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5 토요일
비
서울 8˚C
흐림
부산 12˚C
흐림
대구 14˚C
비
인천 8˚C
흐림
광주 10˚C
흐림
대전 9˚C
흐림
울산 11˚C
흐림
강릉 8˚C
구름
제주 14˚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BOF'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애플, AI 성능 강화된 맥북 에어 공개...관세에도 100 달러 인하
[이코노믹데일리] 애플이 자사 노트북 ‘맥북 에어’(MacBook Air)의 새 모델을 선보였다. 5일(현지시간) 애플에 따르면 이번 맥북 에어는 이전 모델보다 더 빠른 인공지능(AI) 칩 ‘M4’와 성능이 개선된 화상회의 카메라가 특징이다. 애플이 지난해 5월 발표한 M4 칩은 자체 개발 칩으로 “강력한 AI를 위한 칩”이라고 소개된 바 있다. M4 칩에는 AI의 기계 학습을 가속하기 위해 애플의 고속 ‘뉴럴 엔진’(Neural Engine)이 탑재됐다. 이 뉴럴 엔진은 초당 38조 회의 연산 처리가 가능하며 애플의 A11 바이오닉 칩에 처음 탑재된 뉴럴 엔진보다 약 60배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 업그레이드된 카메라는 사용자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센터 스테이지’(Center Stage) 기능과 화상회의 시 책상 위 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데스크 뷰’(Desk View) 기능을 지원한다. 이번 신제품의 가격은 13인치 모델이 999달러(약 144만4500원), 15인치 모델이 1099달러로 책정됐으며 이는 이전 모델보다 100달러 인하된 가격이다. 판매는 오는 12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일부터 중국산 제품 등에 새로운 관세를 적용하면서 전자제품 가격 상승이 예상됐으나 오히려 맥북 에어의 가격은 낮아졌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증권(BofA) 분석가들은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애플 등 PC 제조업체들이 증가한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 바 있다. 애플의 주요 제품은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되며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두 차례의 10% 관세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애플은 최근 공급망을 다각화하며 일부 맥 제품을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에서 조립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중국산 제품에 부과되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애플은 이번 모델의 조립 지역을 공개하지 않았다. 맥북 에어는 애플의 핵심 제품으로 지난 분기 맥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하며 약 9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맥북 에어는 주요 성장 요인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애플은 맥북 에어와 함께 전문가용 고급형 데스크톱 ‘맥 스튜디오’(Mac Studio)의 신규 모델도 공개했다. 맥 스튜디오는 강력한 프로세싱 성능을 갖춰 △그래픽 작업 △오디오·영상 제작 △AI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새로운 맥 스튜디오는 두 가지 버전으로 출시되며 각각 ‘M3 울트라’와 ‘M4 맥스’가 탑재된다. M3 울트라는 M3 칩의 최상위 버전으로 3D 그래픽과 영상 편집 등에서 최대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M4 맥스는 M4 칩의 고급형 모델로 더욱 강력한 AI 성능을 지원한다.
2025-03-06 09:31:45
Bofa "펀드매니저 위험 선호 15년 만 최고"
뉴욕증권거래소 [사진=게티이미지] [이코노믹데일리] 펀드매니저들의 '위험 선호'가 15년 만에 가장 높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위험 선호는 높은 수익을 위해 위험도가 높은 투자 전략을 선택하고 실행하는 것을 뜻한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지난 7~13일(이하 현지시간) 총 4010억 달러(약 578조원) 자산을 운용하는 펀드매니저 16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펀드매니저들의 현금 비중은 지난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34%로 집계됐다. 올해 가장 유망한 자산 관련 질문에는 응답자 34%가 세계 주식을 꼽았다. 세계 주식 지수(MSCI ACWI)는 인공지능(AI), 미국 경기후퇴 우려 등을 이유로 지난 2022년 저점 대비 60% 급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지난 18일 6129.62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그러나 응답자의 89%는 미국 주식이 과대평가 상태라고 말했다. 이 같은 응답자 비율은 지난 2001년 4월 이후 가장 높다. 블룸버그는 투자자들의 미국 예외주의에 대한 믿음도 유럽 주식으로 옮겨가거나 흔들리고 있다고 전했다. 펀드매니저들은 올해 유로스톡스50 지수 수익률이 나스닥100 지수를 넘어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해 들어 유로스톡스50 지수는 12% 상승한 반면 나스닥100 지수는 5% 올랐다. 응답자의 58%는 무역 전쟁이 일어날 경우 금이 가장 높은 수익일 것이라 관측했다. 그 외 15%는 미 달러화, 9%는 미 국채 30년물이 뒤를 이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하에 대해서는 응답자 77%가 최소 한 번의 금리 인하를 예상했으며 금리 인상 예측 응답자는 1%뿐이었다.
2025-02-19 18:33:08
中 CATL, 홍콩 증시 상장 신청서 제출
[이코노믹데일리] 중국 배터리 제조사 CATL이 홍콩 증시 상장을 추진한다. 12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CATL은 전날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 신청서를 제출했다. CATL은 중국 본토 선전증시에 상장돼 있는데, 2차 상장을 신청한 것이다. CATL은 홍콩 증시 기업공개(IPO)로 최소 50억 달러(약 7조2700억원)를 조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자금을 헝가리 배터리 공장 건설에 투입할 전망이다. CATL은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중국국제금융공사(CICC), 중신건투증권(CSC Financial), JP모건 등을 상장 주관사로 선정했다.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등도 CATL 상장에 참여한다.
2025-02-13 09:53:0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5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