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2건
-
-
-
-
-
-
-
-
-
-
티빙-웨이브 합병 난항, 복잡한 주주 구성과 이해관계 조정이 걸림돌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대표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 협상이 7개월째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양사는 지난해 12월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나 복잡한 주주 구성과 다양한 이해관계 조정으로 인해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티빙의 최대 주주인 CJ ENM(49% 지분)과 웨이브의 최대 주주인 SK스퀘어(약 40.5% 지분)는 글로벌 OTT 강자인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에 대항할 수 있는 규모의 국내 OTT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합병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양사의 복잡한 주주 구성이 합병 협상의 주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티빙의 주주로는 CJ ENM 외에도 KT스튜디오지니(13.5%), 젠파트너스앤컴퍼니(13.5%), SLL(12.8%), 네이버(10.7%) 등이 있다. 웨이브의 경우 SK스퀘어 외에 지상파 3사인 KBS, MBC, SBS가 각각 19.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SLL(에스엘엘중앙)은 합병 무산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박했다. SLL은 입장문을 통해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이 무산 위기이며, 그 원인이 SLL의 무리한 요구인 것으로 지목되고 있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라며 "SLL은 티빙의 주주로서 협상에 우호적으로 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들은 합병 협상이 지연되는 주요 원인으로 각 주주사의 이해관계 조정을 꼽고 있다. 특히 합병 비율, 전환사채(CB) 상환, 합병 후 콘텐츠 공급 대가 등 주요 쟁점들에 대한 세부적인 의견 조율이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웨이브의 경우, 오는 11월까지 약 20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상환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는 2019년 11월 재무적 투자자들로부터 유치한 자금으로 5년 내 기업공개(IPO)를 조건으로 걸었다. 웨이브가 적자 행진으로 CB 상환 여력이 부족해 티빙과의 합병을 통해 투자금을 조달해 상환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으나 합병 논의가 길어지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양사 모두 지속적인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어 합병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절실한 상황이다. 티빙은 2021년 762억 원, 2022년 1192억 원, 2023년 142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웨이브 역시 같은 기간 558억 원, 1178억 원, 791억 원의 적자를 냈다. 그러나 합병 시 양사의 시장 지배력은 크게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6월 티빙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740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9% 증가했다. 웨이브는 1년간 400만 명대의 MAU를 유지하고 있어, 합병 시 MAU가 1000만을 넘어 국내 시장에서 넷플릭스를 제칠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연내 합병 타결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특히 오는 10월 전에 합병이 결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웨이브의 지상파 3사 콘텐츠 계약 만료 시기가 9~10월이며, 11월 CB 상환 문제도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실제 통합 플랫폼 출범은 내년으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합병 타결까지만 연내에 가능하고 통합 법인과 플랫폼 출시는 내년으로 미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은 국내 OTT 시장의 판도를 크게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다. 양사의 합병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글로벌 OTT들과의 경쟁에서 더욱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복잡한 주주 구성과 이해관계 조정이라는 난관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합병의 성패를 가를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2024-07-12 15:29:34
-
티빙·웨이브 합병, 상반기 중 본 계약 체결 임박…국내 OTT 시장 '지각변동' 예고
[이코노믹데일리] 토종 OTT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이 머지않았다. 양측은 최대 주주 선정 등 논의를 거쳐 상반기 중 본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합병이 완료되면 국내 최대 규모 OTT가 탄생하며,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게 된다.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티빙과 웨이브는 현재 합병 조건 등을 최종 조율하고 있으며, 이르면 상반기 중 본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계약 체결 후에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를 거쳐야 하지만, 통상적으로 몇 개월 정도 소요되는 절차라 합병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된다. 웨이브의 최대 주주인 SK스퀘어 관계자는 "주요 주주들과 소통하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은 국내 OTT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양사의 합병으로 월간활성이용자(MAU) 수가 1,100만 명 규모로 급증하게 되면서, 국내 최대 규모 OTT가 탄생하게 된다.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티빙의 MAU 수는 약 706만 명, 웨이브는 약 408만 명을 기록했다. 합병이 완료되면 두 회사의 이용자 수가 중복 없이 모두 합쳐져 1,100만 명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OTT 시장 1위는 넷플릭스로, 지난 4월 기준 MAU 수는 1,129만 명을 기록했다.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으로 국내 OTT 시장은 양강 구도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쿠팡플레이(702만 명) 등 다른 국내 OTT 기업들도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업계 관계자들은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이 국내 OTT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 OTT 기업들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된 것이라고 분석한다. 실제로 티빙과 웨이브는 모두 지난해 적자를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티빙은 지난해 매출 약 3,264억 원, 영업손실 1,419억 원을 기록했다. 웨이브 역시 지난해 매출은 약 3,33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1% 증가했으나, 영업손실은 약 804억 원으로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었다. 특히, 웨이브는 지난해 완전자본잠식에 빠졌으며, 2,0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만기도 오는 11월이라 합병을 성사시켜야 할 상황이었다.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은 순탄치 않았다. 양측은 지난해 12월 CJ ENM과 SK스퀘어가 주도적으로 추진한 끝에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당시 양해각서에는 합병 비율 등 구체적인 내용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CJ ENM이 합병 법인의 최대 주주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양해각서 체결 이후 합병 협상은 예상보다 지연되었다. 합병 법인의 1대 주주 선정 문제,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 등 논의해야 할 사항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합병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합병 무산설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지난 3월 최주희 티빙 대표는 KBO 리그 중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업무협약(MOU) 이후 계속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다만 협의점이 많아 시간이 굉장히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하며 합병 협상 지연을 인정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양측은 다시 협상 속도를 높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합병이 국내 OTT 시장의 성장과 글로벌 OTT 기업들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양측에서 공유되고 있다고 전한다. 특히, 최근 넷플릭스의 콘텐츠 가격 인상 정책이 국내 OTT 시장에서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상황에서,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은 국내 OTT 기업들의 협력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은 국내 OTT 시장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양측의 합병이 국내 토종 OTT 시장의 성장과 글로벌 OTT 기업들과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2024-05-24 08:21: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