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2.14 금요일
맑음
서울 -3˚C
맑음
부산 -1˚C
맑음
대구 -4˚C
맑음
인천 1˚C
맑음
광주 -3˚C
맑음
대전 -1˚C
맑음
울산 -0˚C
맑음
강릉 1˚C
맑음
제주 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4분기 적자'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LG유플러스, 작년 영업이익 8631억원...AI 전환 속 수익성 '주춤'
[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전환 본격화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악화를 겪었다. 6일 발표된 공시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2023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 8631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3.5%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은 14조 625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 소폭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3529억 원으로 44%나 급감했다. 특히 4분기 실적 부진이 두드러졌다. 4분기 영업이익은 142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3% 감소했으며 770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인 1608억 원을 크게 밑도는 수치다. LG유플러스 측은 이 같은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신규 통합 전산 시스템 구축에 따른 무형자산 상각비용 증가와 통상임금 범위 확대 판결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반영을 지목했다. 또한 자회사인 LG헬로비전의 실적 악화 역시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LG헬로비전은 수수료 및 콘텐츠 비용 증가와 케이블TV 및 알뜰폰 업황 부진이 겹치면서 4분기 적자 전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AI 기반 서비스 확대를 통한 가입자 증가로 매출 성장세는 유지했다. LG유플러스는 AI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ixi-O)’와 IPTV ‘AI 미디어 에이전트’ 등 AI 전환(AX) 전략을 통해 유무선 서비스 가입 회선 수를 늘리며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실제로 모바일 매출은 전년 대비 1.8% 증가한 6조 4275억 원을 기록했으며 무선 가입 회선 수는 2851만 5천 개로 전년 대비 13.6% 증가했다. 특히 MNO 가입 회선은 8.5% 증가한 2036만 8000 개, MVNO 회선은 28.8% 증가한 814만 7000 개를 기록하며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이 외에도 스마트홈 부문 매출은 3.7% 증가한 2조 5060억 원, 기업 인프라 부문 매출은 1.3% 증가한 1조 7055억 원을 기록하며 전반적인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 사업 매출은 6.6% 증가한 1조 1409억 원, IDC 사업 매출은 가동률 확대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AI 신사업 육성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B2B 사업 영역에서 AI 모델을 적용, AI 응용 서비스 범용성을 확대하고 고객 맞춤형 전략을 통해 기업 인프라 부문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또한 2027년 파주에 준공 예정인 AIDC(AI 데이터센터)를 B2B AI 사업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 AI 인프라 시장 선점을 목표로 한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주주 환원 정책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지난해 배당금을 전년과 동일한 650원으로 확정했으며 배당 성향은 54.7%로 전년 대비 11.5%p 증가했다. 올해는 배당 성향을 순이익의 40~60% 수준으로 끌어올려 주주 이익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여명희 LG유플러스 CFO는 “올해 AX 사업의 실질적인 성과 창출과 사업 구조 개편을 통해 2025년 연결 기준 서비스 매출 2% 이상 성장을 달성하고 기업 가치와 주주 이익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2-06 13:58:20
KT, 4분기 '적자' 위기 간신히 모면…희망퇴직 여파
[이코노믹데일리] 통신 3사의 2024년 4분기 합산 영업이익이 KT의 대규모 희망퇴직 비용 발생으로 인해 적자 직전까지 떨어지며 시장에 충격을 주었다. 매 분기 1조 2000억원을 웃돌던 3사의 합산 영업이익은 이번 4분기에 급감하며 300억원대에 머물렀다. 이는 KT의 희망퇴직이라는 일회성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T는 4분기에 527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각각 3453억원과 2208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비교적 견조한 실적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통신 3사의 4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300억원 수준으로 적자를 간신히 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업계는 전통적으로 네트워크 유지보수 비용 등의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4분기 수익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2024년 4분기의 경우 KT의 대규모 희망퇴직으로 인한 일회성 비용이 실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NH투자증권 안재민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희망퇴직 비용이 일회성으로 약 1조 원 정도 반영되면서 4분기 실적은 적자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러한 일회성 비용 발생은 KT에게 2025년 실적 개선의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안 연구원은 “2025년부터는 오히려 가벼워진 인건비로 인해 영업이익 개선폭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KT는 약 2800명의 희망퇴직과 1700명의 네트워크 신설 자회사 전출을 통해 2025년에 약 3000억원의 인건비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2025년에 예정된 부동산 사업과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업을 통한 B2B 사업 본격화 역시 KT의 실적 성장을 견인할 요인으로 꼽힌다. KT와 달리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4분기에도 두 자릿수 영업이익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속적인 비용 관리 노력과 더불어 신사업의 성장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SK텔레콤은 2024년 조직 개편을 통해 운영 효율성 개선에 집중했으며 2025년에는 본원적 경쟁력 극대화를 통해 내실을 다지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LG유플러스는 그동안 영업이익 감소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던 전산 관련 비용 문제를 해소하고 신사업의 수익성을 높여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경기 둔화가 현실화되고 있지만 통신 산업은 경기 침체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방어주 성격을 가지고 있다”며 “AI를 비롯한 신사업의 성과가 2025년 수익성 개선의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5년에는 KT의 실적 반등과 더불어 통신 3사 간 AI 등 신사업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5-01-07 17:29:3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아워홈' 품에 안은 한화호텔, 지분 58% 확보로 급식사업 재진출
2
의료용 AI 만든다는 오픈AI·구글, 국내 기업도 속도 낸다
3
삼성전자의 로봇 야심…휴머노이드 시장 게임 체인저 될까
4
트럼프가 벌어준 4년…국내 재생에너지 도약의 기회
5
글로벌 PEF 입맛은 다시는데…'CJ 그린바이오' 매각 장기전 가나
6
메타, 퓨리오사AI 인수 검토…"자체 AI 칩 개발 가속화"
7
포스트 실리콘 시대 성큼… 삼성·SK, 신소재 반도체 개발 박차
8
S2W, 하반기 IPO 추진으로 해외 진출 가속화…"글로벌 경쟁력 갖췄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편집인 칼럼] 우리 기업이 트럼프 관세정책을 피할 수 있는 방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