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6 일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9˚C
맑음
인천 7˚C
맑음
광주 6˚C
맑음
대전 7˚C
맑음
울산 9˚C
맑음
강릉 10˚C
맑음
제주 1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트럼프발 관세 충격, 자동차·철강업계 정면 대응…"미국 현지 생산 확대"
[이코노믹데일리] 미국이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시행하면서 국내 완성차 업계의 대응이 본격화되고 있다. 자동차와 철강 업계 모두 미국 현지 생산 확대를 통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 특성상 단기 충격은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발표한 상호관세 방안에서 자동차·철강은 예외 대상으로 분류됐지만 품목별 관세는 별도로 적용되면서 국내 산업계의 긴장은 여전히 높은 상태다. 특히 자동차는 3일부터 수입 관세 25%가 적용돼, 미국 수출 비중이 큰 완성차 업체들엔 직접적 타격이 불가피하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으로의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 달러(약 51조원)로 전체 대미 수출의 27.1%를 차지했다. 한국 전체 자동차 수출(708억 달러)에서 미국 시장의 비중은 절반에 달해 그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한국GM은 지난해 생산량(49만대)의 84%인 41만대를 미국으로 수출했으며, 현대자동차·기아도 미국 판매량 171만대 중 60%에 달하는 101만대를 수출에 의존했다. 시장에서는 자동차 업계의 손실 규모도 추산되고 있다. 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관세 여파로 한국 자동차 수출이 약 9조2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KB증권은 현대차와 기아의 올해 영업이익이 각각 3조4000억원, 2조3000억원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응해 국내 완성차 업계는 미국 현지 생산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조지아주에 새로 준공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연간 생산 능력을 기존 30만대에서 50만대로 확대하기로 했다. 기존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연 36만대), 기아 조지아 공장(연 34만대)과 합쳐 총 120만대 규모의 미국 생산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HMGMA 생산량의 40%는 기아 차량이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도 “관세 인상분을 소비자 가격에 반영할지 여부는 신중히 검토 중”이라며 “당장 미국 내 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철강업계 역시 관세 대응에 나섰다. 철강은 이미 지난달 12일부터 25%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업체들은 미국 내 생산 확대에 나서고 있다. 현대제철은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270만t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다. 포스코도 현지에서 고로 혹은 전기로를 활용해 반제품을 생산하는 상공정 투자 방안을 검토 중이다.
2025-04-04 09:58:3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3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4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5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6
키움증권, 개장 직후 MTS 거래 지연…이틀째 시스템 장애
7
"끝나지 않는 배민과 쿠팡이츠의 전쟁"…권역 확대에 포장 수수료 무료까지
8
헌재, 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헌정 두 번째 파면 여부 결론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