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20 일요일
구름
서울 28˚C
흐림
부산 27˚C
흐림
대구 29˚C
흐림
인천 27˚C
흐림
광주 25˚C
흐림
대전 27˚C
흐림
울산 25˚C
구름
강릉 27˚C
흐림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한국연구재단'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12만명 개인정보 털렸는데, 72시간 묵살…공공기관 보안의 민낯
[이코노믹데일리] 지난 6월 발생한 한국연구재단 해킹 사건이 단순한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 대한민국 공공기관 정보보호 체계의 총체적 부실을 드러낸 ‘인재(人災)’였다는 국회입법조사처의 날카로운 지적이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1일 발간하는 ‘이슈와 논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이버안전센터를 포함한 국가 보안 관제 시스템 전반의 근본적인 재점검이 시급하다고 경고했다. 이번 사건은 국가 연구개발(R&D)의 핵심을 담당하는 공공기관이 이메일 주소와 URL을 조작하는 단순한 해킹 기법에 무방비로 뚫렸다는 점에서 충격을 줬다. 해커들은 연구재단의 논문투고시스템(JAMS)을 해킹해 연구자 12만 명의 개인정보를 탈취했으며 유출된 정보로 일부 피해자의 명의가 도용되는 2차 피해까지 발생했다. 보고서는 이를 "연구생태계의 신뢰 기반을 흔들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규정했다. 더 큰 문제는 사후 대응 과정에서 드러난 정부의 안일함이다. 과기정통부 산하 기관들의 정보보안을 24시간 통합 관제해야 할 사이버안전센터는 이번 해킹을 자체적으로 인지하지 못했다. 1차와 2차 피해 모두 외부의 의심 신고로 뒤늦게 파악되면서 현행 관제 체계가 사실상 제대로 기능하지 않았음이 명백해졌다. 심지어 사이버안전센터는 정밀조사를 통해 유출 사실을 확인했음에도 '피해 규모 미확정'을 이유로 72시간 동안 '유출 없음'이라는 기존 공지를 유지해 비판을 자초했다. 이는 공공기관의 책임성과 신뢰성을 스스로 훼손하고 2차 피해 가능성을 키운 무책임한 처사였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이번 사태의 책임이 연구재단에만 국한되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24시간 통합 관제라는 본연의 임무를 망각한 사이버안전센터와 수탁 운영 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그리고 공동 주무 부처로서 관리·감독에 소홀했던 과기정통부와 교육부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공공기관 보안 시스템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법·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현재 대통령령에 근거해 제재 수단 없이 운영되는 공공기관 사이버보안 자체 점검 규정을 '전자정부법' 등 상위 법률로 격상하고 미이행 시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실효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개인정보 유출 인지 즉시 우선 통지를 의무화하고 공공기관을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및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에 포함하는 방향으로 관련 법 개정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보고서는 소 잃고도 외양간조차 제대로 고치지 못하는 공공 부문의 보안 불감증에 대한 강력한 경고장으로 풀이된다.
2025-07-20 13:14:11
한국퀀텀컴퓨팅-부산교통공사, 양자컴퓨터로 도시철도 배차 최적화 연구 착수
[이코노믹데일리] 한국퀀텀컴퓨팅(KQC)이 부산교통공사와 손잡고 양자컴퓨터를 활용한 도시철도 배차 최적화 연구에 나선다. 국내에서 양자컴퓨팅 기술을 대중교통 운영 효율화에 적용하는 첫 사례로 미래 기술이 시민 생활과 밀접한 문제 해결에 직접 활용된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KQC는 한국연구재단의 '양자컴퓨팅 기반 양자이득 도전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이번 프로젝트에 최종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혼잡 시간대 수요 분산, 에너지 절감, 인력 운영 효율화 등 복잡한 변수들을 양자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최적의 배차 간격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QC는 연말까지 기존 컴퓨터보다 정밀한 최적화 모델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부산교통공사는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경영 전반에 양자 기술 도입을 본격화한다. 배차 최적화를 넘어 향후 재난 상황 대비나 주요 시설물 유지·관리 체계에도 양자 기술을 접목해 '경영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이루겠다는 방침이다. 이병진 부산교통공사 사장은 “이번 협력은 단순한 기술 시범을 넘어 양자기술을 실질적 경영성과로 연결시키는 의미 있는 시도”라며 “도시철도 배차 최적화는 물론 시설물 관리 및 사고 예방 분야까지 가능성을 확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연구를 주도하는 KQC는 IBM 퀀텀 네트워크의 일원으로 확보한 양자 알고리즘 운용 기술과 자체 개발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과제를 수행한다. 권지훈 KQC 회장은 “IBM 양자시스템 허브를 통해 확보한 양자알고리즘 운용 기술과 자체 개발한 하이브리드 양자최적화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부산교통공사와 함께 도시 운영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고 양자기술의 산업 응용 가능성을 넓혀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2025-06-24 10:57:17
의과학연구정보센터ㆍNRIC 전문연구정보 중앙센터, 2월 운영 종료
[이코노믹데일리] 국가지정 의과학연구정보센터(MedRIC)가 2월을 끝으로 활동을 중단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의과학연구정보센터의 이번 결정은 정부의 R&D(연구개발) 예산 삭감으로 재정난이 심화됐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다만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홈페이지는 당분간 유지된다. 의과학연구정보센터는 1997년 설립돼 의학·간호학·치의학 분야의 연구정보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전문연구정보센터로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Mbase) △한국임상연구데이터베이스(KCT) △근거중심 임상질문 답변(EviPedia) △코크란 한국어 번역 라이브러리 등을 운영하며 연구자들을 지원해왔다. 이와 함께 한국연구재단이 운영하는 NRIC(Nation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전문연구정보 중앙센터도 28일부로 사이트 운영을 종료한다. NRIC 전문연구정보 중앙센터는 국내 연구자들에게 기초연구에 필수적인 연구지식 정보를 수집·가공·재생산해 서비스하고 산학연관 등 연구 생태계 구성원 간 소통의 장을 제공해 기초연구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운영돼 왔다. NRIC 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측은 "28일부로 사이트 운영이 종료된다"며 "회원 계정 및 회원정보는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따라 기한 내에 삭제해 파기된다. 그동안 NRIC 전문연구정보 중앙센터에 보내 주신 성원에 감사 드린다"라고 말했다.
2025-02-20 16:56:2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LCK '마지막 희망' 젠지, EWC 롤 결승서 T1 무너뜨린 AL에 복수하나
2
실적 성장세에도 中 수주량 절반인 K-조선, 돌파구는 친환경 전략
3
사우디 '오일머니', T1 유니폼 입다…e스포츠-관광 첫 대규모 초대형 스폰서십
4
갤럭시 Z7 예판 돌입, 단통법 폐지 맞물려 통신사 '보조금 대란' 예고
5
모듈러부터 UAM까지… GS건설, 미래 건설 패러다임 뒤흔든다
6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
7
잠실 르엘, 조합 내홍에 '공사 중단' 경고…롯데건설 "분양 지연 땐 책임 묻겠다"
8
SKT 사태가 부른 '보안 군비경쟁'…KT, 1조원 맞불에도 '이제와서' 비판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