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12 토요일
맑음
서울 22˚C
맑음
부산 18˚C
맑음
대구 20˚C
맑음
인천 20˚C
흐림
광주 20˚C
흐림
대전 23˚C
흐림
울산 18˚C
흐림
강릉 21˚C
흐림
제주 1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AI모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LG CNS, 혁신 이어간다…NH농협은행 고객 비즈니스 혁신 나서
[이코노믹데일리] 인공지능 전환(AX)전문기업 LG CNS가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을 통해 금융 고객의 비즈니스 혁신에 나선다. LG CNS는 NH농협은행과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 LG CNS는 2 차례의 기술비교평가(BMT)에서 뛰어난 AI 기술력과 비즈니스 활용 역량을 인정받아 NH농협은행의 AI 파트너로 최종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LG CNS는 이번 계약을 통해 NH농협은행의 생성형 AI모델, AI기반 지능형 기업문서 관리 서비스 등을 구축해 임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혁신한다. 또 고객 맞춤형 금융상품 추천 등 AI 뱅킹 서비스를 고도화해 NH농협은행을 이용하는 고객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할 계획이다. NH농협은행 임직원은 AI 에이전트나 내부 지식자료 검색 기능 등으로 짧은 시간 안에 업무 보고서, 보도자료, 마케팅 자료 등을 정확하고 손쉽게 작성할 수 있다는 게 LG CNS의 설명이다. LG CNS는 NH농협은행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에 자사의 'DAP GenAI 플랫폼'을 적용한다. DAP GenAI 플랫폼은 엑사원, 챗GPT, 라마, 클로드 등 고객이 원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플랫폼에 도입해, 전문 개발지식이 없는 사람도 손쉽게 AI 에이전트 같은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한다. LG CNS는 NH농협은행 생성형 AI 플랫폼의 검색 속도와 정확도도 강화한다. LG CNS는 자체 개발한 검색 증강 생성(RAG) 솔루션인 'KeyLook'을 적용해 한국어 검색역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RAG는 생성형 AI가 사전에 학습한 데이터 범위를 넘어서는 질문을 받거나, 학습데이터가 거짓 또는 과거의 데이터일 경우에도 정확한 답변을 할 수 있도록 AI에 정보검색 기능을 추가한 기술이다. AI가 잘못된 답변이나 거짓 정보를 전달하는 할루시네이션 현상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현신균 LG CNS 사장은 "금융 서비스 경쟁력은 AI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더욱 빠르고 개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달려 있다"며 "LG CNS는 앞으로도 금융고객의 AX 비즈니스 혁신을 위해 기업용 생성형 AI 기술을 고도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2-12 14:00:00
구글, '비용 효율' AI 모델 플래시 라이트 출시…중국 딥시크에 '맞불'
[이코노믹데일리] 구글이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를 겨냥한 새로운 AI 모델 '제미나이 2.0 플래시 라이트(Flash-Lite)'를 5일(현지시간) 공개하며 AI 시장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이번 발표는 지난해 12월 공개된 최신 AI 모델 '제미나이 2.0'을 모든 사용자에게 개방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졌다. 지금까지 '제미나이 2.0'은 일부 개발자와 테스트 프로그램 참여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제공되었으나 이번 출시를 통해 누구나 '제미나이' 앱에서 '플래시' 모델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개발자를 위한 AI 도구 '구글 AI 스튜디오'와 기업용 플랫폼 '버텍스 AI'를 통해 '2.0 프로 익스페리멘탈(Pro Experimental)'과 '2.0 플래시 라이트' 모델도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된다. 구글은 '제미나이 2.0'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기능을 갖춘 멀티모달 형태의 AI 에이전트에 최적화된 모델이라고 강조하며 이번에 새롭게 공개된 '플래시 라이트' 모델은 기존 '플래시' 모델보다 더욱 경량화되어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했다고 설명했다. 코레이 카부쿠오글루 구글 딥마인드 CTO는 "플래시 1.5 버전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후 플래시 라이트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플래시 라이트' 모델 출시는 최근 저렴한 비용과 우수한 성능을 가진 AI 모델 V3와 R1을 공개하며 AI 모델 개발 경쟁에 뛰어든 딥시크를 견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딥시크의 등장으로 AI 모델 개발 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구글은 '플래시 라이트'를 통해 비용 효율적인 AI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2.0 플래시 라이트'의 비용은 입력 기준 100만 토큰당 0.019달러로 딥시크의 AI 모델(0.014달러)과 유사한 수준이다. 이는 오픈AI의 비용 효율 버전(0.075달러)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이다. 한편 구글은 전날 4분기 실적 발표에서 클라우드 성장세가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서 뉴욕 증시에서 주가가 7% 이상 급락하는 부진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글의 '플래시 라이트' 모델 출시는 AI 시장 경쟁 심화 속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2025-02-06 08:19:2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배터리는 재활용하는데, 석유화학 제품은 매립지로…엇갈리는 업계 행보
2
국내외 화이트햇 해커·보안 전문가 집결… '닷핵 2025' 컨퍼런스, 성황리 개최
3
국내 4대 그룹, '피지컬 AI'로 간다…로봇 투자 전면전 돌입
4
트럼프발 '관세 태풍'에…울고 웃는 韓 화장품·의류 OEM·ODM 기업들
5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역사적 반등'…S&P 500 하루 9.5% 급등
6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작업자 2명 연락 두절, 지상도로까지 파손
7
아이폰17 프로, 전작과 비슷..."소비자 수요 감소할 것"
8
LG화학, 분리막 사업 흔들리나…'철수설' 도는 배경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