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5 토요일
흐림
서울 8˚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7˚C
흐림
인천 7˚C
흐림
광주 7˚C
흐림
대전 7˚C
흐림
울산 8˚C
맑음
강릉 8˚C
흐림
제주 1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평균연령'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산부인과 전문의 3명 중 1명 60대 이상…평균 54.4세↑
[이코노믹데일리] 산부인과 전문의 3명 중 1명은 60대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산부인과 전문의는 총 6082명이며 평균연령은 54.4세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1979명(32.5%)으로 가장 많고 △40대 1386명(22.8%) △60대 1350명(22.2%) △30대 699명(11.5%) △70대 이상 659명(10.8%)△ 30세 미만 9명(0.15%) 순이다. 특히 지역별로 산부인과 전문의 고령화 현상이 두드러진다. 경북의 평균 연령은 60.8세로 가장 높고 전북(59.6세), 전남(59.1세) 등도 평균보다 높았다. 반면 △대구(54.0세) △경기(53.1세) △서울(51.8세) △세종(51.5세) 지역은 평균보다 낮은 연령을 보였다. 또한 여성 인구 1000명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0.24명으로 1명을 넘지 못했으며 경북은 0.16명으로 가장 적다. 산부인과 전문의가 전국 평균보다 많은 지역으로는 △서울(0.34명) △광주(0.29명) △대구(0.28명) △부산(0.28명) △대전(0.25명)으로 모두 특별시나 광역시로 나타났다. 박희승 의원은 "지방일수록 전문의 수가 적고 평균 연령이 높아 산부인과 의료 공백이 우려된다"며 "지역 공공의료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2024-10-20 17:28:49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5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