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1 토요일
흐림
서울 10˚C
맑음
부산 11˚C
흐림
대구 10˚C
맑음
인천 12˚C
흐림
광주 11˚C
흐림
대전 11˚C
흐림
울산 11˚C
흐림
강릉 12˚C
흐림
제주 1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12조'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익 11조3800억...전년比 62% 증가
[이코노믹데일리] SK하이닉스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 3834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한 수치다. 매출액은 24조 448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9% 늘어났다. 영업이익률 47%이며 순이익 12조 5975억원(순이익률 52%)의 경영실적을 기록했다. 회사는 D램과 낸드 가격 상승이 본격화되고 AI 서버용 고성능 제품 출하량이 증가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최초로 10조원을 넘어섰다. SK하이닉스는 “고객들의 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메모리 전반의 수요가 급증했다”며 “HBM3E 12단과 서버향 DDR5 등 고부가가치 제품군 판매 확대로 지난 분기에 기록한 역대 최고 실적을 다시 한 번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 같은 호실적을 바탕으로 3분기 말 현금성 자산은 전 분기 대비 10조 9000억원 늘어난 27조 9000억원에 달했다. 반면 차입금은 24조 1000억원에 그쳐 회사는 3조 8000억원의 순현금 체제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회사는 AI 시장이 추론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AI 서버의 연산 부담을 일반 서버 등 다양한 인프라로 분산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고성능 DDR5와 eSSD 등 메모리 전반으로 수요가 확장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SK하이닉스는 안정적으로 양산 중인 최선단 10나노급 6세대(1c) 공정으로의 전환을 가속해 서버, 모바일, 그래픽 등 ‘풀 라인 업(Full-line up)’ D램 제품군을 갖추고, 공급을 확대해 고객 수요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낸드에서는 세계 최고층 321단 기반 TLC, QLC 제품의 공급을 늘려 고객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 투자 규모는 올해보다 증가할 계획으로 회사는 시황에 맞는 최적화된 투자 전략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AI 기술 혁신으로 메모리 시장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며 전 제품 영역으로 수요가 확산되기 시작했다”며 “앞으로도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과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 수요에 대응하며 AI 메모리 리더십을 공고히 지켜가겠다”고 말했다.
2025-10-29 09:28:18
금감원 "상반기 ABS 발행액 23.6% 감소…주금공 MBS 발행 위축 영향"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상반기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 규모 부동산, 매출채권, 주택저당채권 등에 영향으로 20% 넘게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등록 ABS 발행 금액은 21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조 5000억원(23.6%) 감소했다. 등록 ABS 전체 발행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243조 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조 1000억원(5.5%) 줄었다. ABS는 부동산, 매출채권, 주택저당채권 등과 같이 유동성이 떨어지는 자산을 담보로 해 발행하는 증권을 말한다. 자산보유자별로 보면 주금공과 금융회사의 ABS 발행 규모는 감소한 반면, 일반기업의 발행 규모는 증가했다. 특례보금자리론이 지난해 1월 종료되는 등 정책성 대출이 축소되면서 주금공 MBS 발행이 지난해 상반기 11조 4000억원에서 올 5조 4000억원으로 52.9% 줄었다. 금융사는 카드사의 카드채권 기초 ABS 발행규모가 감소하면서 전체 발행규모가 12조 3000억 원에서 9조 3000억원으로 24.5% 감소했다. 일반기업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기초 ABS 발행 확대 영향으로 발행 규모가 6조 4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5% 늘었다. 부동산PF 기초 ABS는 작년 상반기 발행액이 8000억원에 그쳤으나 올 상반기에는 공공지원 민간 임대주택 개발 및 공동주택 신축사업 개발 등 ABS 발행액이 3조 8000억원으로 392.5% 급증했다. 유동화자산별로는 대출채권과 매출채권 기반 ABS가 모두 줄었고, 중소기업 회사채를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담보부증권(P-CBO)만 소폭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여전채 금리가 하락하는 등 채권시장 발행 여건이 개선되면서 신용카드 채권 기초 ABS 발행이 작년 상반기 5조 6000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2조 6000억원으로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2025-07-31 10:52:42
AWS, 싱가포르에 AI 혁신 전초기지 12조 쏟아부은 진짜 이유
[이코노믹데일리]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혁신을 가속하기 위한 전초기지를 싱가포르에 마련했다. 27일 공식 개소한 'AWS 이노베이션 허브'는 지역 내 기업 리더들에게 클라우드와 AI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실질적인 도입 전략을 수립하도록 돕는 체험형 공간이다. 이번 허브 설립은 AWS가 기존에 발표한 2028년까지 90억 달러(약 12조원) 규모의 싱가포르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 계획에 더해 수백만 달러를 추가 투입한 프로젝트다. AWS는 이 허브를 통해 매년 1000명 이상의 C레벨 리더와 200명의 현지 대학생에게 차세대 기술 체험 및 교육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약 743㎡ 규모의 허브 내부는 방문객이 생성형 AI, 양자 컴퓨팅, 가상현실 등 최신 기술과 실제 고객 성공사례 50여 개를 직접 경험하도록 구성됐다. 특히 아마존의 차세대 AI 모델 '아마존 노바'로 구동되는 로드맵 솔루션 '비전 빌더'를 통해 기업이 디지털 전환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단순한 기술 전시장을 넘어 아시아 기업들의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실질적인 성과로 연결하는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하겠다는 AWS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하이메 발레스 AWS 아태지역(APJ) 총괄부사장은 "기술 혁신은 아시아의 성장에 매우 중요하며 고객 경험을 혁신하고 실질적인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AWS 이노베이션 허브는 고객의 빅 아이디어를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2025-06-27 11:19:2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역대 최강' LCK, 롤드컵 8강 점령…우승컵 탈환 청신호
3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4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5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6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7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8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