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31 금요일
맑음
서울 18˚C
흐림
부산 20˚C
구름
대구 20˚C
맑음
인천 16˚C
맑음
광주 16˚C
맑음
대전 17˚C
흐림
울산 16˚C
흐림
강릉 15˚C
맑음
제주 1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폭등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글로벌 불확실성 속 금값 랠리…KRX금현물 ETF '주목'
[이코노믹데일리]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국내 금 현물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글로벌 금리 인하 사이클 속에서 금값 상승 랠리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국내 금 현물 가격은 1g당 19만4850원으로 전일 대비 5.10% 올랐다. 같은 날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우려가 커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높아지면서 금 가격은 장 중 0.62%까지 상승해 3851.72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금은 이자 수익이 없는 자산이므로 금리 인하 가능성은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 기준 2023년 말 대비 금 누적 수익률은 76.6%로 지난 2년간 꾸준히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이에 국내 금 현물 관련 투자 상품도 최근 폭등세를 보였다. 국내 금 현물 상품은 한국거래소가 산출·발표하는 KRX금현물 지수를 추종하며 보관 비용을 제외하면 금현물 시장 가격 수익률을 그대로 반영해 현물 금 보유와 유사한 투자 효과를 낸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 상장된 국내 금현물상 상장지수펀드(ETF)는 △TIGER KRX금현물 △ACE KRX금현물 등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KRX금현물은 국내 최초 금현물형 ETF로 지난 2021년 상장했다. 지난 30일 기준 해당 ETF의 순자산은 연초 대비 1조5519억원 증가한 2조1747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3개월 수익률은 38.35%, YTD(올해 첫 거래일 이후) 수익률은 56.24%로 ETF 중 가장 높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KRX금현물은 지난 6월 상장한 상품으로 순자산은 4911억원에 달한다. 지난달 17일에는 개인 순매수 1000억원을 돌파하며 원자재 중 ETF 최단 기간 기록을 세웠다. 두 ETF의 구조는 동일하지만 TIGER KRX금현물 총보수가 0.15%로 ACE KRX금현물(0.19%)보다 낮아 비용 부담이 적다.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정치적 갈등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 ETF의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금이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혀 투자 수요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홍성기 LS증권 연구원은 금 가격 전망과 관련해 "최근 금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했지만 장기적으로 연간 20% 상승세는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 집권 이후 민간 부문의 탈(脫) 달러화와 안전자산으로서의 미국채·유럽채 매력 저하로 금 수요가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한국거래소는 지난 26일 KRX금시장이 국제 시세보다 높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며 투자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2025-10-08 09: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역대 최강' LCK, 롤드컵 8강 점령…우승컵 탈환 청신호
3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4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5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6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7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8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