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17 토요일
맑음
서울 16˚C
흐림
부산 16˚C
흐림
대구 17˚C
맑음
인천 15˚C
흐림
광주 17˚C
흐림
대전 15˚C
흐림
울산 17˚C
흐림
강릉 16˚C
흐림
제주 1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흫국화재'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흥국화재, 올해 1분기 순이익 205% 급증에도 '보험손익 부진' 그림자
[이코노믹데일리] 흥국화재가 올해 1분기 순이익 119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05% 급증했다고 16일 밝혔다. 그러나 이 같은 실적 호조 이면에는 투자손익 흑자전환의 일회성 효과가 자리 잡고 있어 시장의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흥국화재는 올해 1분기 투자손익에서 855억원의 흑자를 거뒀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78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던 것과 대비되는 성과다. 그러나 이 흑자전환은 주로 금융시장 변동성에 따른 일시적 이익으로, 지속 가능한 수익성 개선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보험 본업의 손익은 부진했다. 흥국화재의 1분기 보험손익은 59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7% 감소했다. 이는 보험 영업의 핵심 지표가 악화되었음을 의미하며, 회사의 본업 경쟁력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 흥국화재는 수익성 개선 외에도 재무 안정성 지표를 개선했다고 주장했다. 3월 말 지급여력비율(K-ICS)은 경과조치 후 기준 216.68%로, 지난해 말(199.56%) 대비 17.12%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지급여력비율의 개선 역시 자산 가치 상승에 따른 일시적 효과로 볼 수 있어, 실제 재무 건전성 강화를 의미한다고 보기 어렵다. 결국 흥국화재의 이번 실적은 투자손익의 일시적 흑자전환에 기댄 성장이며, 본업인 보험사업의 부진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 시장에서는 흥국화재가 지속 가능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2025-05-16 15:01:0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백종원 '빽다방' 상표권, 더본코리아 아닌 개인회사 소유…투자자들은 몰랐다
2
[이번 주 美 주요 일정] CPI·파월 연설…기업 실적 발표로 시장 변동성 예상
3
삼성전자, 2조4000억원 들여 데이터센터 HVAC 선점하는 이유
4
"7시간 만에 1위" 넷마블 신작 '세나 리버스' 대박 터졌다…흥행 비결은
5
가덕도신공항 좌초 위기…현대건설 철수에 후속 대안도 불투명
6
불황에 재무부담 커진 에쓰오일...'샤힌 프로젝트' 감당 가능할까
7
'부동산 PF' 향한 온도차…대형사 '질주', 중소형사 '위축'
8
NH투자증권, 지난해 소송 리스크 '최다'…3984억원 규모 70건 진행 중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1등의 관리는 다르다"…코웨이의 남다른 고객정보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