…IMSI 이어 IMEI·전화번호 유출 정황
6
[단독]삼성전자, 헤드셋·스피커 출시 '초읽기'...오디오 명가 거듭난다
7
"한국산 위고비 만든다" 한미약품, 글로벌 시장 '게임 체인저'로 주목
8
SKT, 티맵 해킹 주장…"전부 허위, 과기부-경찰 조사 착수"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K디스플레이, 위기 속 골든타임…다시 기술과 신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