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22 토요일
흐림
서울 7˚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4˚C
흐림
인천 11˚C
맑음
광주 5˚C
구름
대전 5˚C
맑음
울산 5˚C
구름
강릉 7˚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180조원'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코스피·코스닥 상반기 실적 '맑음'…코스피 누적 영업이익 180조원 돌파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상반기(1~6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12월 결산법인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이 모두 개선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전기·전자, 화학 등이 강세를 보였고 코스닥 시장에서는 일반서비스가 업종 실적을 견인했다. ◆ 코스피 연결기준 실적 삼성전자 제외해도 '호조'...코스닥도 '활짝' 18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코스피 804개 상장사의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2299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4%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79조5678억원·152조32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01%·25.80% 늘어났다. 코스피 시가총액(시총) 1위인 삼성전자(매출173.1조원·영업이익 10.6조원)를 제외해도 상장사들의 매출(2.1%)과 영업이익(20.5%), 순이익(22.8%) 증가율은 증가했다. 3분기만 놓고 봐도 전반적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매출액(3.9%)과 영업이익(34.3%), 순이익(60.9%)은 모두 직전 분기 대비 증가했다. 지난 8월~10월 사이 코스피 지수가 연일 상승세를 보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흑자기업 비율은 2분기(506사) 69.51%에서 3분기(523사) 71.84% 증가했다. 반면 적자기업 비율은 2분기(222사) 30.49%에서 3분기(205사) 28.16%로 감소했다. 기업들의 수익성이 고루 개선세를 나타나고 있는 흐름이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졌다. 코스닥시장 비교가능 결산법인 1217사 중 상반기 연결 기준 누적 매출액은 213조2840억원으로 전년 대비 6.7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9.74% 늘어난 8조8358억원을, 순이익은 16.59% 상승한 5조3457억원을 기록했다. ◆ 업종별 희비…코스피, 전기전자·화학 '맑음', 코스닥에서 일반서비스 '방긋' 유가증권시장 업종별로는 화학 업종이 누적 기준 3분기 매출 249조원(10.61%↑)·영업이익 11조원(43.90%↑)·순이익 6조원(39.94%↑)을 기록하며 실적을 큰 폭으로 개선했다. 전기전자 업종도 매출 480조원(7.11%↑)·영업이익 57조원(19.05%↑)·순이익 58조원(39.33%↑)으로 호실적을 냈다. 반도체 투자 확대에 전력·전기기기 수요가 늘자 해당 업종 매출 또한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비금속 업종은 매출 10조원(-6.71%)·영업이익 4800억원(–52.36%)·순이익 1908억원(-39.10%)으로 하락했다. 운송·창고 업종 또한 매출 7조원(9.30%↑)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 4조원(–35.22%)·순이익 3조원(-36.06%)으로 떨어졌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일반서비스 업종 실적이 두드러진 반면 금속과 기타제조 업종은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일반서비스 업종은 누적 기준 3분기 매출 10조원(5.96%↑)·영업이익 1조원(16.17%↑)·순이익 1676억원(25.14%↑)으로 오르며 전반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다. 반면 금속 업종은 매출 7조원(-1.51%)·영업이익 2905억원(–29.68%)·순이익 1308억원(-51.64%)으로 하락했다. 기타제조 업종도 매출 9136억원(-0.935)·영업이익 526억원(-26.21%)·순이익497억원(-23.02%)으로 부진했다. ◆ 금융업, 증권 웃고 은행·보험 울었다 유가증권시장 금융업(42사)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45조9068억원으로 전년대비 3.03% 상승했고, 순이익 또한 전년대비 11.28% 오른 36억8439억원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는 증권사 순익이 4조2071억원으로 36.02% 급증하며 업계 실적을 견인했다. 영업이익 또한 5조2294억원으로 32.13% 급증했다. 이어 금융지주도 영업이익(1.93%↑)·순이익(13.73%↑) 모두 상승했다. 은행은 순익(2.94%↑)은 늘고 영업이익(-1.91%)은 줄었지만 보험사는 영업이익(-2.95%)과 순이익(1.55%)이 모두 감소했다.
2025-11-18 17:27:21
조재민 신한운용자산 대표 "ETF 카피 문제…삼성·미래에셋운용, 동반 성장 외면"
[이코노믹데일리] 조재민 신한자산운용 대표가 '상장지수펀드(ETF) 카피' 문제에 대해 "압도적 대형사와 중소형 운용사의 동반 성장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 대표는 15일 여의도 TP타워에서 열린 신한자산운용 'SOL ETF의 업계 최단기간 순자산총액(AUM) 10조원 돌파'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시장에서 반응이 좋으면 이기적으로 똑같은 상품으로 눌러버리는 형태가 맞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한번 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ETF 시장 규모는 이날 기준 255조원을 넘어서며 5년 사이 5배 이상 성장했다. 하지만 이중 180조원 이상을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차지하는 점을 볼 때 조 대표가 언급한 '압도적 대형사'는 해당 운용사를 지칭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 대표는 "이미 시장에 수백개의 상품이 자리를 잡고 있는 상황에서 빈 곳을 노려 성장해야 한다는 것이 굉장히 어려운 과제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 회사는 더 많은 초기자금으로 동일한 콘셉트를 내세우거나 물밑에서 방해 작업을 하는 사례도 있었다"며 업계 전반에 퍼져있는 문제라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새로 진입하려는 운용사들도 상위사의 견제 탓에 쉽지 않은 환경을 마주하고 있다"며 업계 고충을 드러냈다. 조 대표는 "ETF 시장은 진입 장벽이 높고 경쟁이 치열하지만 결국 혁신이 살아남는다"며 "신한자산운용은 앞으로도 단순한 모방이 아닌 시장을 선도하는 상품 혁신으로 차별화하겠다"고 말했다.
2025-10-15 13:53:3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미등기 임원이 꿀꺽…이마트, 114억원 규모 배임·횡령 발생
2
신영증권, 시스템 장애...투자자 피해 속출
3
[데스크 칼럼] 김택진의 반성문, 그리고 '아이온2'라는 마지막 희망
4
[단독]한화에너지·한화솔루션 '집안 싸움'...법원, 강제조정 돌입
5
[로컬FOCUS] 인천 원도시 정비사업 속도 낸다
6
[김다경의 전자사전] AI 시대, 낸드도 쌓는다...HBM이어 HBF도 주목
7
클라우드플레어 대규모 장애…X·챗GPT·LoL 등 전 세계 서비스 '먹통'
8
상법 개정에 롯데'표정관리'·금호석화 '지지'·LG화학 '무관심'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금융경제 레드플래그] 금융위의 '모험자본' 독려, 규제 샌드박스부터 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