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5건
-
-
-
-
-
SK이노-SK E&S 합병, "주주가치 훼손 우려 불식시키고 성장 기회로 만들어야"
[이코노믹데일리]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인수 합병이 성사되며 에너지업계의 시선은 향후 두 회사가 얼마나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지로 옮겨가고 있다. 해외 유사 사례를 기준으로 보면 긍정적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학계 전문가들은 시너지 창출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이번 합병을 새로운 성장을 이룰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난 27일 SK이노베이션이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진행한 임시 주주총회에서 주주 표결로 부쳐진 SK E&S에 대한 합병안은 찬성률 85.75%로 가결됐다. 국내 최대 정유사인 SK이노베이션과 국내 최대 민간 전력사인 SK E&S가 합치면서 자산 규모 100조원대 아시아 최대 민간 에너지 기업이 탄생했다. 합병안이 통과되긴 했지만 과제도 남겼다. SK이노베이션의 2대 주주인 국민연금(지분율 6.2%)이 합병 반대 의사를 표하는 등 참석주주 14.25%는 반대표를 던졌다. 국민연금은 22일 합병 반대 입장에서 "SK이노베이션의 합병 비율이 불리해 주주가치 훼손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에 SK이노베이션은 합병 과정 초기부터 꾸준히 '시너지 효과'를 강조해 왔다. 합병으로 시너지 효과가 생겨 재무 상태가 좋아지면, 자사주 매입·배당 확대 등 적극적인 주가 부양책을 사용하는 게 가능하다는 주장으로 풀이된다. 아직 두 회사의 세부적인 시너지 방안은 나오지 않은 상태지만, 해외 유사 사례를 기준으로 본다면 실현 가능성은 높아 보인다. 세계 2위 정유사인 영국 로열 더치 쉘(쉘)은 지난 2016년 영국 내 3위 원유·천연가스 기업 BG그룹을 470억 파운드(약 76조2627억원)를 들여 합병했다. 당시 저유가 흐름에 대응해 원가를 절감하고 LNG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개편하기 위해 추진된 합병이었다. 합병 후 2년이 지난 2018년 쉘의 자산, 매출, 영업이익은 모두 크게 올랐다. 자산은 합병 전 대비 118억 달러(약 15조7700억원) 늘어났고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083억 달러(약 144조7900억원), 330억 달러(약 44조1000억원) 커졌다. 2020년엔 미국 셰브론이 130억 달러(약 15조6000억원)를 주고 경쟁사인 노블에너지를 합병한 사례도 있다. 같은 해 미국 코노코필립스가 정유사인 콘초리소시스를 인수한 사례에서도 합병 후 자산과 매출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실적 개선이 주주가치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시너지 효과가 SK이노베이션·SK E&S 합병 반대 여론을 잠재울 핵심 요소라는 분석이 나온다. 쉘은 2017년 25억 달러(약 2조34000억원) 수준이던 자사주 매입 규모를 실적이 개선된 2020년에 250억 달러(약 33조4000억원)까지 10배 늘린 바 있다. 학계 전문가들은 SK이노베이션·SK E&S 합병 사례가 해외 사례와 유사하게 긍정적 시너지 효과로 이어질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학과 교수는 "해외 사례는 경쟁사와 합병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 경우"라며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경우 경쟁사라고 보기 어렵고 시너지 방안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을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황용식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도 "SK이노베이션의 재무 상황이 열악해 SK E&S가 일방적으로 먹여 살리는 구조에선 시너지 효과가 나기 쉽지 않다"며 "국민연금에서 주주가치 훼손을 우려한 것도 같은 맥락에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다만 이번 합병이 성장 기회로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는 모두 동의했다. 이 교수는 "이번 합병으로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에 투자를 지속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했다"며 "향후 전기차 시장 흐름에 따라 합병 시너지의 성과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황 교수는 "SK가 그동안 여러 사업 영역에 발을 담그며 핵심적인 결과물을 만들지 못했는데, 이번 합병을 계기로 명확한 방향성과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며 "이미 주사위가 던져진 상황이기 때문에 배터리, 정유·화학, LNG, 친환경 등 여러 부분 중 하나를 핵심 가치로 잡고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2024-08-28 17:57:38
-
두산그룹株, 금감원 합병 무한 제동에도 일제히 상승 마감
[이코노믹데일리] 금융감독원이 두산로보틱스와 두산밥캣 합병 관련 증권신고서에 재차 제동을 걸었다. 두산그룹주는 합병 기대감이 반영돼 일제히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두산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3.75% 오른 14만6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두산밥캣은 4.92% 상승한 4만3750원에, 두산로보틱스는 4.27% 증가한 6만8300원에 마감했다. 두산에너빌리티도 같은 날 유가증권시장에서 2.47% 오른 1만7860원에 거래를 마쳤다. 두산 퓨어셀도 2.08% 증가한 1만8630원에 마감했다. 이날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안이 주주총회를 통과하면서 두산그룹 종목 주가에 합병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금감원은 전날 두산로보틱스가 제출한 분할합병·주식의 포괄적 교환을 위한 증권신고서에 대해 2차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했다고 공시했다. 금감원은 "투자자의 합리적인 투자판단을 저해하거나 투자자에게 중대한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며 정정 요구 배경을 들었다. 금감원은 두산의 정정신고서가 △의사결정 과정·내용 △분할신설부문의 수익가치 산정 근거 등 앞서 요구했던 사항을 보완하지 못했다고 판단했다. 금감원은 두산 측에 구조개편 관련 논의 시점, 검토 내역, 진행 과정, 거래시점 결정 경위, 구체적인 시너지 효과 등을 반영해 보완하라고 했다. 특히 두산밥캣이 보유하고 있는 분할 신설 부문의 수익가치 평가 근거를 명확히 하라고 요구했다. 또 현금흐름할인법, 배당할인법 등 미래 수익 효과 모형을 적용해 두산에너빌리티 분할 신설 부문(두산밥캣 지분 보유) 수익 가치를 측정, 기존 기준시가를 적용한 평가 방법과 비교하라고 요청했다. 두산은 지난달 24일 금감원이 정정신고서 정정 요구를 요청하면서 지난 16일 새롭게 증권신고서 제출했다. 이번이 두 번째 정정 요구다. 이번 신고서는 정정 요구일부터 수리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며, 새로운 정정신고서가 제출될 경우 그날부터 수리돼 효력이 재기산된다. 두산로보틱스가 3개월 내 정정신고서를 제출하지 않는다면 증권신고서는 철회된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25일 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해 "미국은 젠슨 황이라든지 최고경영자(CEO)들이 직접 나와 기업 목표를 설명하는데, 두산 경영진들은 투자자들에게 그런 노력을 하셨는지 반문하고 싶다"고 비판했다. 또 이 원장은 지난 8일 "두산의 정정신고서에 부족함이 있다면 횟수 제한 없이 정정 요구를 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두산 합병이 장기화할 전망이다. 앞서 두산그룹은 지난 7월 두산에너빌리티 산하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 자회사로 편입한 후 내년 두 회사를 하나의 회사로 합병하는 개편안을 발표했다.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합병 비율이 1:0.63으로 정해졌는데 업계에서는 두산밥캣 대주주에 유리하도록 합병·교환 비율을 산정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024-08-27 17:25:22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