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4 금요일
맑음
서울 12˚C
맑음
부산 12˚C
맑음
대구 17˚C
맑음
인천 8˚C
구름
광주 10˚C
맑음
대전 11˚C
흐림
울산 10˚C
흐림
강릉 11˚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한국석유공사'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트럼프發 정책혼란 속 국내 정유·석화업계 '반사이익' 기대…유가 안정화·종전 기대감 영향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들로 인해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져가고 있지만 오랜 침체를 겪어온 국내 정유·석유·화학 업계에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 원유 공급 증가로 유가가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전되면 중국의 원가 경쟁력이 떨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수혜 대상은 에쓰오일, 롯데케미칼 등이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10일 발간한 '화학, 롯데케미칼 다음은 에쓰오일' 보고서에서 "상대적 경쟁력·수요·원가·공급 변수 등을 바꿀 수 있는 거시경제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며 "유가가 하락하고 배럴당 정제 마진이 오르면서 석유화학 업체와 에쓰오일이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원유 가격이 하락하며 정유·석학 업계의 원가 경쟁력이 강화되는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 정책의 영향이 크다. 미국은 석유·천연가스 시추를 전면 확대하는 등 원유 가격 하락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 산유국 간 협의체(OPEC+)도 오는 4월부터 일평균 13만8000 배럴을 증산한다. 이처럼 원유 공급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지난 8일 러시아 레닌그라드주 키리시에 위치한 정유시설이 드론 공격으로 피해를 입었다는 소식까지 전해지자 업계의 기대감은 커져 가고 있다. 해당 정유소의 생산 여력이 악화되면 늘어나는 원유 물량이 그대로 국내 정유업계의 수요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실제 최근 원유 가격은 트럼프 대통령 집권 후 가파르게 하락 중이다.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브렌트유(Brent)·오만산(OMAN)·두바이산(Dubai) 원유 모두 전년 동일 대비 약 12% 하락했다. 그 결과 전주 대비 평균 복합정제마진은 8.7 달러로 상승했다. 이는 배럴당 정제 마진이 3.6 달러였던 지난해 3분기에 비하면 두 배에 달하며 전 주와 비교해도 2.1달러 상승한 수치다. 원유를 PP·PC 등 플라스틱 제품으로 가공하는 화학 업체들의 숨통도 트일 예정이다. 지난 4일 미국이 캐나다산 원유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캐나다가 수출처 다변화를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롯데케미칼 등 우리 석화 업계는 값싼 캐나다 원유를 통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하게 추진 중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과 관세 전쟁도 수익성을 강화해줄 것으로 보인다. 종전 협상이 마무리되면 수출 규제로 전쟁 기간 동안 중국 등 일부 국가가 독점하던 값싼 러시아 원유가 다시 세계 시장에 풀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유가 안정화로 인한 물류 비용 감소도 산업 전반의 수익성 개선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강준영 한국외대 중국학과 교수는 "중국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대부분의 국가에 수출이 제한된 값싼 러시아 원유를 확보하며 원가경쟁력을 갖출 수 있었다"며 "종전으로 중국의 원가 경쟁력이 떨어지면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도 일부분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5-03-11 17:00:02
브래드 패리 "생명과학 혁신 허브 캘거리, 한국 제약바이오기업 진출 추천"
[이코노믹데일리] “캘거리는 북미에서 가장 기업 친화적인 도시 중 하나다. 한국의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안심하고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 최근 한국 기업 유치에 힘쓰고 있는 브래드 패리 캐나다 캘거리 경제개발공사 CEO는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진출을 추천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를 만나 캘거리의 강점과 진출기업에 대한 지원 방안에 대해 들어봤다. 캐나다 제약·바이오 산업은 세계 10위권 규모를 자랑하며 그중에서도 엘버타주의 캘거리는 생명과학 혁신 허브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13일 캐나다 대사관에서 진행된 인터뷰를 통해 브래드 패리는 “캘거리는 기업가 정신이 강한 도시이며 주에서 징수하는 판매세가 없고 법인세가 낮아 기업 운영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캘거리에서는 연방세만 있으며 의료보험료와 부동산 양도세가 없다. 또한 기업들이 원활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통역 서비스, 법률 및 이민 지원, 금융 상담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성과로 최근 한국 바이오 기업 보레다 바이오텍이 캘거리에 북미 본사를 설립했다. 브래드 패리는 “보레다 바이오텍의 사례가 다른 한국 기업들에게도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최근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 속에서 캘거리는 다양한 국제 시장과의 교류를 확대하며 무역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브래드 패리는 “캐나다 기업들의 해외 수출 뿐만 아니라 국내 주(州)와 주를 잇는 거래 활성화도 중요한 과제”라면서 “주와 주 사이 무역 장벽을 해소하는 것 역시 무역 다변화 전략의 일환이며 다양한 시장을 확보해 기업들이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캘거리에 진출한 외국 기업들이 원활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도록 장벽을 허물고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고 말했다. 캘거리는 106개의 기업 본사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 한국 기업들이 주요 의사결정권자들과 협력할 기회가 많은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 브래드 패리는 캘거리의 또 다른 강점으로 바이오·의료 인프라와 임상시험 환경의 우수성을 강조했다. 캘거리에는 캐나다에서 가장 큰 암종합병원이 위치하고 통합 의료 체계를 갖추고 있어 임상시험과 신약 개발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암종합병원은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를 생산할 수 있는 GNP급 생산 시설로 향후 면역억제제 개발의 중심지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브래드 패리는 “앨버타주에서 진행되는 임상시험이 캐나다 전체의 24%를 차지할 만큼 임상 시험 관리 시스템 이 잘 구축돼 있다"며 "특히 단일 윤리위원회(EC) 시스템을 통해 다기관 임상시험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임상 절차 간소화와 승인 기간 단축에 기여해 신약 개발 기업들에게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캘거리대학은 세계적인 미생물 및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혈액암과 신경병증 등 다양한 적응증의 임상시험이 가능한 무균 시설을 갖추고 있다. 캘거리는 현재 SK에코엔지니어링, 한국가스공사, 한국석유공사 등과 협의를 진행 중이며 바이오·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한국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브래드 패리는 “캘거리는 규제 부담이 적고 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가 탄탄한 도시”라며 “한국 기업들이 우려하는 규제 장벽 및 이민 문제에 대해 캘거리 경제개발공사가 주정부 및 연방정부가 협력해 적극적인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2025-02-20 09:46:29
중동서 튄 불똥에 국제유가 '10% 폭등'···국내 기름값도 '움찔'
[이코노믹데일리] 이스라엘-이란 전쟁의 여파로 국제유가가 나흘 사이에 10% 급등했다. 향후 분쟁의 정도에 따라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 상승 폭이 결정될 걸로 보인다.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 1일(현지시간) 배럴(약 159ℓ) 당 70.76달러에서 4일 77.89달러로 나흘간 7.13달러(10.1%) 올랐다. 같은 기간 유럽 브렌트유 가격은 배럴 당 72.56달러에서 78.05달러로 4.49달러(6.2%), 미국 서부텍사스경질유(WTI) 가격은 배럴 당 69.83달러에서 74.38달러로 4.55달러(6.5%) 증가했다. 국제유가가 급등세를 탄 건 지난 1일 이란이 이스라엘을 향해 탄도 미사일 180여발을 발사하고 이스라엘이 이에 대한 대규모 보복을 시사한 이후다. 이스라엘은 앞서 지난 28일 친이란 무장 정파 헤즈볼라의 지도부를 타격하기 위해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 대규모 공습을 진행한 바 있다. 양측이 피의 보복을 이어가자 중동 원유 공급망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 6일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에서 "이스라엘이 이란의 공격에 대해 정유 시설과 핵시설 등을 공격해 보복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으며 시장 불안감이 높아졌다. 국내 기름값은 이르면 오는 15일부터 국제유가 상승세의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중동에서 수출한 원유가 싱가포르 석유제품 도매 시장을 거쳐 국내 주유소에 납품되기까지 보름(15일)가량 걸리기 때문이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지난 7월 4주차에 ℓ당 1713원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후 지난 10월 1주차 때 ℓ당 1587원까지 내려온 상태다. 만약 15일부터 국제유가 상승폭과 같은 10.1%가 오른다고 가정하면 ℓ당 가격은 1745원으로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게 된다. 관건은 앞으로 전쟁이 확대될지 여부다. 시장에선 이란의 원유 생산 시설이 타격받는 것도 걱정이지만,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최악의 경우로 보고 있다. 호르무즈 해협은 이란과 아랍에미리트 사이를 가르는 해협으로 전 세계 해상 원유의 35%, 국내 중동산 원유 도입 물량의 99%가 지나가는 길목이다. 비야르네 쉴드롭 스웨덴 은행 SEB 수석 상품 애널리스트는 지난 4일 미국 CNBC 방송에 출연해 "이스라엘이 실제 이란 석유 시설을 폭격하면 유가는 배럴 당 200달러까지 급등할 수 있다"며 국제유가 폭등을 전망하기도 했다. 다만 외교 전문가들 사이에선 이란이 확전을 원치 않아 국제유가 폭등이 현실화하진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장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중동센터장은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가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전까지 결과물을 내고자 이란을 보복할 순 있지만, 국제사회 복귀를 원하는 이란이 이스라엘과 강대강 대치로 맞받아 쳐줄진 의문"이라며 "상호 간 상징적 보복을 하는 선에서 마무리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2024-10-07 18:48:3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