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4 금요일
맑음
서울 10˚C
맑음
부산 10˚C
맑음
대구 16˚C
맑음
인천 6˚C
흐림
광주 8˚C
맑음
대전 10˚C
흐림
울산 9˚C
흐림
강릉 10˚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팬오션'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한화오션, 200번째 LNG 운반선 성공 인도…친환경 기술 적용
[이코노믹데일리] 한화오션이 200번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성공적으로 인도했다고 20일 밝혔다. 한화오션은 200번째로 건조한 LNG운반선인 ‘레브레사’호를 SK해운에 인도했다. 레브레사호는 카타르 에너지의 ‘노스필드 확장 프로젝트’에 투입∙운영될 예정이다. 운영사는 SK해운, 에이치라인해운, 팬오션 등 국내 3개 회사로 구성된 KGL이다. 저압 이중연료추진엔진(ME-GA)과 재액화설비가 탑재된 레브레사호는 대기 오염물질의 배출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선박이다. 효율적인 선박 운영을 위해 한화오션의 스마트십 솔루션인 HS4 등 최신 기술 역시 적용됐다.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화석연료 정책을 전환하면서 중단된 LNG 프로젝트가 재개되면서 글로벌 LNG 운반선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글로벌 조선·해운 투자금융사 클락슨시큐리티스는 글로벌 LNG 운반선 신조 수요가 오는 2029년까지 최대 126척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약 47조원에 달하는 규모이다. 업계에서는 한국 조선사가 중국 조선소의 미국 블랙리스트 등재 등의 영향으로 국제 정세 측면에서 반사이익을 거둘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한화오션은 전했다. 김종서 한화오션 상선사업부장 사장은 “미국의 화석연료 정책 변화로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LNG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며 “압도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한화오션이 글로벌 선주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켜 줄 최고의 조선소라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2025-02-20 15:08:27
밸류업 시도에도 국내 주요기업 ROE 3년간 지속 감소로 '반토막'
[이코노믹데일리] 정부의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정책 추진에도 국내 주요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최근 3년간 하락하며 반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정부 정책 효과가 실질적 밸류 증대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해석이 나왔다. ROE는 기업이 벌어 들인 당기순이익을 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회사가 주주지분인 자기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핵심 밸류업 지표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28일 발표한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상장사 286곳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평균 ROE는 2021년 10.1%에서 지난해 5.2%로 떨어졌다. 이 기간 조사 대상 기업의 평균 자기자본은 1906조7185억원에서 2222조9174억원으로 16.6% 증가한 반면 당기순이익은 192조1555억원에서 114조8598억원으로 40.2%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에서 ROE 하락폭이 가장 컸다. 서비스업 19개사의 평균 ROE는 2021년 27%에서 지난해 3.2%로 23.9%P 하락했다. 서비스업의 ROE 감소 원인으로는 당기순이익 감소가 지목됐다. 평균 자기자본은 7% 늘어난 데 비해 당기순이익이 87.5% 줄면서 ROE를 끌어내렸기 때문이다. 특히 네이버는 68.5%이던 것에서 4.1%로 급락했다. 지난 2021년 라인과 Z홀딩스의 경영이 통합되며 회계상 당기순이익이 16조4776억원으로 급증했던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됐다. 서비스업에 이어 ROE 하락 폭이 큰 업종은 운송업이다. 당기순이익이 흑자로 돌아선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 항공사가 ROE를 급격히 끌어올렸음에도 HMM, 대한해운, 한진, 팬오션 등 해상운송 기업들이 운임료 하락으로 ROE가 평균 10%p 이상 감소하면서 운송업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정보기술(IT)·전기전자 업종도 13.1%에서 1.5%로 하락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당기순이익 감소를 원인으로 꼽았다. 석유화학 업종 역시 ROE 낙폭이 컸다. 12.2%에서 8.8%p 하락하며 3.5%에 머물렀다. 반면 평균 ROE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업종은 '조선, 기계, 설비' 분야다.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등 조선업 수주 증대와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으로 2021년 –2.8%에서 지난해 8.8%로 11.6%p 상승했다.
2024-11-28 19:13:2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