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5 토요일
안개
서울 8˚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8˚C
비
인천 8˚C
흐림
광주 10˚C
흐림
대전 9˚C
흐림
울산 10˚C
비
강릉 10˚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크라이슬러'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제 발등 찍는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완성차 기업 줄줄이 반대
[이코노믹데일리] 트럼프2기 행정부의 관세폭풍이 '제 발 찍기'라는 주장이 나온다. 포드와 제너럴모터스(GM) 스텔란티스 등 완성차 기업들의 반발이 거세지면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멕시코와 캐나다에 이어 유럽연합(EU)에 대한 '25% 관세'도 곧 부과할 거라고 예고했다. 이에 완성차 기업들은 반대 의사를 밝혔다. 존 엘칸 스텔란티스 회장은 이날 실적 발표 후 애널리스트들과의 대화에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생산된 제품은 (미국산 부품이 다수 탑재돼 있으므로) 무관세를 유지해야 한다"며 "미국 정부가 미국 내 일자리와 제조업 기회 및 투자를 실제로 늘리려면, 미국산 부품 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채 연간 400만대씩 들어오는 구멍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크라이슬러·지프 등을 계열사로 둔 스텔란티스는 작년 미국 판매량(130만대)의 24%가량이 멕시코에서 생산돼 멕시코 관세 부과시 타격이 불가피하다. 포드와 GM도 이미 반대 입장을 내놨다. 이 두 기업도 미국 판매 물량 중 멕시코에서 각각 26%, 17%를 생산하고 있다. 팔리 최고경영자(CEO)는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하는 차량에 25%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자동차 산업에 전례 없는 타격을 줄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비쳤다. 폴 제이컵슨 GM 최고재무책임자(CFO)도 "관세가 영구적으로 부과된다면 (미국으로의) 공장 이전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2025-02-28 09:30:4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5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