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6건
-
-
-
-
-
-
-
-
아파트 분양가 3000만원 시대… 강남권 신규 분양이 견인
[이코노믹데일리] 지난 2월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역대 최초로 3000만원을 돌파했다. 분양가가 높은 강남권 신규 분양이 포함되면서 전국 평균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월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3120만원으로 집계됐다. 월별 평균 분양가가 3000만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월(1628만원)과 비교해 한 달 새 약 2배 가까이 올랐으며, 이전 최고가였던 지난해 8월(2474만원)보다도 600만원 이상 상승했다. 2월 분양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전국적으로 분양 물량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강남권에서 고분양가 단지가 포함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2월 전국 분양 물량은 1631가구에 그쳤으며,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서 분양한 ‘래미안 원페를라’가 평균을 끌어올린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1월에는 분양 물량이 3751가구로 적은 편이었으나, 서울에서 신규 분양이 없어 전국 평균 분양가는 1628만원으로 전월 대비 400만원 이상 하락한 바 있다. 2월 시도별 평균 분양가는 서울이 3.3㎡당 6941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2023년 1월(9608만원) 이후 13개월 만에 최고치다. 부산은 2409만원으로 전월(1921만원) 대비 488만원 상승하며 서울의 뒤를 이었다. 이어 대구가 2399만원을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다. 그 외 대전(1664만원)과 울산(1551만원)은 3개월 만에 신규 분양이 진행되면서 상위 5위권에 올랐다. 반면, 경기 지역은 부천과 양주에서 각각 1개 단지만 분양되면서 평균 1511만원으로 전월(2496만원)보다 약 1000만원 가까이 하락했다. 5개월 만에 분양이 이뤄진 광주는 1473만원으로, 분양이 있었던 지역 중 가장 낮은 가격을 기록했다. 강원, 경남, 경북, 세종, 인천,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 등 10개 지역에서는 2월에 신규 분양이 없었다. 전문가들은 향후 간접공사비·노무비 상승에 따른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서울의 분양 유무에 따라 전국 평균 분양가 변동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아파트 분양가는 올해에도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2025-03-12 07:50:28
-
-
"타스만 보다 1400만원 절감"…KGM, 무쏘 EV 공개로 픽업 전쟁 발발
[이코노믹데일리] 박진감 넘치는 음악과 함께 기다란 차체를 가진 국내 최초 전기(EV) 픽업트럭 '무쏘 EV'가 무대 위로 등장했다. 픽업트럭 정통 강자 KG모빌리티(KGM)는 5일 경기 평택시 KGM 디자인센터서 과거 쌍용자동차 시절 무쏘의 헤리티지가 담긴 무쏘 EV 출범식을 진행했다. 이날 공개한 무쏘 EV는 과거 헤리티지와 현재 KGM의 지향점이 함께 담겼다. 소비자의 요구에 귀 기울이는 KGM은 전기차의 경제성, 픽업의 다용도성,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편안함을 갖추며 과거와 현재를 연결했다. 무대 위에 전시된 무쏘 EV에서 가장 눈에 띈 부분은 자동차의 콧구멍 '그릴'이다. 다른 전기차들과는 다르게 구멍이 숭숭 뚫린 그릴에선 과거 무쏘 디자인의 특징이 그대로 묻어났다. 여기에 전면부의 수평 도트형 LED 주간 주행등(DRL)과 일체형 턴시그널 램프는 미래 모빌리티의 모습을 더했다. 코뿔소에서 의미를 따와 지은 무쏘답게 측면과 후면부에서는 역동성을 느낄 수 있었다. 측면부의 캐릭터 라인에서는 강렬한 힘을 연상할 수 있게 했다. 후면부의 공구를 형상화한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강렬한 디자인 정체성을 구현했다. 차량 인테리어에서는 기존 단점으로 지적되던 인포테인먼트를 강화한 점이 눈에 들어왔다.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와 12.3인치 KGM 링크 내비게이션을 하나로 연결한 파노라마 와이드 스크린은 일체감이 느껴지는 미래지향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클러스터는 주야간 통합 GUI를 적용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아테나 2.0’을 적용해 각종 운행 정보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넉넉한 실내 공간도 장점으로 꼽힌다. 850㎜의 여유로운 레그룸과 픽업 최대 리클라이닝 각도인 32°로 변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날 출범식에서 강조된 부분은 단연 '가격 경쟁력'이었다. KGM은 최근 기아에서 출시한 픽업트럭 '타스만'과 적극적으로 비교했다. 박경준 KGM 국내사업 본부장은 "타사 내연기관 제품과는 다르게 무쏘 EV는 전기차이기에 유류비가 들지 않는다"며 "소상공인 기준 5년에 최대 1400만원을 아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무쏘 EV의 기본 가격은 MX 4800만원, 블랙 엣지 5050만원으로 구성됐다. 기본 가격에 승용 전기차보다 더 많은 국고 보조금 652만원, 서울시 기준 지자체 보조금 186만원을 받아 실제 구매 가격은 3000만원 후반대(3962만 원)로 형성된다는 게 KGM의 설명이다. 기아 타스만 가격은 기본 모델 다이내믹 3750만원, 어드벤처 4110만원, 익스트림 4490만원, 특화 모델 X-Pro 5240만원으로 책정됐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이 이어지는 가운데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돋보였다. 중국 배터리 기업 BYD(비야디)의 블레이드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해 화재 위험성을 낮췄다. 또 차세대 다중 배터리 안전 관리 시스템(BMS)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주차 중에도 10분 단위로 배터리 상태를 점검해 사고 예방이 가능하다. 긴급 상황 발생시에는 가까운 소방서로 자동 연결된다. 이날 기조연설을 진행한 곽재선 KGM 회장은 KGM의 변화를 위한 노력을 편의점에 빗대 설명했다. 곽 회장은 "편의점에는 일반 라면부터 짜장라면, 비빔라면까지 다양한 라인업이 존재해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선택이 가능하게 돕는다"며 "KGM도 다양한 차량 라인업을 마련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KGM은 어려운 시기가 있었지만 이젠 빠른 속도로 경쟁사들과 경쟁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한편, 무쏘 EV는 현재 2000여대의 사전 예약을 기록하고 있으며, 월 500대를 판매 목표로 삼고 있다.
2025-03-05 13:51:46
-
-
-
-
CJ ENM 스튜디오스, 2억원 상금 내건 '스스콘' 스토리 공모전 개최
[이코노믹데일리] CJ ENM 스튜디오스가 총 상금 2억원 규모의 '제2회 스튜디오스 스토리 콘테스트(이하 '스스콘')'를 개최하고 드라마, 영화, 웹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세대 K콘텐츠를 이끌어갈 신진 작가 발굴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스스콘'은 CJ ENM 스튜디오스가 대한민국 대표 히트 콘텐츠 육성과 잠재력 있는 신인 작가 발굴을 목표로 기획한 공모전이다. 특히 일반적인 공모전과 달리 CJ ENM 스튜디오스 산하 제작사들이 기획 개발 단계부터 직접 참여하여 수상작의 영상화 가능성을 높이고 실제 제작 및 투자까지 연계하는 전폭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발굴된 작품은 CJ ENM 스튜디오스의 체계적인 지원 아래 차세대 K콘텐츠로 성장할 기회를 얻게 된다. 이번 공모전은 드라마, 영화, 웹툰 총 3개 부문으로 진행되며, 콘텐츠 창작에 대한 열정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응모할 수 있다. 드라마 및 영화 부문 접수 기간은 2025년 5월 7일(수)부터 5월 20일(화)까지이며 웹툰 부문은 2025년 7월부터 접수가 시작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웹툰 부문 후원사로 참여하며, 웹툰 부문의 구체적인 접수 일정 및 모집 요강은 5월 중 공모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응모 희망자는 드라마와 영화 부문을 합하여 1인당 최대 3편까지 작품을 제출할 수 있으며 공동 집필 작품 또한 접수가 가능하다. 드라마 부문은 2회 분량의 드라마 대본과 기획안을, 영화 부문은 100분 내외의 장편 영화 시나리오와 기획안을 각각 제출해야 한다. 제2회 '스스콘'은 공정하고 심도 있는 심사를 거쳐 총 10편의 수상작을 선정할 계획이다. 총 2억원의 상금이 수여되며, 전체 부문을 통틀어 대상 1편에는 5000만원, 각 부문별 최우수상 1편씩 총 3편에는 각 3000만원, 각 부문별 우수상 2편씩 총 6편에는 각 10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특히 수상작이 CJ ENM 스튜디오스를 통해 영상화될 경우 상금 외에 추가적인 인센티브가 지급될 예정이다. 최종 수상자는 2025년 10월경 발표될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공모전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CJ ENM 스튜디오스 관계자는 "지난해 첫 회 스스콘에 2670여 편의 창작 스토리가 접수되었으며 이 중 6편이 수상하여 현재 CJ ENM 스튜디오스와 산하 제작사에서 영상화를 위한 기획 개발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스스콘은 재능 있는 신진 크리에이터들이 선보이는 참신한 스토리에 귀 기울이고 CJ ENM 스튜디오스의 최고 제작진들과 함께 작품을 완성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J ENM 스튜디오스는 '헤어질 결심'의 박찬욱 감독이 이끄는 모호필름, '선재 업고 튀어'의 본팩토리, '신과함께' 시리즈의 블라드스튜디오,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에그이즈커밍, '태극기 휘날리며'의 엠메이커스, '독전'의 용필름, '국제시장'의 제이케이필름 등 총 8개의 레이블로 구성된 국내 최정상 크리에이터 연합체다. 이들은 각각 독보적인 콘텐츠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K콘텐츠의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CJ ENM 스튜디오스는 칸 영화제 수상작인 '헤어질 결심', 국내 최초 뮤지컬 영화 '영웅', '선재 신드롬'을 일으킨 tvN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 글로벌 OTT 플랫폼에서 수상하며 화제를 모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마스크걸', 해외 드라마 팬들에게 호평받은 '피라미드 게임', 한국 예능 최초로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 공개된 '서진이네' 등 다양한 장르의 웰메이드 콘텐츠를 제작하며 단기간에 K콘텐츠 스튜디오로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했다.
2025-02-14 16:48:27
-
3000만원 전기차 직접 타 보니…'가성비 갑'
[이코노믹데일리] #박연수의 옆좌석은 기존 운전자 중심의 자동차 리뷰에서 벗어나 장롱면허 소지자 및 운전자 옆좌석 경력 26년차 입장에서 전하는 자동차 정보입니다. 중국 전기차(EV) 기업 BYD(비야디) 아토 3가 출고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13일 오후 2시쯤 아토 3를 타고 서울 양천구 도심을 달렸다. 단연 돋보인 건 '가성비'다. 이날 서울 양천구 비야디 목동 전시장에 방문해 매장에 30분가량 머물렀다. 딜러들의 행동을 통해 비야디의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느낄 수 있었다. 방문하는 고객들에게 적극적으로 차량 시승을 권해서다. 실제 탑승을 해보니 자신감의 이유를 느낄 수 있었다. 울퉁불퉁한 도심 주행에서는 보통의 차들과 같았지만, 고속도로로 진입하니 전기차답게 시원한 '주행감'과 '정숙함'이 돋보였다. 전기차 보조금을 제외하고 3000만원 초반에 형성된 아토 3의 가격으로 인해 가졌던 '편견'이 깨지는 순간이었다. 정숙도 외에도 눈에 들어온 점은 기본으로 탑재된 '옵션'의 성능이었다. 타 브랜드와 다르게 통풍·열선 시트, 파노라믹 선루프 등이 기본 탑재된 점은 아토 3의 '가성비'란 장점을 한층 높이는 요소다. "하이 비야디, 블라인드 열어줘." 운전석에서 비야디 직원의 목소리가 울리자 어둑했던 차량 안이 순간 빛으로 가득 찼다. 음성 인식을 통해 블라인드를 여는 순간 넓직한 파노라믹 선루프가 자태를 드러낸 것이다. 차량 천장 크기와 유사한 선루프는 시원한 개방감을 선사했다. 평소 다리에 땀이 많아 기자가 중요시 하는 통풍 시트도 사용해 봤다. 아직 겨울 기운이 가시지 않은 바깥 날씨 탓에 패딩 상의를 입고 있어 어느 때보다 절실했다. 조수석에도 2단계로 된 통풍 시트가 탑재됐으며 차량 디스플레이를 통해 손쉽게 조절할 수 있었다. 엉덩이부터 시원해지며 금방 쾌적해지는 기분이었다. 뱅글뱅글 돌아가는 디스플레이도 자랑할만 했다. 하나의 태블릿을 연상케 하는 12.8인치 디스플레이에는 한국 소비자를 겨냥한 애플리케이션(앱)들이 탑재됐다. 티맵모빌리티 서비스, 국내 음악 플랫폼 플로, 유튜브 등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노래방 앱도 마련됐다. 가수 로제의 '아파트'를 재생하자 차량이 순식간 노래방으로 변신했다. 별도의 마이크까지 설치하면 나만의 개인 노래방 마련이 가능하다. 기자 체면만 아니면 노래방 마이크에 도전할 뻔했다. 이왕이면 '아파트'로. 이렇듯 다양한 인포테인먼트를 탑재했지만, 안전도 놓치지 않았다. 주행 중에는 유튜브 등 영상물은 시청이 불가능하다. 전기차의 장점이자 단점인 '회생제동'으로 인한 멀미도 적었다. 비야디 관계자는 "회생제동이 2단계로 구성됐으며, 실제 다른 전기차들에 비해 울컥울컥 멈추는 느낌이 적어 택시 운전자들에게도 사랑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회생제동은 차량의 제동(감속)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 배터리에 저장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다만 한국 소비자 입장에서 낯선 부분들도 있었다. 동그란 모양의 에어컨 송풍구, 뒤로 당겨야 열리는 도어 레버 등은 다른 차들에서는 보기 어려운 디자인이었다. 좀 어색했지만 사용에 불편함은 없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아토 3는 출시 1주일만에 1000대가량의 예약판매 대수를 기록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비야디는 아토 3를 시작으로, 퍼포먼스 중형 전기세단 BYD 씰, 중형 전기SUV BYD 씨라이언 7 등 총 3개 전기차 모델을 올해 한국시장 출시 목표로 준비 중이다.
2025-02-13 18: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