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51건
-
-
-
-
-
-
-
-
-
-
-
정부, 역대 최대 규모 사이버 훈련 '훈련이 최고의 백신'…보안 체질 개선 효과 입증
[이코노믹데일리]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에 맞선 정부 주관 모의훈련에 역대 최대 규모인 688개 기업이 참여했으며, 훈련을 반복한 기업일수록 해킹 대응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5월 중순부터 2주간 실시한 ‘2025년 상반기 사이버 위기 대응 모의훈련’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이번 훈련에는 688개 기업, 25만 5천여 명이 참여해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하며 높아진 기업들의 보안 인식을 보여줬다. 특히 이번 훈련에서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실제와 유사한 해킹 메일을 발송했다. 그 결과 훈련에 반복 참여한 기업의 임직원 감염률은 16.2%로, 신규 참여 기업(18.5%)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지속적인 훈련이 임직원의 보안 의식을 높이고 실질적인 대응력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증명한다.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 훈련에서는 평균 탐지 시간 3분, 대응 시간 19분을 기록했다. 모의 침투 및 취약점 탐지 훈련에서는 42개 기업 누리집에서 140개의 취약점을 발견했으며, 별도로 10개 기업에서는 긴급 조치가 필요한 취약점 44개를 확인했다. 과기정통부는 발견된 모든 취약점에 대해 기업들이 신속히 개선하도록 조치 계획을 받고 후속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이번 모의 훈련에는 688개 기업, 역대 최다 인원인 25만5765명 참여하였고 뉴젠피앤피, 바비톡, 엘지디스플레이, 한화생명금융서비스 등이 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침해사고는 기업 규모를 막론하고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의훈련을 통해 지속적으로 정보보호 체계를 점검하고 보안 인식을 제고하는게 중요하다”며 “갈수록 지능화되고 고도화되는 침해사고에 대비해 모의훈련의 질적 수준을 강화하는 등 기업들이 침해사고 대응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5-06-18 11:51:41
-
-
-
-
과기정통부, SKT 해킹 후폭풍…통신·플랫폼 전방위 보안 실태 직접 살핀다
[이코노믹데일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침해 사고를 계기로 KT, LG유플러스 등 주요 통신사와 네이버, 카카오, 쿠팡, 우아한형제들 등 주요 플랫폼 기업을 대상으로 긴급 현장 점검에 나섰다. 이번 조치는 국민의 정보 보호와 사이버 보안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유사 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다.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보안 전문가로 구성된 점검 인력을 투입해 지난 23일부터 해당 기업들에 대한 점검을 시작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SKT 사고 조사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되며, 최대한 신속하게 마무리될 예정이다. 법정 조사와 달리 각 기업의 동의를 받아 시행되지만, 점검 과정에서 국민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정황이 발견되면 즉시 사고 처리 절차에 따라 대응하고 그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할 방침이다. 정부는 SKT 사고 직후부터 통신·플랫폼사를 상대로 유사 사고 방지를 위한 대응을 이어왔다. 지난달 22일 통신 3사와의 긴급 현안회의를 시작으로 민관합동조사단 주재 회의, 주요 플랫폼사까지 포함한 회의를 잇달아 열어 각 사의 취약점 점검을 요청했다. 이달 12일에는 '통신·플랫폼사 보안점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과기정통부가 제공한 BPF 악성코드 정보를 활용해 기업들이 자체 보안 점검을 진행하도록 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지난 19일 SK텔레콤 해킹 사고 관련 2차 조사 결과 발표에서 “SK텔레콤뿐 아니라 다른 통신사나 주요 플랫폼 기업, 공공기관에 대한 우려도 잘 인지하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공격 및 피해 여부도 동시에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KISA가 보호나라에 위험 악성코드 정보를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고, 민간 인프라 관련 기업들에게도 공문을 보내 보안 강화를 요청했다”면서 “이번 점검은 각 기업이 자체 점검 후 현장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문제가 확인되면 즉시 신고 조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이번 전방위적 보안 점검은 SK텔레콤 해킹 사고의 여파가 다른 주요 정보통신서비스 사업자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점검 결과에 따라 기업들의 보안 시스템에 추가적인 취약점이 드러날 경우 파장이 커질 수 있으며, 정부 차원의 후속 보안 강화 대책 마련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내 주요 통신 및 플랫폼 기업들의 사이버 보안 전반에 대한 경각심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2025-05-26 15:02:04